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문화성 함양을 위한 해외 교사 언어 개발 방안

        김남경 ( Kim Namgyeong ) 한국민족연구원 2017 민족연구 Vol.0 No.69

        한국어 교육에서 교사의 언어는 수업을 형성하고 이끌어나가는 데 있어 주된 도구가 된다. 그러나 해외 교육 현장에 있어서 교사언어는 처음 한국어를 접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성공적인 한국어 수업을 하게 하는 기본적인 수단이면서, 한국어 교사의 수업 진행을 위한 필수적인 요건이 된다. 본 논의에서는 해외에서 한국어교육을 위하여 필요한 교사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해외 경험이 있는 응답자와 해외 경험이 없는 응답자 사이에 상당히 큰 차이가 있었다. 해외 경험자의 응답 결과를 통해, 해외에서의 언어문화의 사전 습득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해외에서의 문화보다는 언어가 비경험자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의 필요를 보이고 있다. 해외 교실에서의 한국어교육 또한 한국어에 대한 지식과 그것을 전달하는 데 중점이 있다 하겠다. 한국어교육의 경험이 있는 경우, 교육방법보다는 해외 현지에서의 언어, 생활언어보다는 교육언어, 수업단계 진행용 언어보다는 지식설명용 언어, 학생관리용 언어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다. 또한 현지언어의 필요시기와 분야에 대하여는 초급에 한정되어 있는 무경험자에 비해 자모교육에서 부터 현지언어가 필요하며, 어휘, 문법, 발음교육 분야에 모두 현지언어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를 반영하여 학습내용 관련 교사언어(자모교육과 발음교육, 어휘교육, 문법교육)와 수업진행 관련 교사언어(수업단계 진행, 활동 지시 및 설명, 피드백, 교실통제)를 제시하기로 한다. 또한 현지언어 중에서는 인도네시아어와 병행하여 제시한다. 인도네시아어는 우리에게 익숙한 알파벳으로 표기하고, 발음과 표기가 1:1로 대응되므로 빠른 시간 안에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언어이다. 본 논의에서는 한국어교사의 다문화성 함양을 위하여 다양한 현지 교사언어가 개발되어, 해외 현장에서의 안정적인 적응과 수월성,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T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eachers` instructional language is a main medium that forms and leads the class. However, in the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teachers` instructional language is a fundamental means to have a successful Korean language class for foreign learners and is essential for Korean teachers` class progress. For the successful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find out the teachers` demands over the required local language.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e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inexperie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the response results of the overseas Korean language learner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overseas classroom is to convey and spread the information of Korean language. In the case of the experie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more local languages than teaching methods, educational languages than common languages, knowledge explanation languages than classroom teaching languages, and student management languages. In addition, for where and when the local language education is needed, the experienced learners need more local language education than inexperienced learners limited for the beginner, from Hangeul alphabet education. It indicates that the local language education is needed for the all fields of vocabulary, grammar and pronunciation education. In response to reflect the result, this study presents the instructional language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including Korean alphabet, pronunciation, vocabulary, grammar education and the instructional language related to the class progress including class progress stage, activity instructions and explanations, feedback, classroom control. Students will be able to learn Korean effectively as Indonesian spells in English alphabet that Koreans are familiar with, and is also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pronunciation and spelling. Although the Korean education center overseas is lack of teaching material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various local instructional languages will be crea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and this allow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academic excellence and practicalit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 KCI등재

        시문신독본의 「연습도」 연구

        김남경(Kim, Namgyeong)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0 민족문화논총 Vol.76 No.-

