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Historical Landscape of America’s High : Tech Centers-Their Formation, Diffusion, Growth, and Diversity during 1950s-1980s

        기정훈(JUNG-HOON KI) 한국공간환경학회 2008 공간과 사회 Vol.30 No.-

        2차 세계대전 이후로 미국의 첨단산업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공간적 집적이 이루어진다. 컴퓨터, 반도체, 전자 소프트웨어 산업 등의 컴퓨터관련 산업이 이러한 첨단산업 지역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공간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초기의 첨단산업지역은 두 가지 방법에 의해서 확장해나간 것을 볼 수 있다. 그 하나는 재입지를 통한 공간적 확산이며 다른 하나는 주변지역으로의 확장이라고 할 수 있다. 재입지를 통한 공간적 확산을 통해 초기의 첨단산업 집적지역인 보스턴과 Route128지역, 실리콘밸리 지역의 첨단산업체들은 그들의 연구개발이나 제조업 기능의 일부를 다른 지역으로 이전시켰고 이러한 과정에서 애리조나의 피닉스, 텍사스의 댈러스, 콜로라도의 콜로라도 스프링스와 같은 지역에 첨단산업 집적이 시작된다.반면에 주변지역으로의 확장 또는 접촉적 확장을 통해서는 초기의 첨단산업 집적지역이 같은 주의 주변지역으로 확장되어 가는데 이러한 과정에서는 캘리포니아 주의 오클랜드, 산타크루즈, 벤츠라, 오렌지카운티,뉴욕 주의 더체스 카운티나 빙햄턴 카운티에 첨단산업이 집적하게 된다. 그 지역의 전통적인 산업들이나 지역 출신의 기업가들은 이러한 첨단산업의 공간적 확산과정에서 주도적이고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대도시지역에 입지한 첨단산업 지역의 성장에는 대학교와의 연계, 벤처자본투자, 고급노동력, 기업가정신과 혁신적인 사업환경, 그리고 활발한 해외투자 등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연구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첨단산업지역은 지역적인 차별성(또는 분화)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여기에는 초기투자의 규모, 지역의 인프라, 산업구조, 인적자본규모, 그리고 기업문화 등이 중요하다. Since World War II, high-tech centers have appeared in United States’ metropolitan areas. Computer related industries such as the computer, semiconductor, electronics, and software industries play a key role in high-tech centers. Geographically, initial high-tech centers spawn other following high-tech centers by two different ways: relocation diffusion, and contagious diffusion. By the relocation diffusion, initial high-tech centers in Route 128 or Boston Metro(MA) and Silicon Valley or San Jose Metro(CA) relocate their certain functions such as R&D laboratories and manufacturing operations to other states, and these moved functions work as an important initiative for the formation of new high-tech centers in Phoenix-Mesa(AZ), Dallas(TX), and Colorado Springs(CO). By the contagious diffusion, initial high-tech centers also expand into areas within the same states or adjacent states, and this expansion help build up new high-tech centers in Oakland(CA), Santa Cruz(CA), Ventura(CA), Orange County(CA), Dutchess County(NY), and Binghamton (NY). In both processes, Inherent industries and inborn entrepreneurs play a magnetic or agent role with university linkages, venture capital investment, a pool of educated workforce, active entrepreneurship, innovative business climates, and abundant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Although there are general location factors, regional diversity among high-tech centers exists because of their variations in initial funding, infrastructure, industrial structure, human capital capacity, and business culture.

