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공동체 경험 탐색

        김동례(Dong-Re Kim),박부숙(Boo-Sook Park),송명숙(Myung-Sook Song) K교육연구학회 2024 사회과학리뷰 Vol.9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강화를 위한 교수공동체 경험을 탐색하였다. 참여자는 G시 S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6인으로,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학습과정과 적용과정을 질적연구하였다.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들의 학습과정 탐색 결과 교수들은 디지털 친화력 부족에서 오는 두려움에서 벗어나고자 하였고, 디지털 기기 다루는 방법을 실행하며 서로 창의적 아이디어를 내면서 배우는 즐거움을 느꼈다.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목적을 가진 모임답게 팀워크를 발휘하며 지식을 구성해 갔다.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들의 현장 적용 탐색 결과 교수들은 디지털 교육을 접하면서 유아와 같은 호기심이 생겼고, 유아교육 현장과 연계하여 실천적 지식이 되도록 디지털 교육의 순기능을 살리고자 하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교과목마다 디지털 교육과정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서 교수자를 위한 다양한 공동체 모임과 연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faculty community experience to consolidate the digital competence of S University students in G City. The participants were six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o formed a program to strengthen digital capabilities and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on program learning and application processes to reinforce digital competence. As a result of learning process exploration of the professors for digital competence consolidation, they tried to get out of fear deriving from the lack of digital-friendliness, implemented digital devices handling methods, made creative ideas each other, and felt joy of learning. As a community with a goal of reinforcing digital competence, they demonstrated teamwork and built up knowledge. According to the professors’ onsite application exploration results to reinforce digital competence, they had child-like curiosities as they encountered digital education and tried to make good use of digital education’s positive function so that digital education can become practical knowledge in connec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y decided to apply digital education to the curriculum of each subject in order to enhanc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competence. Based on the study results, various communities and training for teachers are expected to be invigorated for consolidation of digital competence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어린이집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감성지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동례(Dong-Re Kim),마미정(Mi-Jong Ma)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감성지능과 보육교사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K시와 J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 전체는 감성지능 전체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보육교사의 감성지능 전체에 7.2%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원장의 감성리더십 전체는 삶의 질 전체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보육교사의 삶의 질 전체에 9.9%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어린이집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감성지능을 위하여 보육교사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o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quality of lif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277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K and J provinces.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20.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has a 7.2% influence on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hild care center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and has a 9.9% influence on child care teachers’ quality of life.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prepare policy strategies for improving child care teachers’ quality of life in terms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대체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책임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동례(Kim, Dong-Re),노민자(No, Min-Z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18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 부재 시 영유아의 신체, 정서, 인지, 언어, 사회적인 발달에 직접적인 책임을 맡고 있는 대체교사의 책임성, 전문성,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이들 변인과의 관계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각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육아종합지원센터 재직 중인 대체교사 262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대체교사는 전문성인식, 직무만족도 수준이 보통이며 대체적으로 책임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체교사의 전문성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책임성과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체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책임성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nd effects of these variables, centering on the responsibility,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f substitute teachers who are directly responsible for the physical, emotional, cognitive, linguistic, and soci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 the absence of a childcare teach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2 substitute teachers in the childcare comprehensive support center located in each reg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substitute teachers in the childcare center have an ordinary level of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nd that they generally have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responsibility. Second, it i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ubstitute teachers’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the higher the responsi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ird, substitute teachers’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i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ir responsibility and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사회 · 정서발달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 자아존중감,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동례(Kim, Dong-R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20

        본 연구는 사회 · 정서발달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이 유아의 정서지능, 자아존중감,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K지역에 소재한 SJ어린이집에 다니는 A반, B반 만 5세 2학급의 유아 총 24명이였으며, 실험집단(12명), 통제집단(12명)을 임의 배정하였다. 사회 · 정서발달 프로그램은 총 14회기로 주 2회(화, 목) 진행되어, 7주 1회 40분씩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유아의 정서지능, 자아존중감, 친사회적 행동 척도를 사전 ·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 · 정서발달 프로그램이 통제집단 보다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자아존중감에도 미치는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 친사회적 행동을 발달시켜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형성시키는 기초자료가 제공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o-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24 children in two classes, 5 years old in class A and B in SJ daycare center located in K region,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12) and the control group (12). This study conducted a socio-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comprising a total of 14 sessions twice a week (Tuesday, Thursday), and 40 minutes once a week for seven weeks. To evaluate the results of the study, pre-social and post-tests on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scales were perform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4.0.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effect of socio-emotional development program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ffect on self-esteem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and third, the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ese results of analysis suggest that basic data can be provided to develop positive social relationships by developi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 KCI등재

        Comparing the Digital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Person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김은영(Eun-young Kim),김동례(Dong-re Kim)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21 Brain, Digital, & Learning Vol.11 No.4

        This study investigates where there is a difference in digital literac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this end, data from 208 teachers,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Gwangju and South Jeolla Province were analyzed,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digital literacy according to individuals’ background characteristic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eacher group aged 31 to 35 years was high in all three sub-factors of digital literacy (Computer, Information, and Knowledge). Additionally, as per differences in terms of career, the teacher group with more than ten years of experience had a high level of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while that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demonstrated the highest degree of knowledge literacy. Last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digital literacy by the type of institution (whether a kindergarten or a daycare center). This study proposes customized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support measur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future.

