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폰세 마리아 뮈샤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장신구 디자인 연구

        김도아(Kim Do A)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2

        산업혁명 후 근대에서 현대로 넘어가는 시기에 인간 사회가 겪은 변화의 양상은 인류 역사의 어떤 변화보다도 더 역동적이었다. 아르누보 양식은 그 전 사회의 역사적이고 전통적인 예술의 양식과 경계 지으며, 시대적인 경향에 기반한 새로운 동기를 가지고 유럽에서 등장했다. 아르누보는 유기적 형태의 동기를 장식적 예술에 적용했으며, 명확한 방식으로 전통적인 예술에서 탈피했다. 아르누보는 물질의 가치를 추구한 게 아니라 예술의 가치와 디자인 자체의 창의성을 추구했다. 이 때문에, 아르누보는 현대 디자인의 근원으로 여겨지며 또한 예술을 일상에 적용했다는 역사적 의의도 지닌다. 그래픽 일러스트레이션이 널리 그려졌던 시대도 아르누보 시대이다. 아르누보의 특징은 장식성 꽃의 유기적인 선, 상징주의이다. 그중 알퐁스 마리아 뮈샤는 아르누보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만들어낸 그래픽 디자이너 중 한 명이다. 그래픽 디자인은 핵심을 명확하게 하는 데 사용되는 예시나 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한 도구로 등장했다. 일단 목표를 다 하면, 그 생명은 끝난다. 하지만 뮈샤의 일러스트레이션은 단순한 일러스트에서 그치지 않고, 대신 일러스트레이션의 장식적 요소를 개발, 발전시켜 장신구를 만들었다. 본연구는 아르누보 시대의 일러스트레이션을 소개하고, 이 시대에 활발히 활동했던 뮈샤의 작품들과 그의 일러스트레이션에 실린 장신구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The phase of change that human society experienced at the time when it entered from modern age to present time after industrial revolution was more dynamic than any other change in human history. Art Nouveau style emerged in Europe with the background of drawing a distinction from the historic and traditional art style of the previous society and the new motive based on the trend of the times. Art Nouveau applied the motive of the organic forms to the decorative art and grew out of the traditional art in a decisive manner. It pursued not the price of the material but the artistic value and creativity of the design itself. Because of that it is regarded as the origin of the modern design. It also has a historic significance of applying art to every day life. The time when graphic illustration was popular was also the time of Art Nouveau. The characteristics of Art Nouveau are decoration, organic lines of flora and symbolism. Alphonse Maria Mucha was one of the graphic designers who made unique beauty of Art Nouveau. Graphic design emerged as an instrument to convey an example or a story which is used to make a point clear. Once it fulfills its goal its life ends. Mucha, however did not remain at his peaceful life of graphic design. Instead he created jewelry by developing decorative elements of illustr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troduce Art Nouveau era and to study jewelry in the posters and illustrations of Mucha who worked actively in the era.

      • KCI등재후보

        1990년대 이후 한국의 아브젝트 아트(Abject Art)에 나타난 타자성

        김도아(Kim, Do-A),김진아(Kim, Jin-A) 숙명인문학연구소 2021 횡단인문학 Vol.9 No.1

        본 연구는 크리스테바의 아브젝트 이론을 근간으로 하여 1990년대 이후 한국 미술계에 나타난 아브젝트 아트 작품들을 파악하고 고찰한다. 크리스테바는 아브젝트를 더럽고 불결하며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것, 그리고 주체가 주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억압하고 쫓아내야 하는 존재로 논한다. 그러나 쫓겨난 존재는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우리 주변에 머물며 주체에 대립하는 타자가 된다. 아브젝트 아트는 주체에 의해 터부시되고 내던져진 이러한 타자들, 흔히 파편화된 신체, 시체, 피, 정액, 오줌, 침, 똥 등 우리가 혐오하고 불결하게 여기는 것들을 작품의 소재로 사용하면서, 전통적인 ‘미’와 ‘미술’ 관념에 도전하며 주체가 타자를 어떻게 구분 짓고 몰아내는지를 드러낸다.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의 한국 아브젝트 아트에 나타나는 타자(성)을 크게 세 가지유형―비천한 존재와 주체의 양가성, 길들여진/저항하는 여성, 포스트휴먼 주체의 탄생―으로 분류하고, 각 양상을 잘 보여주는 작품들을 선별해 그 주제적, 형식적 특징과 의의를 고찰한다. 한국 아브젝트 아트가 기존의 미술 장르나 재료 등을 어떻게 해체하고있는지, 그리고 타자가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 추적함으로써, 아브젝트와 그에 대한 아브젝시옹 즉 한국 사회의 타자 혐오와 배척 현상을 들추어낸다. 이는 전통적으로 비정상또는 더럽고 비천한 것으로 치부되었던 것들에 대한 재해석이자 주체/타자라는 이분법적 구분에서 벗어나는 사유의 점화점이 될 것이다. Based on Kristeva s theory of the abject, this study identifies and examines the works of Abject art that have emerged in Korean art since the 1990s. Kristeva discusses the abject as dirty, filthy, and unclear, and as an object that must be suppressed and driven out in order for the subject to form an identity. However, the expelled existence does not disappear completely, but rather becomes a batter who stays around us and “is being opposed to I”. Abject art often uses materials such as fragmented bodies, dead bodies, blood, semen, urine, saliva, and excreta, challenging traditional concepts of ‘beauty’ and ‘art’ and revealing how the subject distinguishes and drives out the other. We first classify Korean Abject art into three aspects: the ambivalence of the subject, tamed/resistant women, the birth of the posthuman. And we examine the way “Otherness” is dealt with in each case work that gives us access to the abject and abjection. Thi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reinterpret what has traditionally been regarded as abject, abnormal, dirty or vulgar, and to overcome the dichotomies of subject and object.

