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문화사회의 평화교육 과제와 뇌교육의 의미: 문화 간 이해를 중심으로

        권효숙 ( Hyo Sook K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9 뇌교육연구 Vol.3 No.-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사회가 제기하는 문화 간 이해의 과제를 평화교육이라는 보다 확대된 교육적 범주 안에서 조망해 보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법으로서 뇌교육이 가지는 의미를 제시하는 데 있다.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질적 문화 간의 `평화로운 공존`은 사회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필수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뇌교육의 목적과 방법은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가능하게 한다. 즉, 뇌교육이 지향하고 있는 `홍익인간`은 다문화사회에서의 인간이해에 방향성을 제공함으로써 이질성이 조화의 씨앗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뇌교육의 체험적 방법론은 평화적 감수성을 함양하여 평화로운 관계의 일상적 실천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우리의 교육적 전통을 재해석한 뇌교육이 다문화적 상황에서 평화교육의 넓은 범주를 아우르는 기본교육모델로서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the meaning of brain education for a peace education which is a super ordinate category of intercultural understanding. We are on an unavoidable journey to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So, there is an urgent need of a plan for peaceful coexistence among the people of various cultures. The goal of the brain education, `Hong-ik-in-ghan(弘盒人間)`thought has a very significant implication about understanding the human being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n it changes the heterogeneity into the source of harmony instead of trouble. Furthermore, the experiential learning in view of practical method put the human on the daily life which is filled with peaceful relationship. Finally, the brain education which come from our educational tradition has a possibility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a fundamental model for peace education in multicultural era.

      • KCI등재

        "귀국반" 구성원의 상호이해 과정

        권효숙 ( Hyo Sook Kwo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3 교육인류학연구 Vol.6 No.1

        최근에 나타난 귀국학생의 급속한 증가 현상은 학교 장면에서 이들의 교육 문제를 새로이 인식하고 대처해야 할 필요성올 제기하고 있다. 그 동안 귀국학생은 적용의 대상으로 파악되었으며, 성공적인 적응의 판별 은 한국 학교의 요구를 얼마나 빨리 만족시키는가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 학교의 적용교육이 ‘한국 학생 만들기’에 초점 올 맞추고 있으되, 상대적으로 다양한 문화적 경험과 적용 과정 자체의 교육적 의미에는 큰 관성을 기울이지 못하고 있음올 의미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귀국반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귀국반의 주요 구성원들이 구체적인 맥락에서 어떻게 서로를 이해해 나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교육현장의 인적 요소는 교육 현상의 의미 구성에 중요한 맥락을 제공 하는데, 특히 이 연구에서는 교사와 아동에게 주목하였다. 또한 그들의 상호작용 및 변화과정을 통하여 기존의 적응개념을 반성적으로 고찰하면서 교육적인 적응의 가능성올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The number of returnee students has been increased rapidly and therefore it has raised the necessity of re-consideration about their education. Most people have recognized the students as the ones who have to adjust to the Korean school system. In such circumstances successful students have been regarded as those who satisfy the demands of Korean school quickly. It means that adjus이ve education is not so much concerned with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erience.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impOltance of the mutual understanding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of returnee class. Because the members of the class, especially teachers and students`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to compose the meaning in the educational situations. For the progress of the adjustive education, the concept of `adjustment` is required to be reconsidered. It can be also helpful for practices of the Korean returnee education.

      • 뇌교육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의 의의

        권효숙 ( Hyo Sook K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3 뇌교육연구 Vol.12 No.-

