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동기시대 복합사회 등장에 관한 일 고찰 -송국리유적을 중심으로-

        김경택 ( Gyong Taek Kim ) 호남고고학회 2014 湖南考古學報 Vol.46 No.-

        2008년 제 12차 발굴조사 이래로 매년 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부여 송국리유적과 주변지역에서는 새로운 고고학 자료들이 축적되고 있는데, 이들 자료에 대한 해석이 진행되면서 송국리유적의 성격에 대한 이해가 높아가고 있다. 송국리유적이 이른바 송국리유형의 주요 중심지였던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므로, 이 (송국리)유적의 성격은 곧 송국리유형이 대변하는 한국 청동기시대 중기/후기의 사회 성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부여 송국리유적의 최근 주요 발굴 성과들과 그 성과들에 대한 해석들을 살펴보고, 이에 입각하여 본 유적이 상당 수준의 ‘의례(적)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을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더 나아가 만약 송국리유형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였던 송국리유적이 주로 ‘의례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고 가정한다면, 이러한 전제가 당시 한국 청동기시대의 사회 성격에 대해 어떠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복합사회의 등장을 다룬 외국의 연구사례들을 해석적 도구로 활용하며 타진해 보고자 하였다. Excavations that have been carried out since 2008 on the site of Songguk-ri in Buyeo and its environs have resulted in the accumulation of much new archaeological evidenc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carried out on this new evidence has contribute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Songguk-ri site and Songguk-ri society. As it is widely agreed upon that the Songguk-ri site was a key center of the Songguk-ri cultural assemblage, how the site is understood can provide important comments regarding the nature of the Songguk-ri cultural assemblage, and thus Korean Bronze Age society.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key findings of the excavations undertaken at the Songguk-ri site, as well as the interpretations that have been put forth. Based on this, the possibility that the site may have served as an important ``ceremonial center`` is considered. In addition,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ite functioned as a ``ceremonial center``, this paper also considers the way in which Korean Bronze Age society may be understood based on this fact. In attempting such an endeavor, case studies of outside the Korean Peninsula that dealt with the emergence of complex society are used as a heuristic tool.

      • KCI등재

        청동기시대 굴립주건물지의 기능 분석

        김경택 ( Gyong Taek Kim ),황지미 ( Ji Mi Hwang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4 백제문화 Vol.1 No.51

        2000년대 이래로 청동기시대 굴립주건물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굴립주건물지의 고고학적 확인과 기능 파악 등을 포함한 해석에 앞선 현상 파악 단계에도 상당한 문제점들이 미해결의 상태로 남아 있다. 더구나 개념 및 용어, 구조, 분류와 기능 추정 등 많은 부분에 있어 일본 고고학의 연구 성과가 판단의 기준이 되고 있다. 본고는 지금까지 33개 유적에서 조사 및 확인된 총 188기의 청동기시대 굴립주건물지/유구들의 분석 및 검토이다. 이들 굴립주건물지의 기능은 창고, 주거, 망루, 공공집회소, 의례시설, 다목적 특수시설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기존 연구에서는 평면형태나 면적 등의 특정 요소(들)을 근거로 하여 기능을 추정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그러나 기능의 결정 및 판단은 특정 한두 가지 요소가 아닌, 구조, 규모, 입지, 주변 유구와의 관계, 평면형태 등 최대한 많은 요소를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조사 사례들의 분석 결과 전체 유구의 80% 정도인 대부분이 창고로 파악되는데, 창고는 소형의 개별창고와 대형의 공공창고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창고 외에 주거나 망루 시설 등 당시 생활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유구가 상당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된 반면에 공공집회소나 의례 시설 등과 같은 의례적 기능을 수행했다고 판단되는 유구는 그 총수가 10기 내외로 소수에 불과하였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 굴립주건물지는 청동기시대 전기부터 확인되어 중기로 갈수록 다양한 기능을 지닌 많은 유구들이 확인되어 왔는데, 중기에는 기능의 다양화 이외에도 원형 및 다각형의 평면형태를 지닌 새로운 구조의 유구가 등장하고, 면적이 대형화되는 등의 새로운 양상이 등장했다. While Korean archaeological circle began to research the ``Gullipju Geonmul``, ground or lifted floor building in the early 2000s, apart from interpretation, a number of problems related to understanding of the feature itself such as archaeological identification and detailed function are still remained unsolved. Even, Japanese archaeological circles has provided scholarly product on diverse fields, including concept or definition of terms, structure, standard of classification, and inference of function. This paper is an analysis and synthesis of the 188 ground or lifted floor buildings excavated and investigated from 33 archaeological sites. Functions of the buildings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such as storage, dwelling, watchtower, public facility for meeting, ritual facility, and multi-purpose facility. While previous research on the function of the ground or lifted floor building tended to focus only on certain elements such as shape of floor plan or size, the function should be judged under the consideration of more diverse elements, including structure, size, and location, relationships with other features, and shape of floor plan rather than that of one or two elem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some 80 percents of the features are storages classified into small individual storage and large public storage facilities. While others are dwelling and tower facilities directly related to domestic life, features supposed to play a ritual roles such as place for public meeting or ritual service are quite limited, less than ten. While ground or lifted floor buildings began to appear in the early Bronze Age, much more buildings with diverse functions have emerged since the middle period with new trends, including round or polygon shape of floor plan and size enlargement.

