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행동적 가족중재 프로그램의 적용 이점 및 향후 방향:

        권회연(Kweon, Hoeyeon) 한국장애아동인권학회 2016 장애아동인권연구 Vol.7 No.2

        2014년 11월에 제정된「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2015년 11월부터 시행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정책 및 구체적 프로그램, 담당 기관 및 전문가 역할에 대한 논의가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특히 법령이 규정하는 지원 대상자가 발달장애인 당사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발달장애인 가족의 복지증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구체적이고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가족개입 프로그램의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행동주의적 가족중재 모델은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직접적인 훈련을 포함할 뿐 아니라, 일관성있는 결과의 제공, 명확한 교수, 선행사건에 대한 중재의 제공, 적절한 부모역할 기술에 대한 모델링, 차별강화, 피드백 등의 행동주의에 입각한 교수방법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다른 가족개입 모델과는 차이점을 가진다. 부모-아동 상호작용 치료와 긍정적 부모역할 프로그램은 대표적인 행동적 가족중재 방법으로서 이론적 배경과 서비스 전달체계에서는 차이를 보이지만, 효과성이 입증된 가족중재 방법이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행동적 가족중재 프로그램인 부모-아동 상호작용 치료와 긍정적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특징을 살펴보고, 발달장애인법 시행과 맞춰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발달장애인 가족을 대상으로 한 가족지원 시 체계적인 가족중재 프로그램을 구안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행동적 가족 중재 프로그램의 정착과 국내 도입 등 실천적 과제에 대한 논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t implicated in nov, 2015, however, the practice measure were insufficient on the service delivery system and the expert training, the effective, evidence-based family intervention. The behavioral family intervention have the discrimination of which include the direct training, and then a behavioral teaching strategies such as a offering the consistent outcomes, precious teaching, the intervention for antecedents, modeling process to appropriate parenting, the differential reinforcement, feedback. Specially, the distinctions between the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and positive parenting program presented in background theories and the services delivery systems, the approaches were widely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ies shows that those approaches had been proved to evidence-based practices in many countries. The second, in order to overcome limit of the behaviorism, the various theories such as a developmental theory and recognition behavior therapy, was integrated in the conventional behaviorism. The third, these diversify the application of services delivery system to accord with the individual needs of families and ecological surroundings. The fourth, these sustainedly expand the subject directed and the scope of system application. Finally, We discussed the practice subjects for the introduction in korea and suggested for the follow-up studies.

      • KCI등재후보

        통합교육 경험이 대학생들의 장애인 인권 의식 및 인성에 미친 영향 연구

        권회연 한국통합교육학회 2015 통합교육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n the right of person with disabilities and the influence on the personality of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integrated education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in the long term, and to find the effectiveness and future directions of integrated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15 university students with experience integrated education at individual school levels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To select these participants and investigation inquiry we conducted study in advance aimed at 200 university students attend 3 teacher training institutes. Finally, an in-depth interview targeting 15 university students was implemented. The results were showed in the point of educational equality, educational participation, and human dignity. First, through educational neglect in the integrated classroom, almost the whole students experience the legitimacy of discrimination and worthlessnes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on accou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e general students as well as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sponded the lack of opportunity and right of communication and self determination. Specially,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no friends, opponents, and methods of desires’ expression. Third, almost the whole students feel sense of guilt, shame owing to lethargy and indifference disregarding bullying. Therefore the unprepared integrated education cause problems as regression of a sense of human right and personality, the disappointment on school system including teacher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e ways to improvement of integrated education, a sense of human right on a person with disabilities and personality of general students in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의 전체 학령기 동안 통합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이 지각하는 장애인 인권 의식과 인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통합교육의 효과성 및 향후 통합교육의 방향성을 정립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과에 재학하거나 사범대학에서 특수교육학 개론을 수강하는 1, 2학년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여 질문지를 개발하고, 최종적으로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평등 차원에서는 장애학생들이 일반학급에서 교육적으로 방치되는 환경을 경험하면서 장애학생들이 차별받는 것에 대한 정당성과 함께 무가치함을 경험하게 되고, 차별이 받아들여지는 학교체계에 대해서 부정적 인식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합학급 교사의 소극적인 태도로 인해 실망감과 혼란감을 보고하였다. 둘째, 교육참여 차원에서는 장애학생들은 대부분 친구가 없고 의사소통 수단이 없는 상태로 외따로 떨어져 있어 장애학생과의 소통의 부재와 답답함을 느꼈으며, 장애학생 인권 측면과 더불어 보편적 인권의 차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인간 존엄성 차원에서는 또래들이 장애학생을 괴롭힐 때 처음에는 분노감이나 화를 느끼지만 또래들에게 자신도 따돌림을 당할까봐 두려운 마음에 무관심을 가장하여 회피하게 되고, 심리적으로는 수치심, 죄의식, 무기력감 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준비 없는 통합교육은 학생들의 인권의식의 퇴보뿐 아니라, 인성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통합교육의 방향성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상징체계 수립을 위한 그림상징 도상성에 관한 고찰

