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원로과학기술자의 증언 2-박동길박사편

        박동,Park, Dong-Gil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79 과학과 기술 Vol.12 No.3

        과학자가 되려면 다른 학문에 비해 어렵고 특히 기초과학연구를 하는 과학자의 경우는 더욱 어려운 공부를 계속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것은 과학자 스스로 택한 고난의 길이기에 이들은 한결같이 과학자가 된 것을 만족하게 생각하고 있다. 과학자가 되기위해 험난한 인생의 가시밭길을 무수히 헤치고 살아온 박동길박사. 박동길박사는 약관 20세에 도일, 과학자가 되기 위해 살을 여의는 듯한 고생을 무릅쓰고 오직 학업에만 열중했다. 박동길박사가 과학기술에 관심을 갖고 지금까지 걸어온 배경과 지질학을 연구하게 된 동기를 알아보는데는 까마득한 박박사의 어린시절로 돌아가야 할 것 같다. 이래서 본지는 이번호부터 박동길박사를 모셨다. <편집자주>

      • KCI등재
      • KCI등재

        예레미야서의 담론 속에서 히브리어 명사 체다카와 미쉬파트 그리고 토라와 후카의 의미

        장성 ( Jang Sung Gil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7 성경과신학 Vol.83 No.-

        본 연구는 예레미야서에 나타난 의(체다카)와 공의(미쉬파트)를 주제로 삼고 있다. 선지서에 나타나는 의와 공의의 개념을 이해하려면 그 근간이 되는 신명기서를 살펴야 한다. 필자의 견해로는 체다카와 미쉬파트는 그것을 포괄하는 더 큰 범주라 할 수 있는 토라의 개념에 포함된다. 한편, 예레미야 본문 속에 법, 규정 또는 규례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어휘들(토라, 체다카, 미쉬파트, 후카, 호크)이 쓰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어휘들 간의 상호 연관성과 본문 상에서 어떠한 의미를 나타내는가를 살피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문 [표 1]에서 확인하게 되는 바, 체다카는 상대적으로 그 빈도수가 적고 미쉬파트가 많이 쓰였다. 한편, 체다카와 미쉬파트가 하나의 병행구로 쓰인 경우가 있는데, 총 5번 사용되었으며 화자가 미쉬파트를 말한 이유는 하나님께만 감추어진 신적 속성을 드러내기 위함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들을 통해서 이 땅 위에 실현되어야 할 하나님의 통치 원리를 나타내기 위함이다. 한편, 미쉬파트가 단독으로 쓰인 경우, 9회를 제외한 나머지 용례들에서는 하나님의 징계나 심판의 이미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하나님의 통치를 뜻하는 말로 쓰이거나, 사람과 사람 사이에 발생하는 문제에도 쓰고 있다. 한편, 나머지 9번의 경우에는 쉬쿠츠와 토에바에 마음을 두지 말고 돌이켜 미쉬파트의 삶을 살 것을 촉구하는 내용에 쓰였다. 성전 설교를 통해서 예레미야는 유다 백성들을 향해 길과 행위를 바르게 하라고 촉구한다. 여기서 길과 행위는 미쉬파트와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 한편, 30:11에서처럼 하나님의 징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또 다른 한편, 토라와 후카의 용례도 의미하는 바가 크다. 선지자 예레미야가 이 책에서 토라를 언급한 목적은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유다 백성들이 토라를 따라 삶을 걷지 않았음을 질책하기 위함이었다. 예외적으로 31:33의 경우 나의 토라라는 말을 쓰고 있는데, 하나님께서 미래에 회복의 때에 나의 토라를 그들 속에 둘 것이라고 약속하는 본문이다. 넷째, 후카와 호크는 용례는 많지는 않지만 매우 다양한 의미로 쓰인 것이 특징이다. 후카와 토라가 병행구로 쓰인 경우도 있으나 후카와 호크는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천체의 운행 질서나 열방의 관습 또는 법적 규례를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정리하면, 예레미야서에서 체다카와 미쉬파트의 의미는 토라와 호크 및 토에바와 쉬쿠츠의 의미론적 어휘결속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하나님의 뜻은 그의 백성들이 가증한 것들(토에바와 쉬쿠츠)에 마음을 빼앗기지 말고, 하나님의 법(토라, 체다카, 미쉬파트, 후카/호크)를 따라 의와 공의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eme of the Biblical Hebrew words sedaqa and mispat in the