      • KCI등재후보

        논문 : 탄화작물을 통한 부여 송국리유적의 선사농경 연구; 제14차 발굴자료를 중심으로

        김민구 ( Min Koo Kim ),류아라 ( A Ra Ryu ),김경택 ( Gyong Taek Kim ) 호남고고학회 2013 湖南考古學報 Vol.44 No.-

        부여 송국리유적에서 발견된 작물유체를 검토하여 이 유적의 작물조성을 복원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였다. 송국리유적에서는 기존의 분석을 통하여 탄화된 쌀과 조가 확인된 바 있다. 하지만 이전 자료들은 재배된 작물의 전체적인 양상을 나타내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제3·6·7차 조사에서 확인된 탄화미는 발굴 과정 중 우연히 발견된 제한적인 자료이다. 제11차조사에서는 부유선별법이 시도되기는 했지만 검출된 작물의 종류와 양이 많지 않아 송국리유적의 전반적인 작물이용 양상을 밝히지는 못했다. 본 연구는 가급적 다수의 유구에서 충분한 양의 토양시료를 채집하고자 했으며, 발견된 탄화물을 통해 작물조성의 복원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쌀을 포함하여 조·기장·밀·콩·팥 등의 작물을 발견하였다. 탄화미가 다량 발견되어 송국리 점유 집단이 벼농사 중심의 농경 집단이었다는 기존의 견해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낟알 개수로 본다면 잡곡인 조가 압도적인 다수인 점이 주목된다. 쌀과 조가 재배 및 수확 계절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유적 주변의 저지대에는 수전을 조영하여 쌀을 재배하고 구릉 사면에는 잡곡을 재배하는 방식으로 지점을 달리하며 동시에 재배하는 방식을 취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분석 결과에 의하면 송국리 집단은 쌀과 조의 재배에 중점을 두었던 것으로 판단되며 다른 작물, 특히 맥류와 두류의 중요성은 향후 검토를 요하는 사안이다. This article presents an archaeobotanical research at Songguk-i, r Buyeo, and discusses its implication in relation to plant cultivation and crop composition in the Mumun period. Although the previous studies at Songguk-ri have shown that the site occupants relied on rice and millet, the data for these studies were collected inn usystematic manners and a full crop spectrum of the site has not been clearly understood. The current study conducted flotation and wet-sieving on 21 archaeological features that included 14 pit-dwellings and 7 underground pits, and led to the discovery of a diversity of carbonized crop remains, such as rice, wheat, foxtail millet, broomcorn millet, soybean, and adzuki bean. The most dominant taxa were rice and foxtail millet, measured by the shear number of discovered grains and the number of archaeological features in which the grain remains were present. Because rice and foxtail millet overlap in their growing seasons, it is assumed that people cultivated these plants at different locations during the same seasons, e.g., rice in wet paddy fields in the lowland and millets along the hill slopes. A future research is sugges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other crops, especially wheat, barley and legu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