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과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중등교사임용 교육학시험 내용분석

        권충훈(Kwon, Choong-Hoo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중등교사임용 교육학시험(2014~2018학년도)의 중심 내용 및 출제 경향을 입체적으로 파악하고, 예비교사교육 관련 기준 및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과의 정합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요 연구방법론은 ‘텍스트 마이닝’과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이다. 텍스트 마이닝 방법론은 중등교사임용 교육학시험 텍스트에서 형태소 분석, 핵심어 추출, 빈도 조사, 1모드 공출현빈도 매트릭스 생성하는데 활용되었다.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론은 교육학시험 속의 주요 핵심어들 간에 나타난 언어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밀도, 연결정도, 중심성 등)을 분석하는데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는 2014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연도별 중등교사임용 교육학시험에 나타난 주요 핵심어들(상위출현 빈도 20위)은 교육학 세부영역인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심리,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생활지도 및 상담 영역에서 많이 출현하였다는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많이 나타난 주요 핵심어는 수업, 평가, 교육과정, 학습동기, 교과 등으로서 교사가 학교에서 요구받고 수행해야 하는 핵심역량으로 보인다. 둘째, 2014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중등교사임용 교육학시험 전체에서 나타난 상위출현 빈도 30위 핵심어들의 언어네트워크 특성은 핵심어들 간의 밀도가 상당한 수준으로 높으며, 매우 다양한 주요 핵심어들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등교사임용 교육학 시험의 가장 중앙에 위치하고(연결정도 중심성), 모든 주요 핵심어들 간의 직-간접적인 연결이 많은(근접 중심성), 각각의 주요 핵심어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매개 중심성) 핵심어는 학생, 수업, 교사, 흥미 등이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국가 중등교사임용 교육학시험의 내용분석을 객관적이고 심도 있게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예비 중등교사를 양성하는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등에 의미 있고 긍정적인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entral contents and tendency of the pedagogy examination for secondary-school teacher’s employment(2014~2018), to confirm the degree of agreement with preliminary teacher education standard and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curriculum. Method: The main research methodologies used in this study are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The text mining methodology was used for morpheme analysis, key word extraction, frequency search, and 1 mode matrix generation.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was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language network(density, degree, centrality, etc.). Results: First, in this study, the key words (top 20 most frequently) in the annual pedagogy examination for secondary-school teachers employment from year 2014 to 2018 are curriculum, education evaluation, educational methodology and educational technology, educational psychology, guidance and counseling. Especially, many key words seem to be core competencies that teachers should perform at school, such as class, evaluation, curriculum, motivation, and subject. Second, from the 2014 to the 2018 academic year, the semantic network characteristics of the top 30 frequency words in the entire pedagogy examination showed that the activity among the key words is high and the convergence between various key words is being performed. The most central, closest, and highly mediating key words in the pedagogy examination for secondary-school teachers employment were students, classes, teachers, and interests. Conclusion & Suggestions: In this study, the content analysis of the national pedagogy examination for secondary-school teacher’s employment was conducted objectively and profound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meaningful and positive data for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education methods of the secondary-school teachers training.

      • KCI등재

        학교현장실습을 통한 예비 특수교사의 교직 적성 및 인성 변화 탐색

        권충훈 ( Kwon Choong Hoon ),이형하 ( Lee Hyoung Ha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3

        본 연구는 2013학년도부터 모든 교원양성기관에 적용되고 있는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와 관련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현장실습 경험이 예비 특수교사들의 교직 및 인성 검사결과에 어떤 변화를 주는지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G광역시 소재 K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31명, 중등특수교육과 22명(총 53명) 대상으로 학교현장실습 이전과 이후에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를 실시하여 하위 영역별 검사 결과를 비교한 조사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예비 특수교사들의 교직 적성 및 인성검사 결과는 학교현장실습 이전과 이후에 5개 하위 영역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3개 하위 영역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둘째, 학교현장실습 기관유형(특수학교, 특수학급)에 따른 예비 특수교사들의 교직 적성 및 인성의 변화는 특수학교에서 더 많은 영역에서, 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셋째, 지도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교직 적성 및 인성 변화의 차이는 교육경력 11년 이상에서 더 많은 영역에서, 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현장실습 기관의 소재지에 따른 교직 적성 및 인성의 변화는 광역시 소재 특수교육기관에서 실습한 예비 특수교사들이 더 많은 영역에서, 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s influenced pre-service special teachers’ teaching aptitudes & personalities. Based on the pre- and post- test scores of the teaching aptitudes & personaliti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53 pre-service special teachers(31 student of dept. of elementary special edu. and 22 student of dept. of secondary special edu.) at K university in G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emerged and discussed from the pre-service special teachers’ changes of the teaching aptitudes & personalities. First, the pre -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at 5 categories, negative changes at 3 categories of the teaching aptitudes & personalities. Second,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 institutional types(special schools, special classes) for teaching practicum, the change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aptitudes & personalities happened on the factors of special schools much more and variously. Third,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 educational career of a guidance teacher(below ten years and more than ten years), happened on the group of the more than ten years much more and variously. Fourth,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 location of institutions for teaching practicum, the changes of teaching aptitudes & personalities happened to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much more and variously who practiced in metropolitan city.

