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골 조직 재생을 위한 전기수력학적 공정을 이용한 섬유구조의 PCL/ceramic 세포담체 제작
김민성(Minseong Kim),이형진(Hyeongjin Lee),전호준(HoJun Jeon),여명구(MyungGu Yeo),김용복(YongBok Kim),양지훈(Gi-Hoon Yang),김원진(WonJin Kim),김근형(GeunHyung Kim) 대한기계학회 2016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6 No.12
In this study, we fabricated a new ceramic fibrous scaffold, using the initial jet of an electrospinning process and ethanol media as a target. The fabricated three-dimensional (3D) fibrous ceramic structure was configured with multilayered micro-sized struts consisting of randomly entangled micro/nanofibrous architecture, similar to that of native extracellular matrixes (ECMs). The fabrication of the ceramic structure was highly dependent on various processing parameters, such as the surface tension of the target media, and the flow rate and weight fraction of the polymer solution. As a tissue regenerative material, the 3D fibrous ceramic scaffold was cultured with pre-osteoblasts to observe the initial cellular activities in comparison with a solid freeform fabricated 3D scaffold sharing a similar structural geometry. The micro/nanofibrous 3D fibrous ceramic strut scaffold exhibited significantly high initial cell attachment, proliferation, and viability compared to solid freeform fabricated 3D scaffold.
대학교육의 맥락에서"교육적 관계"측정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김민성(Minseong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교수자-학습자의 관계가 ``교육적``인지의 여부가 대학교육의 질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라는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대학교육의 맥락에서 ``교육적 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교육``, ``교수``, ``학습`` 등에 대한 개념적 논의와 교사-학생 상호작용, 교사-학생관계, 교수효과성에 대한 경험적 연구에 기반하여 ``교육적 관계``의 의미와 그 하위요소(학생에 대한 존중과 관심, 대화적 상호작용, 교수자에 대한 신뢰, 학생에 대한 기대, 가르침에 대한 열정, 학생의 몰입/성장)를 도출하였다. 전문가 집단의 문항검토와 1, 2차에 걸친 예비검사 제작과 실시를 통해 하위요소별로 4개의 문항, 총 28개 문항으로 구성된 최종 검사도구를 제작하여 서울과 광주지역 4개 종합대학 총 27개 강좌, 1,282명의 학생들에게 실시하였다. 본 연구가 상정하는 ``교육적 관계``의 요인구조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교차타당도 분석 결과 ``교육적 관계`` 척도는 적절한 구인타당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척도별 신뢰도는 .83-.89로 양호하였으며, 대학교수자 역할진단도구와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통해 교육적 관계 척도의 공인타당도가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교육적 관계``의 하위 요소별 학생성별, 교수성별, 강좌분야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교육적 관계``가 교수자나 학습자, 강좌분야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수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교육적 관계`` 정도와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와의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는 ``교육적 관계``가 이론적으로 상정한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교육적 관계``는 대학교육의 질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관계`` 측정도구의 개발은 대학교육의 질제고를 위해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whether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re educational reflects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The meaning of ``educational relationship`` was defined and its components (respect, concern, dialogical interaction, trust, expectation, enthusiasm, engagement/growth) were drawn from the literature review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interaction and teaching. With the content and construct valid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lot tests, the final ``Educational Relationship`` scale with total 28 items (4 items for each subscale) were developed and administered for 1,282 college students in 4 universities.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ross-validation using a Bollen-Stein bootstrapping technique showed the valid quality of the scale. Cronbach α of 7 subscales ranged from .83 to .89, an indication of proper internal reliability of the scale. Concurrent validity were confirmed by th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scale and the ``Professor`s Educational Role`` scale. According to students` and college instructors` gender and academic field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relationship and academic motivation/attitude were found, an evidence of the rol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This scal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is expected to be utilized for promoting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because educational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s critical in the process of college teaching.