      • KCI등재

        3차 평가인증지표 중요성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연구

        조홍자 ( Cho Hong-ja ),김동례 ( Kim Dong-r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본 연구는 제3차 평가인증지표에 관한 유아교육기관의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평가인증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유보통합에 대비하는 평가인증지표를 보다 다각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현장에서 실현성의 차이를 줄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교사 150명, 유치원 교사 153명을 임의표집 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영체계의 적절성에 대한 각 집단의 인식차이를 살펴본 결과 각하위영역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지표의 항목 중요성에 대한 각 집단의 인식차이를 살펴본 결과 보육환경, 건강, 안전, 보육과정운영, 보육활동과 상호작용, 운영관리 하위영역의 대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지표의 구체적 항목중요성에 대한 각 집단의 인식차이를 살펴본 결과 보육환경, 건강, 안전, 보육과정운영, 보육활동과 상호작용, 운영관리의 몇몇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들을 통해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의 평가지표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서 추후 통합평가인증지표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t points of view on the third evaluation accreditation index between percep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subjects were 150 daycare teachers and 153 kindergarten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ub-domain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of each group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operating system.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question contents.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alth, safety, and management sub-domains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the items in the indicators.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items such as child care environment, health, safety, operation of day care, child care activities and interaction, and operation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different views on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index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teachers`, which can be suggestive for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evaluation accreditation index in the future.

      • KCI등재

        지역사회 연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문병환 ( Byung-hwan Mun ),김동례 ( Dong-re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지역사회 연계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 및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J도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유아교사의 인식과실태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유아교사 변인 간 만족도는 χ2 검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연계교육은 타인과의 관계이해와 함께 살아가는 능력 확대를 위해 필요하며,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풍부한 경험획득을 하기 때문에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운영주체는 부모, 원장, 교사, 지역사회 기관 모두이며, 지역사회 연계교육 문제점은 지역사회 자원부족이라고 인식하였다. 둘째, 지역사회연계교육 실태에서 운영횟수는 월1회, 1시간 이하가 가장 많았으며, 연간교육 계획안에 통합과 지역사회와 관계형성하기로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 연계교육 실시 운영, 효과, 기관정보 만족도는 유아교사의 연령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며, 운영만족도는 기관유형별에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사회 연계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영유아의 발달을 도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as well as its current, and for this purpose, 22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J Province were surveyed. From the collected data,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current state were presented as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with the χ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that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augmenting abilities to live together with others, and that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is effective because children can have rich experiences using community resources. They also perceived that the stake holders are all of the parents, institution directors, teacher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and that the lack of community resources is a problem in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Second, the most preferred form for a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class was to meet once a month, for an hour or less per class, with integration into an annual education plan, and a plan for building a relationship with community. Third, th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 way the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class was run, its effects, and institution information was different among the age groups, and satisfaction with the way the class was conducted was different also according to the institution type. With these finding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through community-connected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학부모가 인식한 유아 인성교육 실태 및 요구

        손은경(Eun-Kyoung Son),김동례(Dong-R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1

        본 연구는 학부모가 인식한 유아 인성교육 실태 및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D광역시 거주하며, 공 · 사립유치원을 다니는 학부모 170명을 대상으로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백분율, 다중응답 교차분석과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모님들의 유아인성교육의 관심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가장 높게 인식했으며 관심도 또한 가장 높았다. 전인교육과 유아인성교육의 개념을 같은 맥락에서 해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개념과 내용의 이해는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가정에서의 유아 인성교육 실태를 알아본 결과 가정에서도 인성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가정에서 실시하는 유아 인성교육의 집중 및 활동분야는 기본생활 습관과 일상생활지도 였으며 이러한 활동은 이야기나누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가정에서 유아 인성교육의 활동은 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활동정도는 낮은 편이었고 이러한 원인중 하나는 ‘어떻게 하는지 몰라서’ 인성교육의 방법과 정보의 부족이었다. 셋째, 유아 인성교육의 부모참여에 대한 필요성은 무엇인가를 알아본 결과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부모교육 참여가 이루어져야 하고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의 프로그램으로 생활지도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children learn character education situation and the desire of parents to recognize there is a purpose. In D city, the data collected was intended for 170 parents percentage of the frequency analysis SPSS program was performed multiple responses cross-validation analysis, and difference. As a result, first, it has the highest awareness of the need for Children Personality care and education of parents interest also highest. It was the concept of holistic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Children can see that the same interpretation in the context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hildren education and Personality contents were understood as a whole. Second, these activities were Children Personality to training status could see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are being made in this result assumed concentration of Children humanity education conducted in the home and work areas of daily life guidance and basic lifestyle at home talking It was made through the division. Children correct behavioral models for character education has given the values of the parent as the parent greatest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Personality of children. Third, Children need for parent participation of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made a parent education involvement in what is the result of Children character education out and it was found that it should be carried out life guidance program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charact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