      • KCI등재

        장애인의 장애수용정도와 삶의 만족 간의 인과적 관계 분석 : 스트레스와 여가사회생활참여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충훈 ( Kwon Choong-hoon ),이형하 ( Lee Hyoung-ha ),김정오 ( Kim Jeong-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4

        본 연구는 장애인고용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020) 5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애인의 장애수용정도와 삶의 만족 사이에서 스트레스와 여가사회활동참여 변수가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장애인의 장애수용은 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여가사회활동참여와 삶의 만족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의 스트레스와 여가사회활동참여는 장애수용과 삶의 만족 사이에서 다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삶의 만족 사이에 세가지 매개변인(스트레스, 여가사회활동참여, 스트레스+여가사회활동참여) 중에 여가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외부세계와의 소통기회, 자아실현, 역량강화, 새로운 인간관계 형성 등을 위해 필요한 여가사회활동 참여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variables of stress and participation in leisure social activities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degree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using the 5th data of the Panel Survey for the Disabled (20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isability acceptance of the disabled had a negative (-) effect on stress, but a positive (+) effect on participation in leisure social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stress of the disabled and participation in leisure social activities showed multiple mediating effects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life satisfaction. Third, it was analyzed that among the three parameters (stress, participation in leisure social activities, stress + participation in leisure social activities)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the medi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in leisure social activities was significantly greater.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t suggests that an active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disabled to participate in leisure social activities necessary for communication opportunities with the outside world, self-realization, empowerment, and formation of new human relationships.

      • KCI등재후보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정책 고찰과 「학교폭력예방의 이론과 실제」 교과목 교재 내용 분석

        권충훈 ( Kwon Choong Ho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5

        최근 우리나라 학교현장에서 가장 많이 논의되고 또한 강조되고 있는 주제는 `학교폭력예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정책들을 전체적으로 검토하고, 「학교폭력예방의 이론과 실제」 교과목의 교재 내용을 분석하여 보완 집필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첫째, 최근 우리나라의 학교폭력예방 관련 정책 및 계획 등의 내용들을 조망감 있게 정리 제시하는 것이다. 둘째, 「학교폭력예방의 이론과 실제」 교직 교과목의 교재내용을 확인 및 분석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셋째, 「학교폭력예방의 이론과 실제」 교직 교과목의 교재내용 분석 결과에 기초한 향후 교재 내용 보완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2004년 관련 법령 이후 우리나라의 1차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5개년 기본계획, 2012년 학교폭력근절대책, 2013년 현장중심 학교폭력대책의 시대적 흐름과 그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둘째, 2013년 이후 출판 보급된 16권의 「학교폭력 예방의 이론과 실제」 교재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셋째, 향후 교재 내용 보완 방향으로 교과목 교수요목의 구체성 보완, 학교폭력예방 영역 내용 보완, 학교현장 교원들의 집필진 확대 참여 등을 제안하였다. Recently, the most discussed problem at school field is `school violence`. School violence in Korea is a serious social problems. School violence is frequency has increased from the late 20th century. These days, equipment active involvement of the national unit, and governments is needed.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 First, it is to analyze the nation`s policies & plans for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Second, it is to analyze the textbook contents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extbook writing for 「Prevention & Counterplan of School Violence」. So the study problem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identify the enactment & changes of the nation`s policies & plans for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Second, it is to review the trends of the textbook contents on 「Prevention & Counterplan of School Violence」. Third, it is to suggest the supplement of textbook writing for 「Prevention & Counterplan of School Violence」. In this study, was analyzed the nation`s policies & plans for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form 2004 to 2013. The researcher collected 16 textbook published in Korea from 2013 to 2016.