리튬 원료에 따른 리튬이온전지 Ni-rich 단결정 양극재 건식합성법 연구
김민성(Minseong Kim),고민성(Minseong Ko) 한국전지학회 2022 한국전지학회지 Vol.2 No.1
리튬이온전지 NCM계 단결정 양극재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우수한 용량 유지율을 바탕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단결정은 공침법을 통해 합성되며 다량의 폐용액 발생, 복잡한 공정 등을 수반할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공침법을 활용하지 않고 고상합성법을 통해 NCM계 단결정을 합성하였다. 각각의 원료로서 전이금속 산화물만을 이용하였으며, 리튬원료에 따른 단결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Single-crystal cathode materials (SCM) of Ni-rich layered oxides (LiNi<SUB>x</SUB>Co<SUB>y</SUB>Mn<SUB>z</SUB>O₂ (NCM), x+y+z=1, x≥0.8) is considered as high energy density and outstanding capacity retention for lithium-ion batteries. However, typically synthesis of SCM by coprecipitation have some problems such as, waste fluid, complicated process, and micro-crack in polycrystal morphology. Herein, we introduced pelletizing process for SCM synthesis without coprecipitated precursor (NCM(OH)₂), using transition metal oxides (NiO, Co₃O₄, and MnO₂) and lithium source (LiOH or Li₂CO₃). Pelleted precursor enables to lower sintering temperature by increasing contact area of particles. These SCM represented well-arranged layered structure. In particular, SCM using lithium carbonate exhibited a high discharge capacity of 191.1 mAh/g (0.1C, 3.0-4.3 V cut-off) and excellent capacity retention of 93.6% after 50 cycles.
김민성(Minseong Kim),김영민(Youngmin Kim) 한국경제연구학회 2012 한국경제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한국 남성 임근근로자의 2004~2009년간에 관찰된 최저임금, 노조가입 여부, 정규직 비율, 교육수준과 연령분포 등 노동시장 여건 및 근로자 개별 특성 벼놔를 고려하여 각 설명변수가 임금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반사실적(counterfactual)임금분포 추정을 통해서 분석한다. 부스트랩을 통한 분석결과 최저임금의 상승은 임금불평등을 억제하는 것으로 교육수준의 증가와 정규직 비율의 증가 및 기타 요인의 변화는 임금불평등을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령구조의 고령화와 노조가입률의 감소는 임금불평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This paper studies the effects on male wage inequality of changes in the labor market environmen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minimum wage, union membership, employment type, education level, and age. We estimate counterfactual wage distribution based on observations from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of 2004 and 2009. Bootstrap analysis finds that rising minimum wag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equality reduction effect and that rising education level and higher proportion of regular workers worsen the wage inequality. We do not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aging and deunionization on male wage inequality.
김민성(Minseong Kim),이상헌(Sangheon Lee) 한국경제연구학회 2010 한국경제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정치경제이론에서 정책결정 과정 도구 가운데 하나인 투표에 관한 연구이다. 투표가 경제적 관점에서 주목 받는 이유는 선거를 통해 선출된 후보자가 경제정책 수립시 자신을 지지해 준 유권자들의 편익을 경제정책에 반영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정치경제이론에서는 모든 유권자가 투표과정에 참여한다는 가정을 두고 있으나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기에 본 연구에서는 어떤 유형의 유권자들이 투표과정에서 이탈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1992년부터 2008년까지의 국회의원 및 대통령 선거자료를 이용하여 거시분석을 한 후 1992년, 1997년, 2002년도에 조사된 ‘대통령선거 유권자 의식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미시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시분석 결과 투표율은 경기순행적 관계를 가진다. 즉, 경제상황이 좋을 경우 투표율은 증가하는 반면 반대의 경우 투표율이 하락하는 이탈가설을 지지한다. 둘째, 미시분석 결과 실업상태에 있는 유권자와 빈곤에 처한 유권자들이 투표과정에서 이탈한다. 이러한 결과는 누군가를 내세워 경제적 이익을 얻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경제주체들은 자신의 효용을 빠른 시간에 높일 수 있는 개인적 관심사에 높은 비중을 두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를 정치경제이론모형에 적용시 정치경제 균형의 성격이 100% 투표율을 가정하는 경우와는 다를 가능성을 시사한다. 즉, 중위소득보다 높은 쪽에서 정치경제 균형이 결정될 수 있다. A typical theory of political economy makes an unrealistic assumption that all voters participate in voting. While this may be a simplifying assumption, it is not innocuous. Actual participation in voting may bias the representation of various interests of the constituents. We examine the association of voting behavior with economic shocks at both macro and micro levels using recent national elections in Korea. The macro data shows that an adverse economic shock lowers voter participation. The evidence from the micro data is that the unemployed individuals are less likely to vote than the employed ones. The evidences are consistent with the so-called "withdrawal"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