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능동학습을 통한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제올라이트 구조의 발견

        김남중(Namjung Kim),민경민(Kyoungmin Min)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11

        In this work, a Bayesian active learning platform is developed for the accelerated discovery of mechanically superior zeolites structures from more than half a million hypothetical candidates. An initial database contain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experimentally synthesizable zeolite structures was constructed to train the machine learning regression model. Then, a Bayesian optimization scheme is utilized to identify zeolites with potentially superior mechanical properties. The iteratively updated database consists of 876 labeled zeolite structures, and the uncertainty of the predictive model in terms of the standard deviation is reduced by 40% and 58% for the bulk and shear moduli, respectively. A rigorous study of the model convergence shows that no further improvement occurs after the 10th iteration in which labeled data is gradually added. The proposed platform is able to discover 23 new zeolite structures that have unprecedented shear moduli, including the superior shear modulus (127.81 GPa) which is 250% higher than those in the initial dataset. The proposed platform enhances the predictive accuracy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zeolites, and the proposed framework based on Bayesian active learning accelerates the material discovery process while maximizing computational efficiency.

      • KCI등재

        지식가능성 역설과 반사실적 조건 명제에 대한 논파자

        김남중 ( Nam Joong Kim ) 한국논리학회 2014 論理硏究 Vol.17 No.1

        모든 (의미론적) 반실재론자들은 모종의 검증원칙을 받아들인다. 그 원칙에는 반직관적인 강한 검증원칙과 상대적으로 그럴 듯한 약한 검증원칙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 당연히 반실재론자들은 약한 검증원칙을 선호해왔는데, 이른바 지식가능성 역설은 사실 그 두 가지 형태의 검증원칙들이 동치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에징튼은 새로운 형태의 검증원칙을 제시하지만, 그녀의 검증원칙 역시 그 나름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 에징튼은 반사실적 조건명제를 이용한 지식모형을 제공한 바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 지식모형이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논할 것이다. 익히 알다시피, 비결정론적인 미시적 현상의 세계에서는 극히 낮은 물리적 확률에도 불구하고 간신히 일어나는데 성공하는 사실들이 존재한다. 필자는 이런 사실들과 연관된 반사실적 조건명제는 인식적 논파자의 존재로 말미암아 알려질 수 없으며, 따라서 에징튼의 지식모형은 많은 경우 작동하지 않는다고 논할 것이다. Every (semantic) antirealist accepts one or another form of verification principle. The principle has strong and weak forms, the strong form being highly counterintuitive but the weak one being more plausible. Understandably, antirealists have preferred the weak form of verification principle. Unfortunately, the so-called knowability paradox shows that those two forms are indeed equivalent. To solve this problem, Edgington suggests a yet new form of verification principle. Unfortunately, her new principle has its own difficulty. To overcome this difficulty, Edgington provides a new model of knowledge, according to which every true proposition is somehow associated with a known counterfactual conditional. In this paper, I shall argue that even this new model of knowledge confronts with an insurmountable problem. It is a well-known fact that, in the microscopic levels, some facts manage to occur despite very low physical chances. I will argue that the counterfactuals linked with those facts cannot be known due to the existence of epistemic defeaters. Hence, Edgington`s knowledge model does not work in all cases.