        본 연구에서는 뇌교육의 체험적 지식을 이해하고 체계화하는데 유용한 접근 법으로서 현상학적 접근법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학문 계의 방법론적 논쟁의 역사 속에서 체율체득의 영역인 뇌교육 연구에 적합한 인식론과 개념들을 확보하고 있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그 특성을 검토하였다. 현상학적 체험연구는 직관적 체험을 중시하는 현상학적 인식론의 토대 위에서 인식주체의 의식작용과 체험의 관계 해명하는 구체적 절차를 연구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체험의 원천으로서 ‘몸’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학적 체험연구는 중층적 차원의 뇌교육적 체험을 다양한 방식으로 드러내고 그에 대한 상호주관적 이해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뇌교육 연구를 위한 의미있는 연구방법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방식의 접근 법은 전문연구가뿐 아니라 뇌교육의 체험 주체에게도 성찰과 자각의 과정을 제공하는 교육적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It is attempted in this study to clarify the meaning of phenomenological approach as a method for understanding and systemizing brain educational knowledge. For this purpose, positivism and anti-positivism are reviewed in a historical context. The latter have the qualities for approaching brain education. The method regarded consciousness as an important subject for understanding, and it has been developed with the procedure in the concrete. At the same time, the concept of body(flesh) has been defined as the embodied mind, which is similar to the view point of brain education. In sum, phenomenological approach have the possibility as an available method in that it equipped meaningful epistemology and concept tool for brain education. According to this spirit, we should not confine the methods only with in a professional research purposes, but try to apply it as our exploring tool to get a reflection and awakening for our completion as a human.

      • 성공적 노화 연구의 학문적 동향

        권효숙 ( Hyo Sook K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1 뇌교육연구 Vol.S No.-

        본 연구에서는 최근 뚜렷한 연구성과를 축적하고 있는 ‘성공적 노화’ 분야의 연구경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국내 학술논문검색 싸이트인 KISS와 DBPIA에서 ‘성공적 노화’를 제목으로 포함하고 있는 논문 58편을 검색하고 연구의 학문적 배경, 연구목적과 방법, 구성요소 및 유형을 준거로 삼아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적 노화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분야는 매우 다양하며, 특히 사회과학 분야의 참여가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공적 노화관련 연구는 실용적인 목적과 순수 학문적 목적을 가진 연구가 골고루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한 실증적 연구에 치중되어 있어 구체적 맥락 속 성공적 노화를 다루는 연구가 요청된다. 셋째, 성공적 노화의 다양한 패턴 확인을 위한 하위문화별 기초자료 조사가 요청된다. 이처럼 삶의 철학에 대한 연구와 그 양태에 대한 다각도의 탐색이 요청되는 가운데 뚜렷한 철학과 실천지로서의 유용성을 내포하고 있는 뇌교육의 장생 개념은 하나의 대안적 개념틀로서 가능성을 가진다. This paper is purposed to study the research trend in successful aging field which has made remarkable results recently. The search in the KISS and DBPIA resulted in the total of fifty-eight successful aging related research papers, which were analyzed with the method of meta analysis. The research is targeted on three parts; the academic backgrounds of the papers, the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es, factors and types of successful ag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ers from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imensions are working on, especially they have shown the most active participation in social sciences. Second, the purposes of the studies are well-balanced proportions between pragmatic usage and academic purposes. However, methods used in the studies have been concentrated on verifying a hypothesis, researches in a concrete context are rare. Lastly,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data based on sub-cultures to consider the various patterns of successful aging. We now have enough reasons to consider the ‘Jangsaeng’ concept for successful aging studies not only as application and instrumental use, but as a goal and consolidated concept.

      • 문화적 학습양식과 뇌 발달

        권효숙 ( Hyo Sook K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6 뇌교육연구 Vol.1 No.-

        이 연구는 인간학습에 기초를 제공하는 두 축으로서 "뇌"와 "문화"를 상정하고, 인간이 획득하는 다양한 학습양식이 문화적 맥락과 어떠한 관련을 가지는지, 그것은 뇌 발달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금껏 문화와 뇌의 발달 간 상호관련성에 관한 논의는 그 성격상 실증적 자료를 축적하기 어려운 상황이었으며 그에 대한 논의 역시 거의 이루어져 오지 않았다. 그러나 인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그 가능성을 확장시키는 일이 교육학의 과제라면, ``뇌 발달``과 ``문화``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일은 인간에 대한 보다 다각적인 이해를 토대로 하여 교육에 접근하는 하나의 방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문화``와 ``뇌 발달``의 관련성을 ``문화적 학습양식``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접근하고, 이에 대한 이해가 어떤 교육적 시사점을 갖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교육의 장면에서 문화적 학습양식의 개념을 수용하고 존중하는 일은 인간의 개별성을 존중하고 자기주도적 학습을 북돋우며 교육환경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의 생물학적 토대인 자신의 뇌 작동 기제와 일상적 삶을 되돌아 봄으로써 스스로의 학습과정을 이해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는 곧 학습자가 자신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태도를 갖게 하는 일과 관련되어 있다. 둘째, 인지체제의 문화구속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독특한 학습양식을 "옳고 그른" 것이 아닌 "다름"으로 존중할 수 있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개별 학습자에게 최적화된 학습방식을 허용하고 안내하기 위해 유연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개별학습자의 학습 특성에 대한 원자료들을 풍부하게 확보하기 위해서 학습과정에 대한 기술과 해석의 축적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ontext and learning style, and to find the way of mechanism for brain development. By influencing on the formation of cognitive pattern, culture have potent effect on the learning style. And cultural experiences build the nervous pathway by deciding the way of connection between neurons. Like this, brain and learning have a complementary connection through the interaction. In an educational situation, it is needed the respective attitude of the various learning style, which encourage the demand-driven learning and build a abundant educational environment. I propose some suggestion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situation. First, learners have to understand the self which consist of the brain and daily life and interconnection between them. Second, "difference" should be accepted a logical conclusion in the concrete educational situation. And then, we have to permit the best suited situation for individual learners and appropriate curriculum. Third, we have to pile up the data which descript and interpret the process of individual learning process.

