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egg-Calve-Perthes 병에서 새로운 무명골 절골술

        김기형(Ki Hyeoung Kim),조상권(Sang Gwon Cho),윤택림(Taek Rim Yoon),송은규(Eun Kyoo Song),선종근(Jong Keun Seon),박기헌(Gi Heo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1

        목적: Legg-Calve-Perthes (LCP) 병에 대해 Salter 무명골 절골술을 변형시켜 만든 새로운 Salter 무명골 골절술로 치료했던 환자들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평가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LCP병에 대해 새로운 무명골 절골술로 치료한 2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새로운 무명골 절골술에서는 장골의 전방은 관상면 45도, 시상면상 30-45도로 절골을 시행하였고, 장골의 후방은 기존 방법으로 절골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5.5년이었다. 절골술 부위에 전 예에서 K 강선 고정을 시행하지 않았으며, 8예에서 한개의 생흡수성 나사못을 사용하였다. 결과: Robison 기준에 따른 분류상 양호는 20예였다. Mose 분류상 양호는 12예였으며, Stulberg 분류상 Ⅰ군 8예, Ⅱ군 6예, 3군은 8예, 4군은 3예였다. 평균 center-edge 각은 19.4도에서 30.2도로 증가하였다. 결론: 새로운 무명골 절골술은 기존의 Salter 무명골 절골술보다 더 쉽고 간단하며, K 강선 고정을 시행하지 않고도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a new innominate osteotomy in Legg-Calve-Perthes' disease (LCPD).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xamined 25 hips that were treated with a new innominate osteotomy for LCPD. The treatment involved the anterior half of the ilium being osteomized in a direction of 45° to the coronal plane and 30° to 45° to the sagittal plane, and the posterior half of the ilium being cut using a Gigli saw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5.5 years. Stable interposition of the bone block was achieved using a single biodegradable screw in 8 hips, and without any fixation device in 17 hips. Results: The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Robinson were good in 20 hips. Twelve hips was graded as good by the Mose metho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Stulberg, 8 hips were included in class Ⅰ, 6 hips in class Ⅱ, 8 hips in class Ⅲ, and 3 hips in class Ⅳ. The mean center-edge angle improved from 19.4° to 30.2°. Conclusion: The new innominate osteotomy is simpler and easier to perform than a routine Salter osteotomy, and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can be obtained without fixing the Kirschner wire.

      • 압박 신경병증을 일으킨 결절종의 수술적 절제의 임상적 결과

        정성택,조성범,문은선,이재준,김기형,양현기,Jung, Sung-Taek,Cho, Seong-Beom,Moon, Eun-Sun,Lee, Jae-Joon,Kim, Ki-Hyeoung,Yang, Hyun-Kee The Korean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200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2 No.1

        Purpose: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review the surgical treatment results in patients with a ganglion cyst involving peripheral nerves and to suggest the poor prognostic factor.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patients having neurologic symptoms caused by ganglion cyst were treated operatively between 1995 and 2000. The peripheral nerves involved were the tibial nerve in three patients, suprascapular nerve, common peroneal nerve, radial nerve, and ulnar nerve in two patients each, and median nerve in one patient. Pain was present in six patients, sensory disturbance or motor weakness was seen in seven patients each; and sensory disturbance and motor weakness were concurrently present in four patients. Results: In all six patients who complained of preoperative pain, the pain was resolved after surgery. Improvements were seen in five of seven patients who had preoperative sensory disturbance and in all patients who had preoperative motor weakness. Complete sensory recovery was obtained in only two of four patients with preoperative sensory disturbance and motor weakness, indicating a poor prognosis factor. Conclusion: Early accurate diagnosis and early excision of these ganglion cysts causing compression neuropathy could produce excellent clinical results.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말단 신경을 침범하는 결절종을 가진 환자의 수술적 치료를 고찰하는 데 있다. 대상 및 방법: 1995년부터 2000년까지 결절종으로 인한 신경적 증상을 가지고 있었고 수술적으로 치료받았던 12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44.3(15-71)세였다. 압박 받았던 신경은 경골 신경이 3예로 가장 많았고 견갑상 신경, 총 비골 신경, 요골 신경, 척골 신경이 각각 2예, 정중 신경이 1예였다. 동통은 6명의 환자에서 있었고, 감각 이상이나 운동력 저하가 각각 7예의 환자에서 보였고 4명의 환자에서는 이 두 증상이 동시에 있었다. 결과: 술전 동통을 호소하였던 6명 모두 술후 동통은 소실되었다. 술전 감각 이상이 있었던 7명의 환자 중 5명에서 호전이 있었으며 술전 운동력 약화를 보였던 환자 모두 호전이 있었다. 술전 감각 이상과 운동력 약화를 동시에 보였던 환자 4명 중 2명만이 완전한 감각의 회복을 보였고 이는 불량한 예후 인자를 암시한다. 결론: 이러한 압박 신경병증을 일으키는 결절종의 정확한 조기 진단 및 절제는 우수한 임상적 결과를 보인다.