      • KCI등재

        箕子전승의 형성과 단군 신화에의 편입 과정

        김남중(Kim, Nam-Jung)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5

        이 논문은 箕子전승이 언제 형성되었으며 『삼국유사』에 제시된 단군 신화 안에 기자 전승이 유입된 시기 및 배경을 고찰한 것이다. 먼저 고조선 지역에서 일어난 세력들의 자기 인식을 토대로 고조선인들이 천신이나 선인의 후예라는 인식을 지녔음을 살필 수 있었다. 반면 『고기』류 단군 신화상의 기자는 단순히 周王에 의해 봉건된 제후의 모습으로만 나와 토착 세력들이 지닌 王者의 조건을 지닌 인물로 묘사되어 있지 않다. 기자 전승은 고조선인들이 보편적으로 지니고 있던 시조 전승과는 거리가 멀다는 점에서 고조선 시기에 단군 신화에 편입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러한 기자 전승은 漢代문헌에서 나오기 시작하는데, 고조선 시기에 존재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어렵다. 『위략』에 기원전 4세기 말에 朝鮮侯가 稱王을 하고 燕과 군사적 충돌 직전까지 갔던 내용이 나온다. 이때 대부 禮가 연에 가서 燕王을 설득하여 전쟁을 막았는데, 기자전승은 이 과정에서 대부 예에 의해 각색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기자동래설이 고조선 사회에 확산되어 있었던 것은 아니고 對燕외교를 이끌었던 대부 예로 언급된 세력 안에서만 언급된 정도로만 보인다. 『고기』류 단군 신화상에 나타난 기자의 모습에서 낙랑군 통치 시기나 고구려 시기에도 기자 전승이 단군 신화에 편입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기자의 이주는 단군의 藏唐京이주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과 황해도 信川[儒州] 지역에 거주하던 고조선 계승 세력의 전승이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즉 고조선의 도읍으로 알려져 왔던 평양이 아닌 신천 일대가 단군의 도읍이 된 배경을 설명하기 위해서 기자 전승이 단군 신화에 편입된 것으로 보인다. 편입 시기는 고구려 멸망 이후 평양 일대는 황폐화되고 황해도 일대는 무정부 상태나 다를 바 없게 되었던 통일신라 시대로 보인다. This paper examined the Jizi(箕子) lore when was formed and how incorporated in Dangun myth of Samguk Yusa(三國遺事). First, studied the self-awareness of forces grew up in Old Joseon area, these led that Old Joseon people had been proud descendant of the heavenly gods(天神) or hsien(仙人). On the other hand, Jizi was depicted the feudal princes by king of zhou(周) in Dangun myth of Goki(古記), it was far from the image of king having had the Natives. It showed that the incorporation time of Jizi lore into Dangun Myth was not Old Joseon period. Jizi lore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documents of Han(漢) dynasty, it could not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the lore had existed in Old Joseon period. Weilue(魏略) had written the story that the head of Old Joseon was referred to the king himself, went until just cause military confrontation with Yan(燕) state in the late 4th century B.C. Then Daebu(大夫) Ye(禮) went to Yan and prevented a war to persuade the king of Yan, it is possible that Jizi lore was created by Daebu Ye at this time. However, it is estimated ‘the theory of Jizi’s migration to korea(箕子東來說)’ had not spread in Old Joseon, but only talked in the forces of Daebu Ye who led the Yan diplomacy. Seen from the image of Jizi in Dangun myth mentioned in Goki (古記), the incorporation time of Jizi lore into Dangun Myth was not Nakrang Gun(樂浪郡) or Goguryeo period also. Jizi’s migration to Old Joseon was connected with Dangun’s migration to Jangdanggyeong(藏唐京), it showed that the Jizi lore was related to a legend of Old Joseon descendants lived in Hwanghae-Do Shincheon(信川)[Yuju(儒州)] area. The record seems to be incorporated in order to explain why not Pyongyang but Shincheon area associated with Dangun. The incorporation time is estimated to be Unified Silla period when Pyongyang had been devastated and Hwanghae-Do area had been not different from the anarchy.