      • KCI등재

        논문 : 질적 연구와 디자인의 방법론적 비교

        권효숙 ( Hyo Sook Kwon ),이주명 ( Joo Myung Rhi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2

        본고는 최근 디자인리서치의 요소로서 사용되는 개별적 방법들이 질적 연구의 체계와 갖는 연관성에 주목한다. 양적 연구와 대비되는 질적 연구는 자신만의 독특한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세계를 인식하며 그러한 인식론은 고유 방법론의 토대가 된다.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가 자연계에 적용했던 실험과 양적분석의 구조를 인간현상에 까지 적용하려는 시도를 거부하고, 세계를 바라보는 인간의 내면을 그 사람의 눈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질적 연구는 다수의 실재가 존재한다는 상대주의적 존재론, 연구자와 참여자가 공동의 이해를 형성한다는 주관주의적 인식론, 맥락에 따라 연구방법 및 절차의 유연성을 전제로 한 자연주의적 접근을 방법론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 디자인과 질적 연구의 비교 검토 결과 현상의 이해가 목적인 질적 연구와 인공세계의 구성에 관심을 두고 있는 디자인이 방법론적 측면에서 상당한 유사성을 보이고 있으며, 상호 시사점이 있음을 밝혔다. 차후 디자인은 개별 방법으로 시작된 질적 연구와의 관계가 인식론적으로 확대될 필요성 또한 확인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methods used as a part of design research and the system of qualitative study. Qualitative study recognize the world through its unique paradigm, which the basement of its methodologies comparing with that of quantitative study. Quantitative study adapt its research logic such as controled experiment and quantitative analysis, that are useful to research the natural world, to human phenomenon. Qualitative study, however, denies that and takes people`s eye to view their inner mind to the world. In order to achieve that, qualitative study suggests three strategies of its methodologies : relativism, subjectivism, and naturalism. As the result of conducting the comparison between qualitative study and design, they have quite similar aspects on their methodologies and some suggestions to each other, even though one aims to understanding human phenomenon and another to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world.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that was started from the adapting individual methods of qualitative study to design needs to expand to considering the epistemology.

      • 성인수련자의 내러티브에 나타난 뇌교육적 의미

        신혜숙 ( Hye Sook Shin ),권효숙 ( Hyo Sook K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8 뇌교육연구 Vol.2 No.-