      • 종양 절제 후 동반된 비골신경 손상

        정성택,정재윤,선종근,조상권,김기형,Jung, Sung-Taek,Chung, Jae-Yoon,Seon, Jong-Keun,Cho, Sang-Gwon,Kim, Ki-Hyeou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0 No.1

        목적: 골연부조직에 발생한 종양 중 비골신경과 함께 종양 절제술을 시행받은 7명의 치료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종양이 발생한 비골 근위부 골육종 3예, 연골육종 2예 및 하퇴부 악성조직구 섬유종 2예였다. 비골 신경 절제술후 4예에서는 단하지 보조기를 착용하였으며, 3예에서는 후경골근 배부 이전술을 시행하였다. 후경골근 배부 이전술을 시행한 3예에서는 단하지 보조기 착용없이 능동적 보행이 가능하였다. 결과: 종양과 함께 절제한 비골신경 손상시 보행기능 개선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방법이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ases of peroneal nerve palsy in seven patients after musculoskeletal tumor resection. Their mean age was 38 years. Three had osteosarcoma in proximal fibula, 2 had chondrosarcoma in proximal fibula and calf and 2 had malignant fibrous histio cytoma in calf. Four of 7 patients had been managed using active dorsiflexion brace. Three patients who underwent tibialis posterior transfer and could walk without brace were able to discontinue the use of the orthosis. Peroneal nerve palsy after wide excision of tumor including peroneal nerve can not resolve spontaneously and results in severe functional disability. To improve the gait function, active surgical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발달성 고관절 탈구에 있어서 정복 후 발생하는 고관절의 발달 경과

        노성만(Sung-Man Rowe),정성택(Sung-Taek Jung),최진(Jin Choi),김기형(Ki-Hyeoung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2

        목적: 발달성 고관절 탈구에 있어서 정복 후 고관절의 발달 과정을 골 성숙 완료 연령까지 추적 조사함으로써 치료 결과의 판단과 예후의 예측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비관혈적 또는 관혈적 정복으로 치료하고 골 성숙 연령까지 추시가 가능하였던 일측성 발달성 고관절 탈구 64명에 대하여 연령대별로 방사선 사진에서 계측하고 이를 대조군 및 건측과 비교하였다. 방사선 계측은 비구 각, Sharp 각, Center-Edge 각, 비구 골두 지수, 경간 각이었다. 결과: 비구의 재형성은 4세까지 뚜렷하게 관찰되었으며 4세 이후에도 골 성숙까지 경미하나마 꾸준히 진행하였다. 골두의 비구에 의한 피복률은 12세까지 저명하게 호전되나 그 이후에도 골 성숙시까지 지속하였다. 대퇴골 경간 각온 성장 완료시까지 꾸준히 감소되었다. 대조군과 건측에서는 성장 과정과 더불어 보다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호전되었다. 환자의 건측값은 대조군과 환측의 중간 값을 보였으며 부분적으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정복 후 고관절 발달의 지속적인 호전은 골 성숙시까지 꾸준히 진행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차 수술의 시행 여부와 시기의 선택은 정복 상태의 유지와 계측 값의 호전 여부를 확인한 후 결정함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Purpose: The serial radiographs of 64 children with unilateral developmental dislocation of the hip (DDH) were reviewed in order to follow the natural hip development with age after a concentric re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closed (22 patients) or open reduction (42 patients) and were followed up to the age of skeletal maturity. The radiographic measurements including the acetabular angle (AA), Sharp angle (SA), center-edge angle (CEA), acetabulum-head index (AHI) and neck-shaft angle (NSA) were obtained in 6 age groups; 0-2 years, 2-4, 4-8, 8-12, 12-16, 16 and over. Results: The rate of acetabular development evaluated by both the AA and SA, was greatest before 4 years of age and continued to a lesser extent until skeletal maturity. The neck-shaft angle also continuously and gradually improved after the concentric reduction until skeletal maturity. Acetabular coverage of the femoral head, which was evaluated by the CEA and AHI, reached the normal level in the 8-12 year age group and was maintained a normal level through to skeletal maturity. Conclusion: The hip dysplasia continued to improve until skeletal maturit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secondary surgery should not be performed if the X-ray shows continuous improvement and a concentric reduction is maintain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