      • KCI등재

        『說文解字』의 고조선ㆍ낙랑 기록과 典據

        김남중(Kim Nam Jung) 한국고대학회 2017 先史와 古代 Vol.- No.51

        『설문해자』에는 요동ㆍ낙랑 일대의 토산물과 생활상, 낙랑설령 및 조선의 방언 등에 대한 내용을 살필 수 있다. 토산물에 대한 기록 태도를 통해 먼저 낙랑 지역은 하나의 국(낙랑반국)으로 인식하는 시각과 한의 군현(낙랑군)으로 인식하는 시각이 공존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예 지역 토산물의 산지를 薉邪頭國과 樂浪東暆 두 가지 형태로 표시한 점에서는 한과 예 사이에 최소한 두 계통 이상의 교역 루트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예맥 지역에 대한 시각도 독특한데, 이러한 기록들은 한의 공식 문서에서 얻은 것으로 보인다. 『설문해자』에 소개된 조선의 방언은 양웅이 쓴 『방언』의 내용과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이런 점에서 『설문해자』가 『방언』을 직접 참고했는지는 불분명하고 별도의 자료를 통해 얻었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언어 구역을 논하면서 조선과 동이를 구별하여 서술하였다는 특징도 보인다. 『설문해자』에는 한의 법령이 실려 있는데, 형법 조항뿐만 아니라 행정에 필요한 여러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허신이 본 낙랑설령도 형법뿐만 아니라 낙랑 통치에 필요한 여러 정보들이 담겨져 있었을 것이다. 『설문해자』에는 출전을 알기 어려운 낙랑 일대의 토산물이나 조선의 방언이 실려 있는데, 이중 일부는 낙랑설령에서 얻었을 수 있다. 고조선의 범금 역시 낙랑설령에 실렸을 것으로 보인다. There are the local products of Liaodong(遼東) & Lelang area, the life cycle of the local residents, Lelang-Qieling(樂浪挈令) and Chosun dialect in Shuowenjiezi(說文解字). Through recording methods for the local products, we can see that Han(漢) people considered Lelang both an independent nation(namely Nakrangban state) and also a Gunhyeon(郡縣) of Han(namely Lelang county). Through two forms of recording methods, Ye-Sadu state(薉邪頭國) and Lelang Dongyi(樂浪東暆), for the local products of Ye(薉) area, we can see to be two trading routes between Han and Ye at least. Their perspective on Yemaek(薉貉) area is unique, these records may be obtained from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Han. The records of Chosun dialect in Shuowenjiezi differ slightly from those records in Dialect written by Yangxiong(揚雄). In this regard, it seems that the dialects in Shuowenjiezi had quoted from not Dialect but Other resources. In addition, describing the area of tongues, the book distinguished between Chosun and Dongyi(東夷). Shuowenjiezi contains the law of Han, which include several provisions necessary for the administration as well as the provisions of the criminal code. Lelang-Qieling that Xushen(許愼) saw had seen contained not only criminal code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for Lelang regional governance. The some records of Lelang area which sources are unknown in Shuowenjiezi, would have been in Lelang-Qieling. Prohibitive legislations of Old-Chosun also would have been in Lelang-Qieling.

      • 제주도 스포츠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남중(Nam-Jung Kim)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2011 산업기술연구논문지 (JITR) Vol.16 No.1

        This study is apt to inquire and investigate the state of sports tourism in Jeju-do and to seek the way to inspire it.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sample the population(N=600), and the data for 550 responders out of 600 were used for the analys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 program SPSS Windows 10.0 Version using chi-square and frequency analysis. The conclusion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urist who visited Jeju-do, workers of tourism, and college students have a very positive consciousness about sports tourism and have a very bright expectation on tourism development possibility. Second, increase of frequent entrance and cheap accomodation or convenience facility of high quality make tourism condition and environment of Jeju-do have very fluent materials. Final,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rea of sports tourism.