      • KCI등재

        핀란드 교육의 성공 요인 분석과 논의

        권충훈(Kwon,Choong-Hoon),김훈희(Kim,Hun-Hee)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9 敎育思想硏究 Vol.23 No.3

        본 연구는 최근 세계적으로 교육성공 국가로 인정받고 있는 핀란드 교육성공의 배경이 되는 원인들을 철학적으로 분석하여 그것들의 가치를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핀란드는 PISA에서 시행한 평가에서 3회(2000,2003,2006년)에 걸쳐 변함없이 읽기,수학,과학에서 세계 최고의 성과를 올렸다.이에 대한 원인을 탐색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다각적인 시각에서 진행되었다.따라서 본 연구는 핀란드 교육성공 원인을 분석한 연구들의 결과로 제시된 다양한 원인들 중 공통된 요인을 추출하여,핀란드 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끈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핀란드 교육의 성공 요인을 분석 및 논의한 결과,핀란드의 교육이념은 통합교육에서,교육제도는 종합학교 개혁에서,교육과정은 자율성과 책무성의 극대화에서 학생지원은 학교복지의 수혜자 관점에서,교원교육과 교직관은 전문성과 자율성의 보장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of educational success in Finland philosophically and to identify these values.Finland is winning a world recognition as a successful nation in education recently.Because Finland unchangingly got the highest grades of reading,mathematics,and science of PISA over three times(2000,2003,2006).To inquiry the causes of this,many researches were done from a viewpoint of many-sides around the world.So,this study was to draw out the common factors from various causes as a result of what product educational success in Finland and to discuss the meaning of that. In the result of this study,the successful education in Finland has asignificance in the viewpoint ofintegrated education to educational idea ls,comprehensive school to educational system,maximization of anatomy and accountability to curriculum, beneficiary of school we lf are to student support,and professionalism and autonomy to teacher’seducation.We will make these of good model for our public education.

      • KCI등재

        ‘교직실무’ 교재내용 분석 및 교재 집필 방향

        권충훈(Choong-Hoon Kwon),조흥순(Heung-Soon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9

        최근 국가의 교원자격검정령이 수정되었다. 교직실무 교과목은 교직소양 영역에서 신설되어 2009학년도 입학자부터 필수로 이수하도록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직실무 교과목의 주요 교재들의 교재내용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교직실무 교재의 집필 방향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에 기초하여 제시한 연구문제는 첫째, 최근 교직교과목의 변화와 일반적인 교재내용 선정 원리를 확인한다. 둘째, 교직실무 교재들의 저자 및 내용체계를 분석하여 경향을 파악한다. 셋째, 교직실무 교재 집필의 방향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출판 발간된 15종의 교직실무 관련 교재들을 분석하였다. 교재분석은 저자 수, 저자의 현(전)직 소속, 장 주제의 체계 등을 정리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직실무 교과목의 교재 집필의 방향으로서 국가의 관련 고시 기준의 수정 및 정비, 교육현장의 요구분석 작업 선행, 교직실무 교과목의 정체성 확보, 교육학계와 교육현장 전문가 공동 집필 등을 제안하고 있다. Recently, the criterion of teachers’ qualification has been changed in Korea. ‘Teaching Practice’ was included new subject in the teaching training system since 200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extbook contents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textbook writing for ‘teaching practice’. So the study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 First, it is to identify the changes of the teacher training system and the principles of collection on textbook materials. Second, it is to review the trends of the authors’ character and the textbook contents on ‘Teaching practice’. Finally, it is to proposal the direction of textbook writing for ‘teaching practice’.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s collected 15 textbook published in Korea from 2009 to 2011.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esearchers to present the authors’ number, authors’ position, the system of chapter topics on the textbook. Based on these finding, the proposition of the textbook writing were present as follows: First, to change the criterion of national documents. Second, to collect the needs on the school fields widely. Third, to grasp the unique identity of subject that is isolated from the previous subjects, Fourth, it is to promote the joint writing form which is include professors and experts in the school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