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부 유학생을 위한 한국문화 교재 개발 방안

        유현정 ( Ryu Hyunjung ),김경훤 ( Kim Kyonghwo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7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문화교육의 목표는 주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한국 대학(원)에 진학하는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급증하면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차별화된 한국문화 교육에 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고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의 목표를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뿐 아니라 대학에서의 학문수행을 위한 문화적, 학문적 배경지식을 형성하는 것으로 재설정하고, 그 동안 문화교육이 언어교육의 부수적 요소로 활용되었던 데서 벗어나 중심적 내용지식으로 다루어질 수 있는 문화중심 교재의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문화교육의 내용면에서는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의 문화항목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실제 요구 및 대학에서의 학문수행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항목을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학부 유학생을 위한 한국문화 항목을 선정, 제시하였다. 문화교육의 방법 면에서는 문화교육을 지식 전달의 관점에서 다룬 언어교수 이론을 참고하여, 각 문화 항목의 성격과 실제 수업의 단계를 고려한 수업 방안을 구상하여 제시하였다. 본고의 논의는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차별화된 문화교육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문화를 지식의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고의 논의를 바탕으로 다양하고 광범위한 한국문화 항목을 외국인 유학생의 필요에 맞게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교재 개발 및 교육방안 마련에 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하게 이어져야 한다. 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language education has mainly been aimed at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in Korean. However, as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who go onto graduate schools in Korea dramatically increases, there should be wider discussions on the differentiated education of Korean culture for th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among foreign students. This study aimed to reestablish the objective of cultural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for not only improving the communication skills in Korean, but also building up the cultural and academic background knowledge for the learning performance at universities, as well as developing a textbook focusing on Korean culture, which has been used as an element incidental to language education. In terms of the content of 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has additionally reflected the actual requirements of learners based on the cultural items of standard model and items which were judged necessary for the learning performance at universities. Besides, it has accordingly selected and suggested the necessary items of Korean culture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regard to the method of cultural education, a language teaching method which covers the propagation of cultural knowledge was referred to, and the classes which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ultural item and class stage was planned and suggested.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has given an idea of implementing a differentiated 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and that a method of educating the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academic knowledge had been sought. Based upon discussions in this study, a broad variety of Korean cultural items have to be incorporated into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which enable teachers to systematically teach foreign students to cope with their needs, and more active discussions on the preparation for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done.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의 온라인 한국어 발표 교육 연구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비대면 발표를 대비하여 -

        이은희(Lee, Eunhee),김경훤(Kim, Kyonghwon)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8 No.-

        이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학 교육 환경에 대비하여, 외국인 학부생들의 온라인 발표에 대한 인식과 수업에 대한 요구 조사를 바탕으로 온라인 발표 수행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비대면 한국어 발표 교육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학생들이 수행한 학문적 발표 동영상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 틀 -(준)언어적 측면, 비언어적 측면, 기술적 측면, 상호작용 측면-에 따라 발표 수행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발표의 특성을 살펴보고, 대면 발표를 전제로 한 교육내용들이 온라인 발표 상황에는 적합하지 않음을 밝혔다. 그리고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온라인 발표 교육에의 시사점을 찾아 제언을 덧붙였다. 첫째, 학생들은 실시간으로 존재하는 청중의 존재유무에 따라 발표 방식을 달리 인식하므로 온라인 발표라도 실시간 발표와 녹화 발표를 구분하고 각각의 장점을 교육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둘째, 부족한 한국어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온라인 발표 전략을 개발해 교육내용으로 다루되 기술적인 부분도 포함해야 한다. 셋째, 준언어적 측면은 대면 발표에 비해 더 강조되어야 하며, 비언어적 요소 중 시선과 손짓은 대면 발표에서와 매우 다른 부분이므로 주의할 점을 명시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넷째, 온라인상의 청중들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상황별로 필요한 전략과 표현들을 교육내용으로 포함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develoed an online Korean presentation education plan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suitable for the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post-COVID-19 era. We surveyed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of and demands for online presentations. and the students’ online presentations were analyzed. This study revealed that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face-to-face presentations is unsuitable for online presentation situations and added suggestions for online presentation education. First, because students choose different presentation methods based on the presence of a real-time audienc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situations), education plans should distinguish real-time and recorded presentations and utilize the strengths of each method. Second, strategies that compensate for the lack of language fluency should be developed and included in the educational content, including technical aspects. Third, paralanguage aspects should be emphasized more. Fourth, non-verbal factors such as eye contact and gestures should be explicitly guided. Fifth, the presenter must include contents to interact with the online audience.

      • KCI등재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에 대한 제언- 통역 목적의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오문경(Oh Moonkyoung),김경훤(Kim Kyonghw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본고의 목적은 제2언어습득에서 발음의 결정적 시기와 성인 학습자의 발음 습득의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통역 목적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에 시사하는 바를 규명하는 것이다. 한국어교육에서는 결정적 시기 가설이 널리 공유되어 언어의 습득 시기는 사춘기 이전이 최적이며, 그 이후에는 매우 어렵다고 간주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발음 영역 이외의 어휘 등의 영역에서는 결정적 시기가 지난 이후에도 원어민 화자 수준까지 도달할 가능성이 보인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영역에 비해 발음능력은 결정적 시기가 지나면 원어민 화자와 같은 발음을 습득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견해가 바뀌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원어민 수준에 도달할 수 있는지 성인 학습자의 발음 습득의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고 그리고 이러한 견해를 토대로 통역 목적 등 최고급 수준을 지향하는 한국어 발음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밝혀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ritical period of pronunciation in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the possibility of acquiring the pronunciation of adult learners and to clarify the implications of this view on the teaching of Korean pronunciation. It has widely been believed that when it comes to learning a new language as a second language, “the younger the better” is the rule that applies. The claim that an authentic pronunciation of a second language is unattainable after a certain age has been supported by certain kinds of evidence.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re are, in actuality, some individuals who have acquired a native-like accent even after the so-called “critical period.”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the probability of obtaining native-like phonological performance by reviewing the existing empirical and theoretical literature o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especially that which focuses on the Critical Period Hypothesis. In addition, I will consider the viability of direct phonological instruction as a subject i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insights gained through this review of key studies in the field.

      • KCI등재

        역량 기반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교육과정 연구

        홍은실 ( Hong Eunsil ),장민정 ( Jang Minjung ),오문경 ( Oh Moonkyoung ),유하라 ( Yu Hara ),현원숙 ( Hyun Wonsook ),김경훤 ( Kim Kyonghwon ) 한국화법학회 2017 화법연구 Vol.0 No.3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cademic listening 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y. Traditionally, since learning involved obtaining static and absolute knowledge and skills, the structure of knowledge played a major role in the curriculum. However, a rapidly changing society requires efficient problem-solving abilities regardless of circumstances. Therefore, attention has now shifted to core competencies in developing curricula. First, in order to develop a Korean academic listening curriculum, the concept and traits of core competencies will be revisited. Second, we will identify implications from the cases of curricula based on core competencies and establish the direction of developing our curriculum. Third, we will show how the Korean academic listening curriculum of Sungkyunkwan university is developed based on the core competency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