      • KCI등재

        險瀆과 고조선의 관계

        김남중(Kim, Nam-Jung)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1

        이 글은 위만조선의 도읍과 관련이 있는 險瀆에 대해 살펴보았다. 應劭는 험독에 대해 “朝鮮王滿都” 또는 “朝鮮王舊都”라는 주를 남겼는데, “朝鮮王”은 위만조선의 왕을 지칭하며, “滿都”와 “舊都”는 모두 위만조선의 도읍을 지칭한다. 응소는 낙랑군 조선현에 대해서도 고조선과 관련된 주를 남겼는데, 이것은 위만조선 이전의 原고조선 세력과 관련된 것이며, 응소는 어디까지나 험독을 위만조선의 도읍으로 보았다. 험독의 위치와 관련해서는 昌黎에 험독이 있었다는 서광의 주가 주목되었으나 서광이 언급한 험독은 요하 서쪽에 있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누선장군의 왕검성 공격 기사로 볼 때 왕검성은 패수(혼하)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았음을 알 수 있으며, 수로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곳이라는 점에서 태자하를 따라 들어갈 수 있는 요양 본계 일대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왕검성이 포함하고 있었던 험독은 이 일대에 위치하였다고 하겠다. 험독이라는 이름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단정하기 어려우나 위만조선 또는 그 이전부터 토착 세력이 사용하였을 가능성은 있다. 험독의 어원에 대해 크게 한자어의 뜻을 염두에 두고 물의 험함에 의거하였다는 입장과 신(통치자)이 거주하는 곳이라는 의미로 토착 세력이 사용하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입장이 있다. 이러한 험독의 瀆은 ‘개울(물), 신성함, 동굴(구멍)’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는 글자로, 險瀆은 여기에 ‘험함’의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단군 신화 상의 웅녀 이야기에서도 ‘동굴, 신성함, 물(水神)’의 이미지가 나타난다. 태자하 유역도 동굴 무덤 유적이 많이 조사되었고 물이 흘러나오는 동굴이 있다는 점에서 ‘개울(물), 신령함, 동굴(구멍)’의 이미지를 담고 있는 瀆이라는 글자와 통하는 면이 있다. 험독의 瀆은 단군 신화에 나오는 웅녀 이야기뿐만 아니라 태자하 일대의 자연 환경 등과도 어울리는 글자인 것이다. 이 지역은 고조선의 고고학적 실체로 이야기되고 있는 십이대영자 문화와 그 지류인 정가와자 유형의 유입으로 기원전 1000년기 후반에 상보 유형의 청동기 문화가 발전하였다는 점에서 환웅으로 표현되는 이주 세력과 웅녀로 표현되는 토착 세력과의 결합을 연상케 한다. 험독이라는 이름은 물길이 험하다는 지리적 상황뿐만 아니라 태자하 일대 고조선 토착 사회의 상황과 관련하여 나타난 이름이라 하겠다. This paper exaimes Heomdok(險瀆)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capital of Wiman Joseon. In Eung-so(應昭)"s comment about Heomdok, “The king of Joseon” is identical to the king of Wiman Joseon, both “Man Capital(滿都)” and “Old Capital(舊都)” refer to the capital of Wiman Joseon. The Eung-so"s comment abut Nakrang Gun (樂浪郡) Joseon Hyeon(朝鮮縣) is associated with Proto Old Joseon force, Eung-so thought that the capital of Wiman Joseon was located in Heomdok. Seog-gwang(徐廣) annotated that Heomdok was located in Changyeo(昌黎), but it is problematic in the sense that Changyeo was in the east of the Liao He(遼河). When looking at the document recording the event The Han(漢) admiral Nu-seon(樓船) attacked Wanggeom Castle, Wanggeom Castle was located not far from Pae river(Hun He) and where the vessel was able to access. In this respect, it can be seen Wanggeom Castle was located in Liaoyang(遼陽) Bunxi(本溪) region where Taizi He(太子河) is flowing. Dok(瀆) letter of the Heomdok has the image of ‘brook(water), divineness, cave(hole)’, in addition to those images, Heomdok has more image of ‘rugged terrain’. By the way, such images appear at Bear female(熊女) story in Dan-gun Mythology. Furthermore, in the Taizi He basin it was discovered lots of cave tomb sites, among the caves are also water flowing. In this regard, Taizi He basin is consistent with the letter of Dok. Through such reviews, it can be seen that Heomdok is a name that reflects not only a geographical situation but the several situation of Old Joseon society in Taizi He basin.

      • KCI등재

        『魏略』 韓傳의 특징과 『三國志』·『三國史記』와의 관계

        김남중(Kim, Nam-Jung)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한국고대사탐구 Vol.28 No.-