book of Jeremiah. To understand the notion of righteousness and justice in the prophets, we have to look at the book of Deuteronomy, which is the basis for our understanding. In my view, sedaqa and mispat are included in the concept of tora, which is a larger category. In the book of Jeremiah, there are various terms to describe the meaning of law and statutes, such as, tora, sedaqa, mispat, huqa and hoq.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 terms and what they mean in the text. As can be seen in [Table 1], the frequency of sedaqa is relatively low rather them the term mispat. In the case where sedaqa and mispat are used in a parallel structure which is a rhetorical device of hendiadys, in total five times. The reason the speaker uses the term mispat is not to reveal the divine attributes hidden only by God but to show through the people of God. It is the principle of God's sovereign rule, which is realized in the world. When mispat is used alone, the image of God's punishment and judgment is prominent in other examples except its nine occurrences. It is first used (1) to mean the reign of God, or (2) to the problems that arise between the person and person. Second, in the cases of the remaining nine occurrences, mispat is used to urge the people of Judah not to set their minds on siquts and toeba but to repent and live a life of mispat. Through the prophetic temple sermon, the prophet Jeremiah urges the people of Judah to correct their ways and actions. My focus is that the way and act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term mispat. Third, the usages of tora and huqa also means a lot. In the book of Jeremiah, the prophet uses the term tora for the purpose of reproaching that the lives of the people of Judah did not walk along the tora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Exceptionally, the term ‘my tora’ in Jer 31:33 means the law of God. Fourth, the usages of huqa and hoq are characterized by a wide variety of meanings, though not many examples are used. There is a case that the huqa and hoq are used as a parallel structure, but they are mainly used to refer to the order of operations of the celestial bodies that humans can not control, the customs of the nations, or legal regulations. In summary, the meaning of sedaqa and mispat in Jeremiah is revealed through the lexical semantic cohesion of tora, hoq, siquts and toeba. God's will is that the people of God do not lose their hearts to abominations (siquts and to eba), but live in the life of righteousness and justice according to the law of God.