      • KCI등재

        구글어스 기반의 공간영상 분석을 통한 북한도시들의 환경오염과 산림파괴 연구

        기정훈 ( Jung Hoon Ki ) 한국환경정책학회 2016 環境政策 Vol.24 No.1

        북한의 환경오염과 자연환경 파괴에 과학적인 분석과 과학기술협력을 통한 환경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보다도 이 문제가 북한 사회에 매우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산림, 농업환경 및 국토개발과 관계된 분야의 문제는 식량생산과 거주지 등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시급하게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북한의 산림, 농업환경 및 국토개발 분야의 기술적인 분석과 과학기술협력은 통일을 대비하여서 과학기술분야의 조율과 협력을 하기 위한 시작점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를 통해서 비록 미약하나마 북한의 개방과 남한과의 우호적인 관계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기존에 소개된 대부분의 과학기술협력방안은 기본적인 약점을 안고 있는데, 이는 남북한의 정치적 상황 뿐 만 아니라 북한의 내부적인 상황에 따라 그 구체적인 조사와 실행력이 매우 불안정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한데, 그 하나는 기술적 차원에서 지속적인 환경현황조사를 하기 위한 구글어스(Google Earth)와 같은 도구를 활용하는 방안이고, 다른 하나는 행정적 차원에서 정치적인 상황변화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기술협력을 할 수 있는 협력적 거버넌스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글어스를 활용하여 북한환경현황조사의 기초적인 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구글어스는 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북한의 지리정보를 대체할 수 있는 가장 유용한 자료라고 판단된다(사공호상 등, 2007; 김창환 등, 2012). 따라서 기존 연구조사의 약점을 극복하고 높은 수준의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산림 및 농업환경 현황을 분석할 수 있는 구글어스 영상분석은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방법이 된다.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forestation have long been worsening in North Korea with negative impacts on North Korean society in general. Therefore, scientific analysis and inter-Korean cooperation are needed to enact environmental management. Such cooperation can also be a starting point for unification, because it will foster a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North and South. Whereas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ave encountered fundamental weaknesses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generally influenced by internal and political conditions. To overcome such weaknesses, two approaches may be effective; the first is to use new technology such as Google Earth and the other is to create cooperative governance that is less influenced by political conditions. This study focuses on the former approach, using Google Earth to amass geographic data and investigate the current environmental problems facing North Korea. Google Earth is a helpful tool for replacing restricted in formation on North Korea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Spacial photo analysis of Google Earth images is an efficient method to analyz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forestation in North Korea.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도시통계 표현 연구

        기정훈(Ki, Jung-hoo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6 공간과 사회 Vol.26 No.1

        체르노프 얼굴(Chernoff Face)은 다차원 통계 데이터를 사람의 얼굴 이미지를 이용해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체르노프 얼굴은 다변량 자료의 각 변수를 인간 얼굴의 눈, 코, 입 등의 얼굴 특징에 대응시켜 각 관측치를 각기 다른 얼 굴로 표현하는 것으로 도시나 지역의 다양한 데이터를 얼굴로 표현한다는 장점과 공간적 인식의 단순성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빅데이터 분석의 표현기법으로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체르노프 얼굴을 활용해서 우리나라 광역자치단체들의 지역사회 건강에 대한 국민체감지표를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다루고자 하는 광역자치단체의 통계는 여덟 가지로 (1) 흡연(남자 현재흡연율), (2) 음주(고위험음주율), (3)신 체활동(걷기 실천율), (4) 비만(체중조절시도율), (5) 구강건강(점심식사 후 칫솔질실천율), (6) 정신건강(우울감 경험률), (7) 질병-1(고혈압 진단자 비율), (8) 질병-2(당뇨병 진단자 비율)가 포함된다. 각 통계자료는 질병안전본부에서 제공하는 2014년도 기준 지역사회건강조사의 자료를 통해서 구축했다.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에 특별시와 광역시의 지표들이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얼굴 모양에서 알 수 있다. 대전광역시,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가 우수한 편이다. 반면에 도 단위 자치단체들의 성적은 다소 저조한데, 특히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체르노프 얼굴을 활용한 지역분석과 표현기법은 기존의 데이터분석이나 표현을 향상시키는 좋은 예가 될 수 있는데, 이를 지역홍보 및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고, 지역 주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얼굴형식이라는 점에서 선거 전략으로도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얼굴의 각 부위가 어떤 변수를 표현할 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부족하다는 점 등은 극복해야 할 한계로 남아 있다. Chernoff face is a statistical visual expression method of multivariate data using the human face image. It matches human face’ elements such as eyes, nose, mouth to each variable of multivariate database. The method’s major advantage is that it is able to demonstrate various urban and regional statistics in one face and give the spatial simplicity of perception. Thus it is widely applied to big data analysis. This study shows Korea metropolitan governments’ local community health index using the Chernoff face. The health index includes ① smoking habit, ② alcohol drinking habit, ③ walking habit, obesity, ⑤ teeth health, ⑥ mental health, ⑦ hypertension, and ⑧ diabetes. Data source is the 2014 Korea Local Community Health Survey that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provides. Generally speaking, metropolitan areas such as Daejeon, Seoul, and Daegu shows better performance in the health index than provincial areas such as Kangwon, Chungcheongbuk, Chungcheongnam, and Jeju which need a policy measure to improve people’s health habits. Although the Chernoff face can be a better research tool or marketing method for local governments and elections, it has some demerits such as lack of clear standard for matching the facial elements and statistical variables.