        권회연 ( Kweon Hoe-yeon ),김미선 ( Kim Mi-s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2

        상징은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의 핵심적인 구성요소이며, 특히 인지장애를 가진 발달장애 학생들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에 사용되는 상징의 경우에는 학습하기 쉽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그동안 국내에서 개발된 AAC 도구들은 주로 그림상징을 상징체계로 사용하고 있으나, AAC 사용자의 관점에서 그림상징의 도상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힌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국내에서 개발된 그림상징의 특성과 그림상징의 도상성에 대한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AAC 사용자의 관점과 촉진자의 입장에서 사용과 교수가 용이한 타당성 있는 상징체계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상징의 도상성은 연령, 어휘의 품사별, 동작성 여부, 사용되는 AAC 도구, 장애유형별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목적과 연구결과에 따라 향후 국내 실정에 적합한 AAC 상징체계 개발에 필요한 제언과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Graphic symbols are the core component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system, which should be developed to acquire easily for the people with severe intelligent disabilities. All the while, the AAC devices developed in the nation used the graphic symbols mostly often, however, there are a few studies on the standards of the iconicity of graphic symbols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As investigating the researches conducted on the iconicity of graphic symbols and the graphic symbol systems, the valid graphic symbol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AAC user and the facilitators will develop in the future. In the AAC graphic symbols, the visual features were similar between multiple disparate tools. And then the iconicity of graphic symbols was influenced by the ages, the part of speech, the animated features, AAC devices, the type of disabilities of the AAC us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t make sense to suggest the commend for the appropriate graphic symbols.

      • KCI등재

        보드게임을 활용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권회연 ( Hoe Yeon Kweon ),이미애 ( Mi Ae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지역사회 가용자원을 활용하여 여가활동의 일환으로 적용된 보드게임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에 다니는 발달장애 학생 44명으로 통제집단 22명과 실험집단 22명으로 나뉘어 실험집단에는 보드게임을 활용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적용으며, 연구설계 방법은 독립표본 t-검증을 이용한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사회적 기술의 하위영역인 협력기술, 자기주장, 자아통제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effective leisure Program fo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was based board game, and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social adaptive skill. The social adaptive skill scale of this study was composed three sub-categories, which was the cooperation, the assertion, the self-control. A pre-post test controlled group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he statical method, t-test was used to find the mean difference of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e subjects were 44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elementary school.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to present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controlled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on all area, three sub-categories, which were Cooperation, Assertion, Self-control. Finally, for future studies, the limits and the directions were discussed on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발달장애 학생의 다중지능 유형

        권회연 ( Hoe Yeon Kweon ),이미애 ( Mi Ae Lee ),전병운 ( Byung Un Jeo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2 No.4

        이 연구는 D시에 거주하는 발달장애를 가진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다중지능 발달 특성의 유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다중지능의 발달 유형에 따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삼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정신지체 아동 5l명, 자폐성 장애 아동 52명으로 총 103명이었으며, 장애유형별 다중지능 발달점수의 차이비교를 위해서는 일원분산분석을, 군집별 유형을 추출하고 각각의 장애유형별 빈도수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군집분석과 카이제곱 검증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신체지능과 대인관계 지능에서 장애유형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다중지능별 유형 분석에서는 5개의 다중지능 발달유형을 추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인 발달장애 아동에서 `대인관계-개인이해형`이 가장 많았으며, `전반적 저하형`이 다음으로 많았으며, `논리-개인이해형`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별 다중지능 발달 유형의 빈도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정신지체와 자폐성장애아동에게서 `전반적 저하형`이 각각 28.3%와 38%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많은 유형은 정신지체 아동에게는 `대인관계-개인이해형"과 `신체-공간-음악형`이 26.1%로 동일하게 나타났지만 자폐성장애아동에게는 `신체-공간-음악형`이 34%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 아동의 다중지능 특성에 대한 논의와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and the developmental types of multiple intelligenc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and to make the basic data for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developmental types of multiple intelligence. The subjects were 103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51 mental retardation and 52 autism). t-test was applied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 1, and cluster analysis by K-Means Cluster and χ2 were applied to test question 2 and 3.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test reveal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multiple intelligence profiles from the mean of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Cluster analysis revealed that among 5 development types of MI, `overall low intelligence type`, was the most frequent, and `Bodily-spatial and musical intelligence type` was the second, and the lowest type was `logical-mathematical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type`. And most of the mental retardation students and autism students belonged to `Bodily-spatial and musical typ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생의 특성 및 팀 리더십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대인관계 역량, 학교적응 역량, 진로 성숙도의 차이 연구