      • KCI등재

        크리놀린의 조형성을 응용한 장신구디자인 연구

        김도아(Kim Do a)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1

        장신구와 의복은 인체의 아름다움을 드러나게 해주고, 시대가 느끼는 미적 기준에 도달하게끔 만들어 준다. 인간은 서로 의식하고 주목받길 원하며 존경받고 싶어 하는 욕구를 자신의 신체를 치장함으로서 들어내며 이는 장신구와 복식을 통해 표현하여 왔다고 할 수 있다. 때로는 신체적 고통이나 불편을 감수하면서까지 과장된 장신구나 의복을 착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신분이나 정체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인간의 욕망을 표출하고 과시하여왔다. 그 중 복식은 인체의 형태를 보완하여 또 다른 아름다움을 재창조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스커트를 부풀리기 위해 입는 속옷의 일종인 '크리놀린(Crinoline)'은 19세기에 유행했던 양식으로 약 1850년부터 1870년까지 20년 동안의 짧은 기간이지만 산업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굉장히 확산적으로 유행되어진 복식이다. 혼자서는 거동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불편함을 주는 옷이었지만 귀족 뿐 아니라 모든 계층이 입었던 옷이다. 이는 여성이 얼마나 아름답고 싶은가에 대한 열망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부분이다. 본 연구자는 과장된 외형적 선의 실루엣으로 자신을 과시하고픈 욕망의 대표적 표현수단으로 크리놀린이라는 주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크리놀린이 가진 조형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역사적 내용을 살펴보고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한 이들의 형태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과장, 과시하고픈 욕망의 수단인 이 주제가 가지고 있는 선의 교차반복, 원의 방사배열, 면의 분할 등의 조형성에 대해서 분석하고, 이런 조형요소들을 응용하여 현대 장신구에서는 어떻게 활용하고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단순히 복식의 외형적인 실루엣만을 디자인 요소로 이용한 장신구 디자인이 아니라 복식을 통해 자신의 욕망을 드러내고자 했던 인간의 심리를 이해하고 조형적인 요소를 분석하여 장신구를 제작함에 있어 보다 깊이 있는 디자인이 제시할 수 있는 연구의 발단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Jewellery and clothes make us expose beauty of human body and reach aesthetic criteria felt by the times. Humans are conscious of each other, want to receive attention, expose their desire of receiving attention by decorating their body and express this through accessories and clothes. Sometimes humans wear exaggerated accessories or clothes, enduring physical pain or inconvenience, and express their identity or position through this while showing off their desire. Among them, clothes can be regarded to play a role of recreating another beauty by complementing the shape of human body. Crinoline is a type of underwear to spread skirts and was in at the 19th century. While it was a short period of 20 years from around 1850 to 1870, this costume was extremely popular due to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While this costume was too uncomfortable for the wearer to move easily by herself, it was enjoyed by all classes including aristocrat. It fragmentarily shows desire of women for beauty. I selected "Crinoline' as the main form of expression of desire to show off with exaggerated silhouette of appearance. I examined the historical contents and their forms of changes according to flow of the times, in order to draw the formativeness of Crinoline. Through this, I analyzed the formativeness such as split of face, radial arrangement of circle, cross repetition of line that this subject has, the means of desire to show off and exaggeration, and presented the design regarding how to utilize and express such formative element in modern accessories. I hope this study may serve as the starting point for study that can present more in-depth design in production of jewellery by understanding psychology of humans to express our desire through costume, not just as jewellery design, using only external silhouette of costume, and analyzing formative el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