      • KCI등재후보

        육아휴직급여 청구권 권리행사기간의 법적 성질 - 대법원 2021.3.18. 선고 2018두47264 전원합의체 판결 판례평석 -

        소나(吉笑那) 서울대 사회보장법연구회 2022 사회보장법연구 Vol.11 No.2

        대법원 2021.3.18. 선고 2018두47264 전원합의체 판결은 구 「고용보험법」 제70조 제2항에 정한 육아휴직급여 신청기간은 제척기간이며 동 규정은 강행규정에 해당한다고 보아, 이를 훈시규정으로 보고 소정의 신청기간을 경과한 뒤에 이루어진 신청에 따른 육아휴직급여 부지급 처분을 취소하였던 제2심 판결을 파기 환송하였다. 육아휴직급여는 노동자의 육아휴직 사용 활성화를 위한 주요 전제로, 이에 대한 강한 보호가 요구되는 현실 아래 본고는 위 판결의 판단을 비판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대상판결의 결론은 육아휴직급여 청구권은 구 「고용보험법」 제70조 제1항에 규정한 요건이 만족되면 ‘추상적 권리’로서 우선 형성되고, 당사자가 이러한 추상적 권리에 기반하여 관할 직업안정기관의 장에게 지급신청을 하여 지급결정이 이루어지면 그때 비로소 ‘구체적 권리’로 전환된다는 전제에 기반하고 있다. 그러나 일률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육아휴직급여 청구권을 ‘추상적 권리’와 ‘구체적 권리’로 나누어 볼 근거를 찾기도 어렵고, 형식적 심사에 가까운 관할 행정청의 심사 및 지급결정을 기점으로 권리의 성질이 본질적으로 달라진다고 보기도 어려운바 육아휴직급여 청구권은 행정청의 지급결정 없이도 구체적 권리로서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대법원은 구 「고용보험법」 제70조 제2항의 법문과 법률관계의 조속한 확정이라는 입법취지를 바탕으로 이를 제척기간에 관한 것으로서 강행규정이라고 보아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동일한 법문으로 규정된 법령을 훈시규정으로 본 판례가 존재하고, 육아휴직급여와 관련한 법률관계를 조속히 확정해야 할 특별한 필요는 상정해보기 어려운데 반하여 육아휴직급여 수급자격을 넓게 인정하여 일하는 부모를 보호해야 할 필요성은 강하게 인정되며, 육아휴직급여는 수급권자 개인의 보호뿐만 아니라 일•가정 양립을 통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모성보호, 고용에서의 양성평등을 실현한다는 공익적 성격 또한 가지고 있음을 감안하면 구 「고용보험법」 제70조 제2항을 훈시규정으로 보아 법령에서 정한 기간이 도과하더라도 육아휴직급여를 신청 및 지급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보다 건설적인 해석이라고 할 것이다. Supreme court 2021.3.18. announcement 2018Du47264 en banc decision judged that article 70, paragraph 2 of Employment Insurance Act is a mandatory provision and the period for exercise of child-care leave benefits regulated by the provision is exclusion period, so the refusal disposal of child-care leave benefits is legitimate if the application was made after the period had elapsed. This conclusion is based on the concept that the right to claim for child-care leave benefits is a phase-in right as at first, when the legal conditions are met, it exists as an ‘abstract right’ and then it turns to a ‘concrete right’ when the qualified recipient applies for the benefits and the administrative agency makes the disposal to pay the benefits. However, there is no ground to find the right as a phase-in right. Besides, the disposal process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is more like a procedural one, so it is hard to say that the nature of the right essentially changes throughout the process. Therefore it is more reasonable to see the right to claim for child-care leave benefits as a concrete right, without the disposal process of administrative agency. Supreme court also judged that article 70, paragraph 2 of Employment Insurance Act is about exclusion period and a mandatory provision based on the words and assumed purpose of the provision. However decisions which viewed provisions that had the same words as directory provisions exist, and there are hardly no need to confirm the legal relation regarding child-care leave benefits in early stages, whereas the need to protect working parents is very strong and child-care leave benefits also have pubilc side of balancing work and life of the people, realizing motherhood protection and gender equality. Thus it is more constructive comprehension to view article 70, paragraph 2 of Employment Insurance Act as a directory provision, so that child-care leave benefits can be applied and paid even if the period by the provision has elapsed.