        권회연,김미선,박중휘 한국통합교육학회 2016 통합교육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eam Leadership improvement program, Nationality, School Class on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 Adaptability of School, Maturation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Students with Muticultural Family.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32 students with Muticultural Family. And they have the different nationality of mother, go on different school class. To develop the valid program we conducted delphi study in advance and analysis of covariance. We applicated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method and family-related learning method. The results were showed in the impact of the difference of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 Adaptability of School, Maturation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Generally, middle school students have lower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 sociality, school adjustment, academic motivation. And Team Leadership improvement program showed the effect on Team Leadership, sociality. Specially, the effect of team leadership improvement program differed from the nationality of mother.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ed the ways to the support corresponding to environmental needs and different need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모의 국적, 학교급, 팀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의 참여 여부에 따라 다문화가정 학생의 대인관계 역량, 학교적응 역량 및 직업 성숙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향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다문화가정 학생 32명으로, 초등학생 17명과 중학교 학생 15명으로 하였다. 다문화가정 학생의 모의 국적은 중국인 경우가 10명, 일본 11명, 동남아 11명이었으며, 팀 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16명, 참여하지 않은 학생은 16명이었다. 자료 분석 방법은 선행연구를 통해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 자아효능감과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삼아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진로 성숙도에 있어서는 초등학교보다는 중학교에서 약간 상회하는 점수를 얻은 반면, 대인관계 역량과 학교적응 역량에서는 초등학교에서보다 중학교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 학교급이 올라감에 따라 대인관계와 학교적응에 있어서 다문화가정 학생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팀 리더십 프로그램은 팀 리더십 능력과 학업동기 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고안 및 지원 방향성과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자폐성 장애아동의 적응행동발달에 관한 종단 연구

        권회연,전병운 한국자폐학회 2013 자폐성 장애연구 Vol.13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adaptive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s being educated under the inclusive education sett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s, among them, the degree of disability of 10 children was mild, that of 7 children was severe.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longitudinal research during 2 years. And the age of participants were 10 years old at the begin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of adaptive behavior between severe and mild autistic disorders had big difference. The developmental aspect presented a steady advance except motor area, but many changes didn't occurred during 2 years. Second, children with the severe degrees of disability presented big difference on a case by basis. Third, children with the severe degrees of disability presented more developmental advance from 10 years old to 11 years old. And to conclude, the adaptive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s were increased under the inclusive education setting. Also the mean difference did't presented between 3 groups(10, 11, 12 age) through ANOVA(ANAlysis of Variance). In spite of relatively long period research(2 years), this research had a limitation, thus further researches should expand the ages of the subjects, and whether the more subjects have a difference on developmental aspects. 본 연구는 자폐성 장애아동의 연령에 따른 적응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자폐성 장애아동 17명으로, 중도 장애아동은 10명이었고, 경도 장애아동은 7명이었다. 총 2년 동안 3번의 적응행동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시작 시점의 연령은 10세였다. 연구 결과, 중도 자폐성장애아동과 경도자폐성장애아동의 적응행동은 차이가 크며, 운동영역을 제외한 적응행동 영역에서 중도와 경도 자폐성장애아동 모두 꾸준한 발달양상을 보였지만 그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도 장애아동의 경우에는 실제적 적응행동에서 표준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른 발달적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경도 자폐성장애아동의 경우에는 10세에서 11세 사이에 개념적 적응행동기술과 사회적 적응행동 영역에서 좀 더 뚜렷한 발달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10세, 11세, 12세에 해당하는 세 연령집단 간 적응행동의 하위 영역에서 중도 자폐성장애아동과 경도 자폐성장애아동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키르기스스탄의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교육 ODA(공적개발원조)사업의 수요 분석

