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악구 중심의 가상악기 개발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 악구 및 속성 연구

        김병오(Kim, Byungo),장인종(Jang, Injong) 무형유산학회 2017 무형유산학 Vol.2 No.2

        요즘 우리가 듣는 음악 속 피아노, 드럼 등의 악기는 많은 부분 MIDI 프로그래밍에 의한 것이다. 사람이 음악을 연주하는 것이 아니고 디지털화된 가상악기가 사람을 대신하고 있다. 그러나 이때 사용되는 가상악기는 대개 서양 악기들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권의 고유한 전통음악 분야는 이러한 흐름으로부터 배제되어 있다. 시장 실패의 문제이기도 하겠지만 피아노 건반으로 상징되는 MIDI 환경의 특성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서양음악의 경우라도 이런 문제점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것은 아니다. 아무리 디지털 기술이 발전했다 하더라도 현악기의 표현에서 기계가 사람을 넘어서기는 매우 어렵다. 사람들은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단음이 아닌 악구 덩어리를 샘플링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피아노처럼 한음 한음 샘플을 뜨고 출력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테면 ‘굿거리 한 장단’과 같은 일정한 길이의 악구 덩어리를 통째로 샘플을 떠서 출력을 하는 방법이다. 악구는 개별적인 단음 샘플과 달리 음악적 정보를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다. 악구에서 도출될 수 있는 음악적 정보는 그것을 어떻게 가공하느냐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활용의 편의성을 높여주고 탑재된 많은 악구들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도출된 속성들을 메타데이터로 가공하고 이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면 악구 중심 가상악기의 활용성은 매우 높아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정보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한국 전통음악유산의 현대적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고안되었다. 정보기술 분야의 비중이 양적으로 압도함에도 불구하고 전통음악에 대한 인문적 이해를 담당하는 악구 연구 부분은 본 전체 사업의 핵심을 차지한다. 국악 가상악기의 구체적인 기능 및 UI의 설계의 방향을 좌우하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Many of the musical instruments we listen to today, such as piano and drums, are based on MIDI programming. People are not playing music, but digitized virtual instruments are replacing people. However, the virtual instruments used at this time usually consist of Western instruments. Traditional music fields of Asia including Korea are excluded from this trend. It is also a matter of market failure, but it is also due to the nature of the MIDI environment which is symbolized by the piano keyboard. Of course, even in the case of Western music, this problem is not completely free. No matter how digital technology develops, it is very difficult for machines to transcend people in the representation of string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people have devised a way to sample clusters of phrases instead of single sounds. It does not output a single sample like a piano. It is a method of outputting a whole sample of a phrase of a certain length, such as “Gutgeori Han Jangdan”. Unlike the individual monophonic samples, the phrase enriches musical information. The musical information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phrase can contribute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effectively transmit a large number of mounted phrases depending on how to process it. By processing the derived attributes into metadata and building a database using them, the usability of the phrase centered virtual instrument can be greatly improv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was designed as par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to improve the modern uti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eritage through fusion with information technology. In spite of the quantitative superiority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sector, the phrase research study, which deals with the human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music, is at the core of this whole project. This is because it i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function of the virtual instrument and the direction of the UI.