      • 『法集別行錄節要?入私記』와 知訥 禪思想의 構圖

        희성 보조사상연구원 2002 보조사상 Vol.17 No.-

        거기에 필요에 따라 자신의 견해(私記)를 첨부한 것이지만, 지눌 사상의 전모를 가장 포괄적으로 담고 있다는 점에서 그 자신의 저술로 간주해도 무방하다. 나는 이 논문에서 『절요』가 지눌 사상 일반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를 지눌의 여타 저술들과의 관계를 살펴보면서 논하고 이를 통해서 지눌 선 사상의 전체 구도를 밝혀보고자 한다.禪의 생명은 그 생동성에 있으며 선은 본래 체계나 구조를 혐오하지만 지눌의 선사상은 비교적 체계성과 논리적 정합성이 강한 편이다. 그 이유를 정확히 밝히기는 쉽지 않지만, 아마도 그것은 지눌이 無師獨悟한 禪師였다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고려 중기 무신집권의 사회적 혼란기에 禪敎의 대립과 도덕적 타락으로 혼탁해진 불교계에 입문하여 일정한 스승 없이(學無常師) 구도의 길을 걷는다는 것은 대단한 주체성을 요한 일이었을 것이며, 자기가 걷고 있는 길에 대한 부단한 반성과 체계적 숙고를 요구했을 것이다. 물론 우리는 지눌의 저술들이 전부 남아 있지 않은 상황에서 이 문제에 대해서 속단을 해서는 안 된다. 지눌에게는 『修心訣』, 『眞心直說』, 『圓頓成佛論』, 『看話決疑論』과 같이 선 수행에 관한 이론적 저술만 있었던 것은 아니고 『上堂錄』, 『法語』, 『歌頌』 같은 것도 있었음을 「비명」은 전하고 있다. 이들이 우리에게 전해졌더라면 아마도 우리는 지눌 선의 다른 면을 볼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실제로 「비명」은 지눌이 임종 전에 문인들과 나눈 문답을 소개하고 있는데 활달한 선사로서의 그의 면모를 유감 없이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 편, 지눌이 선에 관하여 이론적 성격이 짙은 저술들을 다수 남겼다는 것은 선사로서의 그의 특성 가운데 하나라고 평할 수 있으며, 그의 저술들 속에 발견되는 사상의 명료성과 체계성은 그로 하여금 한국 불교사에 지속적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만든 한 요인이 되었을 것이다.그의 저술들 가운데서도 『절요』는 그의 만년의 저술로서 선의 이론과 실천 양면에서 그의 사상을 가장 포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절요』는 지눌 사상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주제들을 거의 총망라하여 다루고 있기 때문에 『수실결』이나『진심직설』과 같은 다른 저술에 비해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체계성이 다소 떨어지는 산만한 저술이라는 느낌을 주는 것도 부인하기 어려운 사실이다. 따라서 우리는 『절요』에서 지눌이 다루고 있는 다양한 주제들을 그의 다른 저술들과 대비해보면서 지눌 사상의 전체 구도와 체계를 밝힐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일본 지방자치단체 아웃소싱(Outsourcing)과 주민참여

        종백(吉鍾伯),하정봉(河正鳳) 경인행정학회 2012 한국정책연구 Vol.12 No.4

        1990년대 이후 일본은 지속되는 경기침체와 재정적자의 상황에서 시민사회 또는 민간과의 협력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삼위일체개혁의 여파로 재정수입은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고령화, 경기 침체, 복지 수요 증가 등으로 담당업무는 증가하고 있다. 재정제약하에서 보다 효율적인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일본의 지자체는 업무위탁, 지정관리자제도, PFI제도 등 다양한 형태의 아웃소싱제도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일본 지자체 아웃소싱 유형의 변화양상을 검토하는 한편 주요 아웃소싱제도의 현황 및 쟁점을 분석하였다. 특히 일본 지자체 아웃소싱에서 주민참여의 활용에 주목하여 공공서비스 민영화 제안제도를 중심으로 그 의의와 함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잡지언론인 최남선과 장준하

        부길만 출판문화학회 2019 出版 雜誌硏究 Vol.27 No.1

        이 원고는 최남선과 장준하를 잡지언론인으로서의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각각 검토한 다음, 두 인물을 종합적으로 비교 고찰한다. 우선, 최남선과 장준하의 활동 시기는 달랐지만, 그들이 한국언론사에 커다란 획을 그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둘째, 이들의 공통점은 두 사람 모두 잡지 사업을 개인경영으로 벌인 점이다. 셋째, 두 사람은 모두 민족을 최고의 가치로 섬겼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넷째, 두 사람 모두 잡지 활동이 중간에 끊기고 만 것 역시 공통적이다. 최남선은 잡지활동이 중단되면서 친일변절자의 길로 들어섰다. 장준하는 민족주의의 신념은 변치 않았지만 군사정부의「사상계」에 대한 탄압 속에서 정치인의 길로 들어섬으로써, 잡지 발행 업무를 더 이상 할 수 없었다. 장준하의 정치 활동은 1970년대의 시대 과제인 민주화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비민주적인 악법인 유신헌법을 개정하여 민주주의를 회복하고자 했던 그의 운동은 한국 현대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