        권회연(Hoe-Yeon Kweon),김형준(Hyoung-Jun Kim),정다예(Da-Ye Jeong),천범산(Beom-San Cheon),곽승철(Seung-Chul(Kongju Kwak)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논집 Vol.27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키르기스스탄의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지원 요구를 파악하여 향후 교류 협력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키르기스스탄 현지의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서면 자료, 법령, 선행연구 등을 통해 관련 개념과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현지 전문가의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육과 통합교육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개별화된 교육적 요구를 고려한 실질적인 장애아동 발견 시스템 및 요구 파악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특수교육 서비스 제공을 위한 포괄적인 접근 방식에 대한 모델 개발과 인적 자원을 마련하는 것이 절실하다. 셋째,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담당인력의 수급 및 지위가 향상이 필요하다. 넷째, 한국의 특수교육 발전 과정, 당면 과제 등을 포함하여 두 나라 간 경험을 공유하고 장기적이고 파트너쉽 개발을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와 향후 지원 방향,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Kyrgyzstan's demand for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and integrated education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future exchange and cooperation. Method: To this end, related concepts and current status were analyzed through written data, laws, and prior studies on special education and integrated education in Kyrgyzsta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local experts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in order to establish the concept of special education and integrate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actual discovery system and need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Second, it is imperative to develop a model and provide human resources for a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provision of special education services.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upply and status of personnel in charge of special education and integrated educa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share experi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cluding Korea's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rocess and challenges, and to find ways for long-term and partnership development. Conclusion: The discussion according to these research results, the direction of future support, and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1~2학년군 국어 교과서 어휘 및 문장 구조의 특성 분석

        권회연,서지원,전병운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0 No.3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vocabularies and sentences presented 1st and 2nd grade Korean language text books of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he vocabularies in the text books were divided into directives and contents. We investigated which level of difficulty they were ;according to the parts of speech, vocabularies, meanings, and so on. We also conducted a morphological analysis by looking over the structure of sentences, the number of directive about activities, the length of word segments, and so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vocabularies related to directives were 4043. The number of vocabularies about the contents were 1236. The parts of speech were nouns(58%), verbs(25%), adverbs(7%), and adjectives(6.7%). In the analysis of difficulty level, the application ratio of vocabularies related to the directives and contents became less in advanced stage of level Ⅳ than the beginner level of stage Ⅰ. The semantic domain was followed by actions(26.6%), education(10.4%), and status(6.1%). In the structure of sentences, the simple sentences were 10.7%, The complex sentences were 82.7%. In the content, the simple sentences were 89.1%, and the complex sentences were 9.8%. The sentences directing more than two activities were 42.3%. The sentences which have more than 8 word segments were 12.9% when looking over the length of the word segment. The semantic and morphological implications of vocabulary and sentence structures in the textbooks of 2015 Basic Curriculum were derived. We suggested the direction of effective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1~2학년군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어휘의 특성 및 문장 분석을 통하여 장애 학생의 언어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군 국어과 (가)․(나)권’을 대상으로 지시문과 교과 내용 어휘로 나누어 품사, 어휘 난이도에 따른 단계, 의미영역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문장의 구조, 활동지시의 수, 어절의 길이 등을 살펴봄으로써 형태론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시문의 어휘 총수는 4,043개, 교과 내용 어휘의 총수는 1,236개로 나타났으며, 지시문의 개별 어휘가 400개, 교과 내용의 개별 어휘가 573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시문과 교과 내용 전체 어휘의 품사는 명사가 58%, 동사가 25%, 부사 7%, 형용사 6.7%로 산출되었다. 난이도 분석에서는 I단계의 초급 단계로부터 VI단계의 고급 단계로 올라 갈수록 지시문과 교과 내용 어휘의 반영 비율이 낮아졌다. 어휘 전체의 의미영역은 동작(26.6%), 교육(10.4%), 상태(6.1%) 등의 순이었다. 문장의 구조는 지시문에서는 단문 12.8%, 복문 82.7%로 나타났으며, 교과 내용에서는 단문 89.1%, 복문 9.8%로 나타났다. 지시문에서 활동을 지시하는 수에서도 두 가지 이상의 활동을 지시하는 문장은 42.3%로 분석되었다. 지시문의 어절의 길이에서도 8어절 이상을 초과하는 문장이 12.9%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본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의 지시문 어휘와 교과 내용 어휘, 문장 구조에 대한 의미론적, 형태론적 함의를 도출하고 장애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언어교육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