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령 금융소비자의 펀드투자 행동과 펀드투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청장년 금융소비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길재홍,한지형,최현자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8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고령 금융소비자의 펀드투자 만족도 현황과 펀드투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펀드에 투자하고 있는 중고령 금융소비자의 만족도 제고에 기여하고, 금융기관의 펀드운용과 판매에 있어 요구되는 바람직한 업무정책 수립에 기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의 2016년 펀드투자자조사 자료 중 금융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펀드에 투자한 경험이 있는 금융소비자 1,171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은 중고령 금융소비자의 펀드투자 행태와 펀드투자 만족도 현황분석을 위해 t-test, 교차분석, ANOVA 분석을 실시하였고, 중고령 금융소비자의 펀드투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 금융소비자를 포함한 우리나라 금융소비자의 펀드투자 만족도는 낮은 수준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펀드투자 수익률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령 금융소비자들은 펀드투자 만족도와 대부분의 하위 만족도 항목에서 청장년 금융소비자에 비해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를 세부항목으로 살펴보면 중고령 금융소비자는 펀드 수익률, 펀드 투자비용, 환매비용에서 청장년 금융소비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셋째, 금융소비자의 펀드투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 중고령 금융소비자와 청장년 금융소비자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고령 금융소비자는 청장년 금융소비자와 비교했을 때 적합성 원칙 준수 여부와 투자비용 적정성 인식이 펀드투자 만족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고령 금융소비자는 객관적 펀드이해력보다는 자신이 가입한 펀드에 대한 주관적 이해력이 펀드투자 만족도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었으며, 이는 청장년 금융소비자와 대비되는 결과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현행 펀드투자에 관련된 비용구조에 대한 개선과 펀드판매인력의 종합적 역량강화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발굴하였다. 또한, 중고령 금융소비자를 포함한 펀드에 투자하는 금융소비자들은 펀드상품을 선택함에 있어서, 해당 펀드의 과거성과와 미래의 기대수익률만을 고려하기보다는 본인의 투자목표와 투자성향과의 적합성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the satisfaction of middle old-aged financial consumers who invest in funds and the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business policies requested for the financial institutions of fund management and sales through the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satisfaction level of middle old- aged financial consumers’ fund investment as well as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it. The research data of this study was 2016 Fund Investors Survey data collected by the Korea Financial Investors Protection Foundation and 1,171 subjects who had experienced fund investment through a financial company windows were finally selected. SPSS version 19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and general traits of middle old-aged financial consumers were analyzed by the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percentage and average measurements. T-test, Chi-square test and ANOVA analysis were executed for the analysi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middle old-aged financial consumers’ fund investment and satisfaction level of middle old- aged financial consumers’ fund investment, while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for the factor analysis of satisfaction of the middle old-aged financial consumers’ fund investment. Main research results might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average score of overall satisfaction of Korean financial consumers’ fund investment including middle old-aged financial consumers showed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and the satisfaction on the investment performance was ranked the lowest score. Secondly, compared with young adult financial consumers, middle old-aged financial consumers showed relatively low score of overall and specific satisfaction of fund investment. In detail, middle old-aged financial consumers showed relatively low score of satisfaction of investment performance, cost of fund investment and redemption cost. Thir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financial consumers’ fund investment between two groups. When it comes to middle old-aged financial consumers, the observance of suitability rule and recognition of feasibility of investment cost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fund investment, compared with young adult financial consumers. Fourthly, when it comes to middle old-aged financial consumers, subjective understanding of fu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fund investment than objective understanding of the funds, compared with young adult financial consumers. Those research result drew the implication that the improvement of current cost structure fund investment and comprehensive reinforcement of capabilities of fund sales forces were needed. And it would be desirable for financial consumers including middle old-aged financial consumers who invest in funds to consider the investment goal and propensity as well as track record and expected return when it comes to the selection of f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