      • KCI등재

        COVID-19 시대의 Korea 뉴딜의 성공전략 : 교육뉴딜을 중심으로

        기정훈(Ki, Jung Hoon),조덕호(Cho, Deok Ho) 한국지역개발학회 2020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2 No.4

        제4차 산업혁명시대는 지식(knowledge)사회를 넘어 지능(intelligence)사회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그렇지만 여기에 머물러서는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사회는 될 수 있지만 결코 행복한 사회가 될 수 있다. 우리는 반드시 사회 구성원 모두가 행복한 지혜 사회(wisdom society)로 가야만 하며, 이는 공동체가치와 창의력으로 무장된 사람을 통해서 실천 가능해 진다. 삼각대는 결코 쉽게 넘어지지 않으며, Korea 뉴딜(디지털+그린)과 교육 뉴딜이 융합될 경우 지속적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19 시대에 있어서 교육 + 디지털 + 그린 뉴딜의 융합 삼각 받침대는 우리나라를 지혜롭고 행복한 사회로 안내할 것이다. 이는 어느 쪽으로도 넘어지지 않고 서로 융합과 균형을 이루면서 향후 대한민국이 세계 경제와 공동체 가치를 구현하면서 아무도 가보지 않은 새로운 세상으로 잘 안내하는 선도적 내비게이션이 될 것이다. 따라서 Korea 뉴딜을 넘어 삼각대 뉴딜의 도입과 함께 세 다리(교육+디지털+그린)의 성공적인 융합을 위한 전략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세계 선도국으로 발전하는 핵심전략이 되어야 한다.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rapidly developing into an intelligent society beyond a knowledge society. However, ‘staying here’ can be an economically prosperous society, but it can never be a happy one. We must make sure that all members of society go to a happy society, which is practicable through people armed with community values and creativity. Tripod never falls easily, and if Korea New Deal and Education New Deal are fused, they will be able to continuously provide creative ideas. In the COVID-19 era, the convergence triangle pedestal (or Tripod) of digital + green + education New Deal will guide our country into a wise and happy society. This will be a leading navigation system that will not fall on either side, converge and balance each other, and guide the Republic of Korea to a new world that no one has ever been to, while realizing the global economy and community values in the future. Therefor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Tripod New Deal beyond the current two legged Korea New Deal, strategies for the successful convergence of the three bridges (digital + green + education) should be urgently prepared.

      • KCI등재후보

        스포츠 이벤트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에 관한 연구

        기정훈(Ki, Jung-Hoon),허근영(Huh, Keun-Young),하철수(Ha, Cheol-Soo) 한국공간환경학회 2007 공간과 사회 Vol.28 No.-

        장소마케팅이란 일반적으로는 한 장소, 즉 도시나 지역이 가진 차별성을 찾아내거나 새롭게 개발해 이를 기반으로 그 지역을 광고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관광객 및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전략이다. 장소마케팅은 추구하는 목표와 공간적 계 획에 따른 구분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장소마케팅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과정, 즉 장소의 전략과 마케팅 전략을 가지고 진행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남해군 스포츠파크’라는 구체적인 공간적 사례를 통해 스포츠 이벤트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많은 도시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장소마케팅을 해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스포츠 이벤트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은 무엇보다도 지방도시들에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특히 최근에 대구광역시가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인천광역시가 아시안게임을 유치하는 데 성공하는 등 여러 도시가 스포츠 관련 행사를 유치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남해군의 사례는 지역을 살리고 외부에 알리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해준다. 남해군 스포츠파크라는 장소마케팅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의 틀로는 이무용(2006a, 2006b)이 사용한 장소마케팅 전략의 유형 분류와 전략 수립 과정 분류, 그리고 연구자가 주장하는 공간계획의 정도에 따른 장소마케팅 전략 구분방법을 이용했다. 남해군 스포츠마케팅은 지역경제 추구형(경제적 장소마케팅)이자 공간계획 중심적 장소마케팅으로 구분된다. 장소 전략 과정에서는 잔디운동장 시범사업, 서상매립지 잔디포 조성 및 유채꽃 축제, 그리고 남해군 스포츠파크 조성 사업을 실시했으며, 마케팅 전략 과정에서는 스포츠마케팅을 통한 호텔, 정부지원, 월드컵유치캠프 및 각종 스포츠 경기 유치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지역주민의 소득증대를 가져왔다. 이러한 성공 뒤에는 비록 스포츠마케팅임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공간계획을 가지고 주민들을 설득해 지역을 변화 시킨 리더십이 있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이와 함께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민관의 협력을 통해 지역문화 및 정체성 확립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개발이익의 재분배를 통해 단순한 장소의 번영(place’s prosperity)을 넘어 주민의 번영(people’s prosperity)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장소마케팅의 모범적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place marketing through making a sports event space in the example of ‘Namhae Sports Park’. The Namhae Sports Park is an exemplary case of place marketing, especially to local cities and counties that are trying various efforts in marketing their places. Recently, sports marketing becomes popular in Korea cities since Incheon and Daegu have succeeded in place marketing with hosting major international sports event. Place marketing is generally referred a city’s strategy to attract tourists, companies, and residents by digging and developing the city’s identity or specialties and advertizing them. Place marketing is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by the degree of space planning and its major target. Existent local human capital, new local image slogan and place brand, local cultural event, new local landscape, new local land use, new local industry and sports event are effective sources for place marketing, although some are overlapping in their outcomes. This study adopt Lee(2006a, 2006b)’s place marketing classification and author’s space planning framework to analyze Namhae sports marketing process. Namhae sports marketing, characterizing regional economy-seeking and space planning-centered, has been successful so far with its (1) place strategy that includes the school lawn soccer ground project, Seo-Sang land reclamation lawn ground, the rape flower festival, and the Namhae Sports Park project, and (2) marketing strategy that comprises hosting the 2002 Worldcup camp and other sports events. Namhae county’s place marketing ultimately triggers regional economic vitality and residents’ income growth. Local leader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 of Namhae sports marketing because they build a long-term comprehensive space planning for this project, persuaded local residents, and went through all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he project. Namhae’s space marketing is an excellent example of place marketing in terms of local people’s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local government, and eventual people’s prosperity beyond place’s prosperit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Open API Mashup 활용한 시민 참여형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가능성에 관한 연구