      • 정책 수혜자 관점에서의 무형유산 정책 분기점 검토-1960~1980년대를 중심으로-

        김병오(Kim ByungO) 무형유산학회 2019 무형유산학 Vol.4 No.1

        한국의 문화재 보호 및 진흥정책은 일본의 제도를 참고하여 1960년대에 만들어졌다. 일제강점기에 이미 정책적 대상이 되었던 유형문화재와 달리 무형유산 분야는 1962년에 등장한 문화재보호법을 통해 비로소 정책적 보호대상이 되었다. 1972년에 등장한 문화예술진흥법은 무형유산 분야에 영향을 끼친 또 하나의 법률이다. 문화재보호법이 ‘보호’에 집중했다면 문화예술진흥법은 ‘진흥’에 집중했다. 기존의 무형유산 정책 연구는 보호법을 주로 다루었으며 보호법의 제·개정 시점을 기준으로 정책의 변화 과정을 살펴왔다. 그러나 시기적 차원에서 보자면 새로운 법제의 제정과 새로운 사업의 시행이 늘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예산과 행정이 뒷받침되지 않는 제도가 적지 않기 때문인데 무형유산 제도의 경우도 그런 사례가 적지 않다. 따라서 섬세하게 특정 정책의 효과와 의의를 알아보고자 한다면 수혜자의 관점에서 정책의 변화 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명확한 시기 설정에 오히려 저해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개별 정책 대상으로서 예인들의 생애를 살피거나 중앙이 아닌 지역의 관점으로 제도를 살피게 될 때 유용하게 활용되고 또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Korea’s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nd promotion policy was created in the 1960s with reference to Japanese institutions. Unlike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hich had already been subject to polic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a was protected only through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of 1962.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which appeared in 1972, is another law that has influenced the intangible heritage field. If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was focused on ‘protection’,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concentrated on ‘promotion’. The existing intangible heritage policy research mainly deals with the protection law. They examined the process of policy change based on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the protection law. However, the enactment of a new legal system and the implementation of new projects do not coincide in time. It is because there are relatively many systems that are not supported by budget and administration. The cases of the intangible heritage system are not rare like that also.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rocess of policy chang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eneficiary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and significance of a specific policy in detail. This approach may be rather detrimental to clear timing. However, it can be useful to look over the life of the artists as an object of individual policy or to look into the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a region other than the center.

      • 복부 선자세 후전방향 촬영시 유용성 평가

        김민정(Minjeong Kim),권진호(Jinho Kwon),김병오(Byungo kim),박근령(Geunryung Park),양지연(Jiyeon Yang),이영현(Younghyun Lee),정주환(Juhwan Jeong),정형식(Hyungsik Jeong),한유리(Yuri Han),강세식(Sesik Kang) 한국방사선학회 2015 한국방사선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추계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전후방향 검사가 힘든 경우 대체 할 수 있는 후전방향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 다. 설문조사 실험은 부산지역 P병원 에 내원하거나 방문한 환자 중 2015년 3월 5일부터 한 달간 복부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전후방향, 후전방향 두 가지 검사와 거리 100 cm, 180 cm의 4가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조사는 5년 이상 근무한 방사선사 18명, 영상의학과 의사 2명에게 영상의 화질평가, 환자의 안정성 및 촬영 효율성을 기준 으로 총 17문항으로 영상평가를 의뢰하였다. 입사표면선량 측정 실험은 복부팬텀과 측정기를 사용하여 전후방향, 후전방 향 두 가지 검사 각각 거리 100 cm, 180 cm로 실험의 재현성을 위해 다섯 번씩 검사하였다. 각 검사법의 설문조사 결과 로 100 cm 전후방향검사와 180 cm 후전방향검사를 비교하면 영상화질 0.7점, 환자 안정성 측면 1점 차이로 180 cm 후전방향검사가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거리에 따른 입사 표면 선량 측정 시 100 cm 전후방향검사의 선량에 비해 180cm 전후방향검사는 0.2708 mGy, 180 cm 후전방향검사는 0.2718 mGy의 차이로 두 검사 모두 거리가 100 cm에서보다 180 cm일 때 입사표면선량이 감소하였다. 일반적인 검사법인 전후방향 검사가 힘든 응급환자나 선자세가 불편한 환자의 경우에 후전방향 검사를 이용하여 환자의 낙상사고를 줄이고 거리를 증가시켜 환자의 피폭선량을 줄이고 방사선사의 업무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is going to look into clinical usefulness of PA Position tests, which may be substituted in cases of the AP Position test is unable. For about a month starting from March 5, 2015, a survey experiment of people hospitalized or visitors in 'P' hospital in Busan collected four kinds of information about tests of AP Position and PA Position and distances of 100 cm and 180 cm. The survey, which included a total of 17 questions, was evaluated by 18 radiological technologists with at least 5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2 doctors from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The standards were sharpness of the picture, safety of the patients, and efficiency of the shooting process. Abdominal Phantom and a measuring instrument was used for AP Position and PA Position in distances of 100 cm and 180 cm to measure ESD. For reproducibility, the tests were conducted five times each. Comparing the 100 cm AP Position image and 180 cm PA Position image, the 180 cm PA Position method showed a better result in higher definition of the image by 0.7 points and safety of the patients by 1 point. During the measurement of ESD by distance, the 100cm AP Position method indicated a 0.2708 mGy decrease compared to the 180cm AP Position method and a 0.2718 mGy decrease compared to the 180cm PA Position tests. For patients with difficulty of examination by the common AP Position method such as emergency patients or patients who are unable to stand properly, it can be considered that using the PA Position testing can prevent falling accidents, increasing the distance can reduce radiation exposure, and enhance work efficiency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