        시문신독본(時文新讀本)의 「연습도(練習圖)」는 언어학습을 위한 보조자료로 한글 및 한자를 놀이를 통해 흥미롭게 익힐 수 있도록 별도로 제작된 것이다. 시문신독본은 일제 강점기인 1927년 황응두(黃應斗)가 편찬한 것으로 발행지는 대구이다. 이 「연습도」는 모두 23장으로, 이 중 「朝鮮文練習上圖」와 「朝鮮文練習下圖」는 ‘한글을 다루고 있어 더욱 흥미롭다. 「연습도」에는 3가지의 언어가 혼재하는데, 한글 놀이판에는 한글이, 한자놀이판에는 한자와 일본어가 병기되어 있다. 「연습도」매 장에는 놀이의 방법이 한글로 적혀 있고, 「조선문연습도」에는 ‘ㄱ’항인 ‘가갸거겨고교구규그기과궈’~‘ㅎ’항인 ‘하햐허혀호효후휴흐히화훠’를 익히도록 하였다. 「제1연습도」~「제21연습도」는 매 장마다 주제별로 한자의 음과 훈을 연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동일 저자의 저술인「통학경편」을 바탕으로 한다. 국어학적 특성으로는 표기와 음운면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각자병서, 분철, 7종성의 경향성이 뚜렷했으나, 간혹 합용병서인 ‘ㅼ’, ‘ㅾ’의 표기나 ‘ㄺ, ㄻ, ㄼ’의 겹받침 표기도 보인다. 유음화가 반영되지 않은 ㄹㄴ표기의 유지, 두음에서의 한자음 ㄹ, ㄴ유지 등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모음에서는 ‘・’ 표기가 전면적으로 사라졌으나 한글 자모 예시에만 남아 있는 점 등에서 당시 ‘・’의 표기의 혼란을 짐작할 수 있다. 음운에서는 ‘ㄷ’구개음화 현상과 원순모음화 현상이 나타난다. 구개음화의 경우는 고유어에 한해 반영되며, 한자음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언어교육을 위한 보조자료로서의 희소 가치와 국어사 자료로서의 가치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는데 의의가 크다. The 「Practice Board(練習圖)」 of Simunsindokbon(時文新讀本), which is a supplementary material for the language learning is separately made for learn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 through the game. Simunsindokbon(時文新讀本) is published by Hwang, Eungdu in 1927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place of issue is Daegu in South Korea. The 「Practice Board」 is a ll 20 piec es and 「The first volume of Korean language practice board」 and 「The second volume of Korean language practice board」 among them deal with Korean alphabet, so it is more interesting. The 「Practice Board」 is blended with three languages written side-byside in Korean on the Korean practice board and in Chinese character and Japanese on the Chinese practice board. The method of play in each 「Practice Board」 is written in Korean and the 「Korean language practice board」 among them is acquired f rom the section ‘ㄱ’ including ‘가갸거겨고교구규그기과궈’ to the sec tion ‘ㅎ’ including ‘하햐허혀호효후휴흐히화훠’. 「The first practice board」 to 「the twenty second practice board」 are organized to practice the sound and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for each topic. This is based on the book of the same writer, 「Tonghakgyeongpyeon」. As for the Korean language characteristics, it examines in terms of notation and phonology. Although the tendency of each byeongseo, buncheol and 7 final consonants is clear, but it sometimes shows the notion of the combined byeongseo ‘ㅼ’, ‘ㅾ’ or the double final consonants ‘ㄺ, ㄻ, ㄼ’. Also, it shows the traits of maintaining the notation ㄹ, ㄴ and the maintaining the sound of the Chinese character ㄹ, ㄴ in the initial sound. In the vowel, the notation ‘・’ entirely disappeared, but it remains only in the example of Korean alphabet. In the sound, the ‘ㄷ’ palatalization and the vowel rounding appears. In case of the palatalization, i t is reflected only in the Korean native word, and i s hardly seen in the chinese charac ter. It has a great significance that i t has both s carcity value as a supplementary material for language learning and as a material of Korean language history.