        기정훈(Jung-Hoon Ki)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7 No.5

        도시계획이나 재난방재와 관련하여 지리정보시스템과 설계용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한 모바일 환경의 변화와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의 발전, 그리고 web 환경의 변화는 도시계획이나 재난방재 분야에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별히 Open API와 Mashup의 성장과 발전은 도시계획이나 재난방재 분야에 시민참여형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가능성을 넓혀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민 참여형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은 기술적, 경제적 및 행정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뿐 아니라, 최근 활발히 건설되고 있는 U-City, U-health, 그리고 재난방재에 효과적인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In the field of urban planning and disaster prevention, variou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GIS) and design softwares have been in use. Recently urban planners and disaster managing officials face new challenges, as three dimensional GIS, web environment, and smart phone app are rapidly developed. Technical progress in open API and mashup opens a possibility of making the citizen participation-based smart phone applications in the field of urban planning and disaster prevention. Our suggested smart phone applications will have technical, economic, and administrative impacts on the society in general; and play an effective role in developing U-City, U-health, and disaster prevention.

      • KCI등재

        America’s High-Tech Centers

        기정훈(Ki Jung-hoon) 한국도시행정학회 2008 도시 행정 학보 Vol.21 No.1

        미국의 첨단산업 지역들은 다양한 경쟁우위적 요소들 (competitive advantages)이 존재하는 대도시권의 입지를 선호할까? 물론 보험, 금융, 부동산 관련 업종들 역시 대도시 입지를 선호함에도 불구하고 특별히, 인구가 100만명 이상이 되는 거대도시들에 거주하는 첨단산업 종사자들의 비율은 미국의 전체산업 종사자 평균비율보다 훨씬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78.7% 대 54.5%). 미국의 첨단산업지역들은 고임금 직업들과 그 지역의 산업 역사와 관련 있는 지역적으로 전문화된 기술로써 특징지어진다. 미국 첨단산업지역의 입지요인들 중 인적자본과 창조적 계층의 분포는 대도시권 주요입지요인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고등교육을 받은 고급노동력이나 창조적 계층(혹은 직업군)으로 표현되는 인적자본의 강점은 그들의 교육이나 경험으로부터 창출해내는 집합적 지식, 기술이나 창조성이라고 할 수 있다 (Kotkin, 2000; Florida, 2002a).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입지요인의 작용 하에서 인적자본이나 창조적 계층의 역할은 제한될 수 밖에 없으며 다양한 입지적 요인들에 대한 연결고리로써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도 인적자본에 기반을 둔 지역개발정책이 성공적인 첨단산업지역을 형성에 중요하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 KCI등재

        인적자본 집적도시의 형성과 성장에 대한 통계학적 연구

        기정훈(Ki Jung-Hoon),허근숙(Hur Kune-Sook) 한국도시행정학회 2009 도시 행정 학보 Vol.22 No.2

        In this study, we conduct a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n human capital agglomerating city (or metropolitan area) using the quasi-experimental design method. By recent population, education, and employment data, we define three groups of ‘human capital agglomerating city’. They are (1) simple population agglomerating city group, (2) educated worker agglomerating city group, and (3) creative class agglomerating city group. Then we define their twin city groups based upon similar population size of the year 1960 when national economic policy and land development projects were not started. We compare these two groups in ten year period (1960, 1970, 1980, 1990, 2000, 2005) in terms of population size. Simple population agglomerating city group’s average popula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its twin group in 5 percent significance level since 1980 to 2005. However, in educated worker agglomerating city group and creative class agglomerating city group, their population sizes have been offset by their twin city groups. We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rom the study. First, the simple population agglomerating city group’s analysis demonstrates that national scale new town development since 1980s seems to play a certain role in population growth in cities and metropolitan areas in Korea. Second, in both educated worker agglomerating city group and creative class agglomerating city group,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opula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its twin group. It seems more difficult for a city or a metropolitan area to plan and implement the public policy to attract educated workers or creative class than just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