        『한원』 삼한전의 注文에는 독특한 특징이 보이는데, 진한에 대한 내용은 주로 『위략』을 인용하고 있지만 마한에 대한 내용은 『후한서』를 인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위략』 한전이 진한에 많은 비중을 두어 기술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즉 『위략』 한전은 진한 위주로 기술되었다. 『삼국지』 한전은 『위략』의 내용을 많이 담고 있지만 진한에 대해서는 정반대로 묘사하고 있다. 『위략』에서는 진한을 중국과 이질적인 사회로 묘사하고 있는 반면, 『삼국지』에서는 진한이 秦人・낙랑과 관련이 있으며 예의가 있는 사회로 묘사하고 있다. 이것은 『삼국지』가 기술되기 훨씬 이전에 낙랑 지역 주민의 진한으로의 이주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위략』 한전에 인용된 진한 기사의 채록 시기를 다루었다. 『위략』에는 진한인 염사착이 地皇연간(기원후 20~22)에 낙랑군과 교섭한 내용이 실려 있다. 『위략』 한전은 진한인 염사착을 통해 얻은 자료가 기초가 된 것으로, 1세기 초를 배경으로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1세기 초를 배경으로 한 『위략』과 『삼국사기』 신라본기 초기 기록을 비교해보면 내용상 별 차이가 없다. 즉 두 사서에 나타난 진한(신라)수장의 대외적 위상은 다르지 않았다. 또한 『위략』에서 진한의 왕이 마한인이었다고 전하는데, 이것은 마한과 관련 있는 고조선 세력이 진한(신라)의 왕이 된 사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에는 유리이사금 14년(기원후 37)에 고구려에 멸망한 낙랑국 주민 5천 명이 신라로 망명해 왔음을 전하는데, 이것은 『위략』의 삼한에 대한 원 자료와 『삼국지』 기사 사이의 변화를 설명해 준다. 이상의 내용은 1세기 이전 『삼국사기』 신라본기 기사가 중국 사서의 기록과 동떨어져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삼국사기』 신라본기는 박씨왕 초기 기록부터 어느 정도 신뢰성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The annotation of Hanwon Samhan-Jeon has something unique, it is that the contents for Jinhan mainly are cited in Yilyag, but the contents for Mahan are quoted in Huhanseo. This is because Yilyag Han-Jeon has been described with much emphasis on Jinhan. In other words, Yilyag Han-Jeon was mainly written about Jinhan. Samgugji Han-Jeon contains many contents of Yilyag, but description of Jinhan is the opposite. In Yilyag, Jinhan is described as a heterogeneous society with china, while in Samgugji, Jinhan people are associated with Qin people & Nakrang, and portray Jinhan as a country that knows courtesy. This means that the local residents of Nakrang area migrated to Jinhan long before Samgugji was written. Next, I dealt with the selecting time of the Jinhan records cited in Yilyag Han-Jeon. Yilyag contains records that Jinhan people yeomsachag had negotiated with Lelang county at Dihuang time(A.D. 20~22). Yilyag Han-Jeon is written on the basis of data obtained through yeomsachag, it can be said to be based on the beginning of the first century. Comparing Yilyag with Samgugsagi Silla-Bongi, which contains the events at the first century, there is no difference in content. In other words, the external status of Jinhan(Silla)’s king which appeared in the two texts was not different. The Yilyag also says that the king of Jinhan was a Mahan person, which seems to reflect the fact that a person from Old Joseon related to Mahan became Jinhan(Silla)’s king. Samgugsagi tells us that 5,000 Nakrang state residents who lost their country due to the invasion of Gogulyeo in the 14th year of Yuli-Isageum(A.D. 37) had been exiled to Silla, this explains the change between Yilyag’s original source for Samhan and the Samgugji article. These conclusions imply that the records of Samgugsagi Silla-Bongi before the first century are not far from the records of the chinese history books. This means that Samgugsagi Silla-Bongi records from initial period of kings with Park(朴)’s family name are can be trusted somewhat.

      • KCI등재

        韓-曹魏 전쟁과 韓 사회의 재편

        김남중(Kim, Nam-jung)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1 한국고대사탐구 Vol.37 No.-

