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조직침묵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찬미(Ki, ChanMi),전종설(Chun, JongSerl)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4 사회과학연구논총 Vol.40 No.1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조직침묵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진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 조직 운영과 인력관리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전국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19 사회복지사 통계연감’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복지사의 조직침묵이 종속변수인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조직침묵이 매개변수인 소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소진이 종속변수인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조직침묵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한 결과, 매개효과는 95%의 신뢰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나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사회복지사 이직을 선제적으로 예방하는데 유용한 이론적, 제도적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nhance our comprehension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 dynamics by investigating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silence on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burnout. Utilizing data from the 2019 Statistical Yearbook of Social Workers, a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Social Workers Association, we examined several key relationships. Our findings reveal that organizational silence positively correlates with turnover intention among social workers. Moreover, organizational silence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levels of burnout. Furthermore, we observ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Employing bootstrapping techniques, we confirm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ilence and turnover intention at the 95% confidence level.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ere deemed significant, underscoring a partial mediation effec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extend to theoretical and institutional realms, offering insights into proactive strategies to mitigate social worker turnover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