        이 연구의 목적은 자발적으로 심신수련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수련자들이 구체적 삶의 맥락 속에서 수련체험을 어떻게 의미화해 나가는지를 이해하고, 그 과정을 뇌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심신수련프로그램 중 특히 뇌호흡 수련에 참여하는 수련자들을 선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뇌호흡 수련이 뇌교육의 구체적 방법으로서 일련의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의 목적과 관련하여 연구대상은 수련자 자신의 내밀한 삶에 대한 성찰 내용을 부담감이나 거부감을 가지지 않고 가능한 한 많이 이야기 해 줄 수 있으며, 수련과 일상생활의 관련양상에 있어서 서로 차별성을 가지는 세 명의 수련자들을 선정하였다. 한편 이 연구를 바탕으로 수집된 자료는 우리의 경험을 조직하는 가장 근원적인 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론을 따라 수행되었다. 자료수집은 주로 대면적 면담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이야기하기(telling)``와 ``다시 이야기하기(retelling)``를 통해 참여자의 경험 세계를 이해하고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수련체험이 자신의 일상적 삶 속에서 인간의 보편적 이상을 인식하고 실천하는 데까지 나아가도록 하는 원동력이라 정의하고 있었으며, 수련과정에서 형성한 체험적 이론을 통해 세상을 보고 자신을 성찰하고자 하는 노력에 대하여 가치를 부여하고 있었다. 뇌교육의 핵심이 주체적 자아형성과 그에 기반한 실천력을 갖춤으로써 보다 가치있는 삶을 살도록 하는 데 있다고 한다면, 스스로를 삶의 주체자로 인식하고 가치지향적 삶의 태도를 가지도록 이끄는 수련체험은 뇌교육의 목적을 실현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수련자들의 체험과 성찰에 대하여 외부와 좀 더 자유롭게 소통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장(場)을 확대하는 일이 수련자 및 수련공동체의 공통적 과제로 남아있다. 수련체험에 대한 폭넓은 교류 자체가 그것을 다양한 방식으로 의미화하고 공유하는 통로가 될 수 있으며, 그것은 곧 수련의 궁극적 목적을 실현하는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ubstantial meaning of brain respiration trainees` personal experiences in concrete context and to interpret its brain educational meaning. We selected three participants who hold communion with oneself through their training and can talk freely about their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can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a condition how they have related between the daily life and training. The collected data from this study are focused on human experiences and also followed by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which is the basic structure of human experiences and the holistic quality.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were understood and interpreted through ``telling`` and ``retelling``. The participants defined the training experiences as the motivational power of the cognitive and executive faculty in the daily life. Moreover they have felt self-esteem about their effort to form their own experimental theory and to reflect on their life through the training. Suppose the heart of a brain education is thoroughgoing study of valuable existence, training experiences have the meaning of brain education for a variety of reasons as we mentioned above. In the meantime trainees and training community have a task to enlarge the field which they can communicate the experiences and reflections freely with others who can`t experience the training. Without extensive communication with others, the real goal of training can`t be realized.

      • 뇌교육 교사의 수업전략 형성 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미화 ( Mi Hwa Lee ),권효숙 ( Hyo Sook K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9 뇌교육연구 Vol.3 No.-

        이 연구의 목적은 뇌교육 교사가 다양한 수업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형성해가는 과점을 이해하고 수업전략형성 과정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문화기술적 연구의 대표적인 기법인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사용하였다. 뇌교육은 몸을 통하여 마음의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하며, 대부분 직접적인 체험을 통하여 습득하도록 하는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교사가 수업 전략을 잘 세워 아동들이 체험을 잘 하도록 하고 그 체험을 바탕으로 교육적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여느 수업에서보다 강조한다. 이 연구의 주제보자는 뇌교육 교사로서 끊임없이 아동들의 상태와 수업 방법에 대해 고민하며 자신을 돌아보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주제보자가 수업전략을 형성하는 과정을 구조화하면 `교육에 대한 재발견`, `수업 틀 잡기`, `수업 돌아보기`로 나타낼 수 있으며 그러한 구조화의 핵심에는 `소외 없는 교육에 대한 지향`과 `교수-학습자로서의 성장체험`이 자리하고 있다. `소외 없는 교육에 대한 지향`과 `교수-학습자로서의 성장체험`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장면은 뇌교육 교사가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지평을 확장해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how the processing of instruction strategy is formated by brain education teachers. The study has been carried on b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around the key informant`s place of work. The instruction for brain education is after the change in learner`s attitude through the change of own`s body and direct actual experienc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lead the learners to learn by direct and actual experiences for educational growth. Here is in the case of teacher Park. She has made strenuous efforts to find the best way for instructional improvement. It consists of the self-reflection and concerning about the learners. The structure of the formative process is analyzed into three components which are `the rediscovery of education`, `making the framework of a instruction`, `reflecting upon the instruction`. There are `respect for avoiding alienation` and `experiences of growth as the teacher-learner` at the base of formative process. It means that the formative process contains the process of expansion for educational understandings.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수업집중력 향상을 위한 뇌교육 실행연구