        이 글은 정시 연간(240~249) 조위와 전쟁의 배경과 결과, 전후 이루어진 한 사회의 재편을 다루었다. 기리영 전쟁은 진한 8국과 관련하여 조위와 한 사이에 말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일어났다. 이때 언쟁의 핵심은 한을 바라보는 조위의 입장과 한 자신들의 입장 차이에 있었다. 조위는 낙랑군과 교류했던 영남의 진한 즉 주변부 세력의 입장에서 한을 인식하였던 것이다. 이를 신분고국 등 목지국 진왕 측 세력은 진왕의 권위 무시와 한의 분열 획책으로 간주하고 분노하였다. 목지국 진왕은 낙랑군과 직접 교류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에 대한 이들의 인식이 중국 측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했던 것이다. 결국 이를 직접 들은 신분고국이 전쟁을 일으켰고 목지국 진왕을 지지하는 세력이 여기에 참여하였다. 『삼국지』에는 한을 멸하였다고 표현하였지만 실제 조위는 한으로부터 어떠한 배상도 얻어내지 못하였다. 이는 전쟁 후에도 한이 조위에 위협적이었음을 보여준다. 이에 조위는 고구려와 전쟁에서 큰 공을 세운 왕기를 대방태수로 임명하여 한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왕기와 대방군 관리들은 對韓 정책에서 특별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에 한 지역은 조위에 위협이 되지도 않고 도움도 되지않음을 강조하는 보고서를 올려 상황을 마무리하려 했던 듯하다. 이런 점에서 『삼국지』 한전에 묘사된 마한 모습은 객관성이 약간 결여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대방군에서 이러한 보고서를 올릴 수밖에 없었다는 점에서 조위의 대한 정책이 성공적이지 못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전쟁으로 한 지역에서는 진왕 세력이 쇠퇴하고 백제가 성장하였다. 기리영 전쟁으로 목지국 진왕이 쇠퇴하면서 대방군에 가까운 지역에 있던 세력들이 조위의 침공을 두려워하여 백제를 선택한 것이다. 3세기 중엽 고이왕 무렵으로, 백제는 무력이 아닌 주변 세력의 지지를 통해 맹주가 된 것이다. 다만 중국에서 멀리 떨어져 있던 세력들은 백제를 지지하지 않고 다른 선택을 하였다. 이로 인해 한은 백제, 신라, 가야 연맹, 마한 연맹 등 몇몇 세력이 대립하는 체제로 재편되었다. 호남의 일부 지역에 백제의 힘이 미치지 않았다는 점은 신미국 등의 활동,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벽골제 축조 기사 등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background and consequences of the war against caowei state in the zhengshi annual(240-249) and the reorganization of han society after the war. The battle of giriyeong took place in the process of exchanging words between caowei and han regarding jinhan"s eight countries. At this time, the core of the argument was that the perspective of caowei on han was different from that of han themselves. Caowei recognized ha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rrounding forces, namely jinhan in the yeongnam area, who had interacted with lelangjun. In response to this, shinbungo kingdom and other supporters of the jin king in mokgi were angry, considering it as a "disregard for the authority of the jin king and a plan for the division of han society." Jin king in mokgi did not interact directly with lelangjun, so their perception of han was not properly reflected in china. In the end, shinbungo kingdom, who heard this firsthand, started a war, and supporters of the jin king in mokgi participated in it. Although sanguozhi described han as "destroying", in reality caowei did not obtain any compensation from han. This shows that even after the war, han was a threat to caowei. In response, caowei appointed wangqi, who had made great contributions to the war against goguryeo, as the minister of daifang, to resolve the problems in han. However, wangqi and daifangjun officials did not achieve particular results in their countermeasures against han. So they seem to have tried to wrap things up by posting a report that emphasized that the han region was neither a threat nor a help to caowei. In this regard, the appearance of mahan society described in the sanguozhi han-zhuan is a little lacking in objectivity. It can also be inferred that the caowei policy on han has not been successful in that daifangjun had no choice but to publish such a report. The war led to the decline of the jin king forces in the han and the growth of baekje. As a result of the battle of giriyeong, jin king in mokgi declined, and forces near daifangjun chose baekje for fear of caowei invasion. In the mid-3rd century, during king goi"s reign, baekje became a lord through the support of neighboring forces, not by force. However, the forces that were far from china did not support baekje and made a different choices. As a result, han was reorganized into a system of confrontation between baekje, silla, gaya confederation, and mahan confederation. The fact that some parts of honam did not have the power of the baekje can be seen through a construction article on byeokgol reservoir in samguksagi sillabongi, and activities of shinmi kingd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