      • KCI등재

        표준한국어의 매체 활용 양상 연구

        김남경(Kim Namgy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이 논의는 보다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매체 활용의 관점에서, KSL 교재인 표준한국어 34권을 대상으로, 매체의유형과 활용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매체 활용의 현황을 밝히고, 매체 활용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것이다. 또한, 교재에 제시된 매체에 대한 연구가 깊이 있게 진행되고 있는 국어교육에 비해, 교육과정을 함께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거의 부재하다시피한 한국어교재에서의 매체 활용 논의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교재에 나타난 매체 유형은 일방적 매체로 책, CD, 신문, TV, 양방향 매체로 휴대전화와 컴퓨터였으며, 초등학교용에서 103건, 중고등학교용에서 53건의 목록을 추출하였다. 초등학생용에서는 책, 신문 등의 매체는 읽기와 말하기, 쓰기, 어휘 수업으로 활용되었으며, CD-노래는 초등학교용에서만 볼 수 있는 유형으로, 주로 어휘 교육을 위해 활용하고 있었다. TV는 교재에서 적극적으로 드러나지는않았으나 다각적으로 보여지고 있었다. 양방향 매체인 휴대전화와 컴퓨터는 기능을 익히게 하거나 말하기 소재로활용하기도 하였는데, 사용 예절, 사용 제한 등 부정적, 소극적, 교육적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 중고등학생용에서는 책, 신문은 주로 학습도구 교재에서 읽기, 말하기, 쓰기 등의 자료로 제시되고 있으며, 초등학교용에 비해 실제적,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양방향 매체로서 휴대전화와 컴퓨터 역시 기능 학습, 정보 수집과 공유 등으로 빈번히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매체 각각의 특성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어, 문자, 음성, 복합 양식을 고려한 다차원적인 교육적 활용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매체 텍스트의 내용적인 면뿐 아니라, 감각적인 면의 적절한 활용이 더욱 필요하며, 주된 자료가 아닌, 예문, 예시, 보기, 상징물 등의 부수적인 자료에서도 사고 기능을 비롯한 효과적인 기능 활동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교육에서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매체제시와 활용이 뒷받침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types and usage patterns of media with 34 volumes of ‘Standard Korean’,which is the Korean as a Second Language(KSL) textbook, from the perspective of more realisticand practical media utilization. This allows to reveal the current status of media utilization andto explore the media utilization methods. Compar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s been conducted an in-depth study intothe media presentend in the textbook, it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is a discussion on theuse of media in Korean textbooks, which has little to aim for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the National Curriculum. The media types shown in the textbook were books, CDs, newspapers, TV as one-sided media,and mobile phones and computers as interactive media. As for the media types, 103 cases wereextracted from elementary school textobooks and 53 cases were extracted from middle and highschool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dia such as books and newspapers were used for reading,speaking, writing, and vocabulary lessons, and CD-songs, a type that can only be shown for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mainly used for teaching vocabulary. TV is not actively shownin textbooks, but it is shown in various ways. Mobile phones and computers, which areinteractive media, have been used to learn functions or an material for speaking, and they takenegative, passive, educational attitudes such as etiquette and restrictions in using cell phones andcomputer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ooks and newspapers are mainly presented asmaterials for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in learning tool textbooks, and they are used morepractically and more actively tha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interactive media, mobilephones and computers are also frequently used for functional learning, information collection,and sharing. However, it cannot be used effective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dium, so it isrequired a multi-dimensional educational application plan considering text, voice, and complexforms. In addition, appropriate utilization of the sensuous aspect as well as the content aspect ofthe media text is more necessary. It was mentioned that it can be used as an effectivefunctional activity including thinking skills in supplementary data such as example sentences,examples, alternatives, and symbols that are not the main data.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the presentation and utilization of various types of media discussed in Korean education need to be supported.

      • KCI등재후보

        재외동포 대상 한글학교의 현황과 과제

        이화숙 ( Yi Hwasook ),김남경 ( Kim Namgyeong ) 한국민족연구원 2018 민족연구 Vol.0 No.72

        이 글의 목적은 재외 한글학교 현황을 분석하고 발전 과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7년까지 한글학교의 수와 학생, 교사에 대한 지역별 분포와 추이를 분석하였다. 한글학교와 학생, 교사는 북미와 아시아 그리고 CIS 지역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다. 유럽과 아시아, 중남미 지역에 한글학교와 학생이 증가하였으며, CIS와 북미 지역에서는 한글학교와 학생이 감소하였다. 한글학교 학생은 초등학생 연령이 가장 많으며, 그 다음이 유치원생과 성인이다. 중고등학생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학년이 올라갈수록 한글학교에 참여하는 학생이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경향을 참고할 때, 학업 연장을 위한 현실적이고도 정책적인 도모가 필요하다. 한글학교가 공신력을 갖기 위해서는 교육기관으로서의 성격을 강화하고, 현지의 공교육에서 요구하는 이중 언어 교육과정을 한글학교 교육에 적용하는 등 현지화할 필요가 있으며, 한글학교의 수업이 공교육 기관으로부터 학점 인정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제도를 통해 중고등학생이 감소하는 경향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국어 교육을 한글학교가 전담하고 있는 나라에는 전문 교사를 파견하는 등 교사의 전문성도 정책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Overseas Korean schools and suggest further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it analyzed the number of Korean schools and the distribution and tends of students, and teachers from 2004 to 2017. Korean schools, students, and teachers are most commonly found in North America, Asia, and the CIS region. Even though the number of Korean schools and students increased in Europe, Asia, and Central and South America, the number of Korean schools and students decreased the most in CIS and North America. Korean school students have become the largest grou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llowed by kindergarteners and adul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end to decrease gradually, and the number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Korean language schools is decreasing as they advance through school. With a reference on these trends, we need a realistic and political plan for extending studies. In order for Korean schools to have public confidence, they should strengthen their character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localize with applying bilingual curriculum to Korean language school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local public education requirements. Also, the class of Korean language school should be able to get credit transfer from public education institutions. This system will overcome the tendency of declin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have a political support for professionalism of teachers such as dispatching professional teachers to countries where Korean language schools are charged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