        유지영 ( Ji Young Yu ),권효숙 ( Hyo Sook K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5 뇌교육연구 Vol.1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학급학생의 수업집중력을 향상하기 위해서 뇌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수업시간에 집중할 수 있는 태도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질적 접근을 통한 실행연구 방법을 사용하였고, 학교 현장에서 초등학생을 가르치는 교사연구자로서 ``문제파악 및 계획→실행→관찰→반성``이라는 실행연구의 절차에 따라 실행과 연구를 함께 하는 방식을 따랐다. 실행 과정은 문제 진단 및 해결 방안 모색 과정, 프로그램 선정 및 재구성 과정, 실행 결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실행 과정에서 수집한 경험 자료를 분석하여 뇌교육 프로그램 적용 과정에서 학급 학생이 겪는 변화를 살펴보았고,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뇌교육 실행연구가 초등 학생의 수업집중력 향상을 위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수업집중력 향상을 위한 뇌교육의 내용적 의미와 교사연구자의 반성과 반복적 실행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연구의 방법적 의미가 함께 작용하여 초등학생들의 수업 집중력을 향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lass attentiveness in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 I searched through many practical theories and methods which are applicable to the education field and decided to apply a brain education method. As a teacher and a researcher, I deployed action and research simultaneously under the procedures of action-research: problem identification, planning an action, an observation and a reflection. In the 1 st procedure of Action, training the mind and body was emphasized to create a foundation of power to concentrate. As a result, activ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a researcher occurred. Students found it interesting in class activities and felt beyond physical and emotional limits. In the 2nd procedure of an action, the meditation was executed with a new focus after reflection of the researcher had taken into account the results of surveys conducted by attendants. As a result, attendants were given clear objectives, a motivation, and a formed attitude of self-directed learning.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attentiveness of students in the class, regarding the interaction between meaningful approaches to brain-education, with the focus on the step-by-step experience activities.

      • 뇌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자기성찰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여자중학생을 대상으로

        원수라 ( Su Ra Won ),권효숙 ( Hyo Sook K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5 뇌교육연구 Vol.16 No.-

        이 연구는 성장과 변화라는 발달적 단계에 직면한 여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뇌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성찰 경힘을 통해 나타난 자기성찰 태도의 특징과 자기성찰 경험이 지닌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런 목적을 위해 C지역의 행복중학교 3학년 한 학급 여학생 35명을 대상으로 2014년 4월-12 월까지 뇌교육 프로그램 중 뇌체조, 뇌파진동, 에너지집중 명상을 중심으로 매주 30분씩 3회에 걸쳐 진행을 했다. 뇌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참여자들에게서 다음과 같은 성찰 경험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참여자들이 자기이해의 출발점으로 자신의 몸을 새롭게 이해하고 있음을 포착할 수 있다. 둘째 뇌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밖으로 향해 있던 의식이 내면으로 향하면서 참여자들은 자신의 몸뿐만 아니라 내면의 감정, 마음 상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됨을 알 수 있다. 셋째 참여자들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의지를 내고 있으며, 그런 자신의 모습을 성찰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같은 몸과 마음의 통합적 차원의 성찰 경험은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내적 상태 및 문제에 대한 자각, 타인에 대한 의미 탐색을 다각적으로 모색하도록 한다. 또한 자신을 새롭게 발견하고 이해함으로써 변화와 성장의 과정에서 필요한 삶의 태도를 형성하도록 도와준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offer growing and changing participants chances to reflect themselves with brain education programs and examine characteristics of self-reflecting attitude and the meaning of these experiences. It was conducted to 35 female students of a third grade class of Haengbok middle school located in district C for 30 minutes of 3 days a week from April to December, 2014. The programs in this research focused on brain gym exercises, brain wave vibration, and meditation on energy compaction.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irst, the participants tried to understand of their bodies in the new way starting from self-understanding. Second, they turned their consciousness from outside to inside, looking at their state of mind and inner feelings as well as their bodies objectively. Last, they began to set up their own goals and reflect themselves while achieving them willingly. In conclusion, the participants in the brain education program could expand their experiences of self-reflection and understand themselves through reflective thin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