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관령 지역 경제림에 대한 내풍 안정성 분석 및 임업적 적용

        마니람목탄 ( Mani Ram Moktan ),권진오 ( Ji No Kwon ),임주훈 ( Joo Hoon Lim ),신문현 ( Moon Hyun Shin ),박찬우 ( Chan Woo Park ),배상원 ( Sang Won Bae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5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대관령 특수조림지에 식재된 주요 경제수종인 잣나무, 전나무, 일본잎갈나무의 내풍 안정성을 비교 분석하여 조림지의 풍해관리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이고자 수행되었다. 각 수종별로 5개씩 총 15개의 임시 방형구(20m × 20 m)를 설치하였으며, 흉고직경 10cm 이상의 수목에 대하여 수고 및 흉고직경을 측정하였다. 수종별 수고/흉고직경 비율(h/d 비율)을 분석한 결과 잣나무와 전나무가 일본잎갈나무에 비해 비교적 낮은 h/d 비율을 나타내어 내풍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인다. 약 9%의 일본잎갈나무가 내풍 임계치(80) 이상의 h/d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들 수목들은 풍해에 매우 취약하여 다음간벌 기간 동안 제거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분산분석 결과 수종별 h/d 비율과 흉고직경의 지니계수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종별 흉고직경의 지니계수는 전나무 16.4%, 잣나무 14%, 일본잎갈나무14%로 나타났다. 낮은 h/d 비율은 수종별 형태학적 차이와 간벌 시업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목의 내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h/d 비율이 80 이상인 수목에 대한 하층간벌이 초기 혹은 임분 분화기(stand distinction phase)에 집중되어야 한다. 산림관리자와 시업자는 수목의 h/d 비율을 측정하고 임분 밀도를 관리하여 비율을 내풍 임계치인 80 이하 수준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동령림에서 수목의 흉고직경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h/d 비율이 높은 수목에 대한 택벌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compares the wind stability of Larix kaempferi (Lamb.) Carr., Pinus koraiensis Sie. & Zucc. and Abies holophylla Maxim. to understand and inform wind risk management of these plantation trees at Daegwallyeong, Korea. Temporary square plots of 20 m × 20 m (400 m2) were laid out, and DBH (Diameter at Breast Height) and height for trees greater than 10 cm in DBH were measured by species. A total of 15 plots with 5 plots each in L. kaempferi, P. koraiensis and A. holophylla stands were sampled at random. Among the species, A. holophylla and P. koraiensis have comparatively lower h/d (Height/DBH) ratios than L. kaempferi.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ormer two species are more wind firm than the latter species. About 9% of the L. kaempferi trees have higher h/d ratios than the critical threshold limit 80. These trees are vulnerable to wind damage and should be removed in the next thinning regime. The analysis of variance detected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in the h/d ratios and Gini coefficient indicating species differences and DBH size variation, respectively. Gini coefficient was 16.4% in A. holophylla, 15.9% in P. koraiensis and 14% in L. kaempferi stands indicating limited DBH size variation. Lower h/d ratios are attributed to thinning in these stands and tree morphological differences. To increase wind firmness, low thinning should concentrate to remove trees with the h/d ratio above 80 coinciding at the time of stand distinction phase. Forest managers and practitioners should measure and maintain h/d ratios of trees below the critical threshold limit of 80 through stand density management. Variable density thinning approach should be tested to increase tree DBH sizes of the even-aged stands.

      • KCI등재

        경관과 도로침입 방어막이 범서식지 포유류종의 도로 횡단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변예슬 ( Ye-seul Byun ),권진오 ( Ji-no Kwon ),김정환 ( Jeong-hwan Kim ),신문현 ( Moon-hyun Shin ),이상돈 ( Sang-don Lee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6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로드킬 GIS 데이터와 네이버 거리뷰를 이용하여 토지피복과 도로침입 방어막이 포유류 로드킬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고 야생동물의 도로 횡단을 가능하게 하는 이웃 경관과 도로 변수 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야행성이며 다중 서식지를 이용하는 일반종인 고라니, 너구리, 멧토끼의 로드킬은 섭식, 번식을 위해 선호하는 서식지를 중심으로 영동과 중부 고속도로 인근 나지, 초지, 습지에서 다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통된 지 오래된 노선인 영동에서는 종 간 토지피복의 차이가 없던 것(p=0.165)으로, 신규 개통 후 지속적인 연장공사가 이루어졌던 중부는 차이가 유의했던 것(p=0.001)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산악지대인 영동선과 도심화 지대인 중부선 간 경관 유형의 차이 혹은 개통일과 야생동물의 주변 서식지 적응도 및 연장공사 빈도수의 차이에서 비롯된 결과로 추정된다. 야생동물 도로 횡단 방지 효과가 미미하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난 펜스 및 가드레 일과 달리, 절ㆍ성토면의 방지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도움닫기를 위한 경사면으로 연출될 경우 병치된 펜스효과를 상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차로 인근에서 고속도로와 병치되는 국도 혹은 지방도의 경우 펜스 및 성토면이 부재한 사례가 많아 로드킬 발생의 취약 지점으로 나타나며, 특히 교차로의 초지 패치는 고속도로 양 옆 경관 패치와 이어지는 시각적 징검다리 역할을 함으로써 도로를 건너려는 동물들에게 시각적 은폐기능을 제공하고, 이는 교차로 인근에서의 높은 로드킬 발생율로 설명되어진다. This study examined spatial disposition of wildlife highway mortality using road-kill GIS database and Naver panoramic 360 degree views to find out which habitat and road variables most influenced road-kill numbers for each mammal species and how the landscape and road elements are connected on highway. Road-kills on Yeongdong(YD) and Jungbu highway(JB) generally tended to be higher in natural barren, grassland and cropland due to its value of preferred habitats of nocturnal and multihabitat species like water deer(Hydropotes inermis argyropus), raccoon(Nyctereutes procyonoides) and hare(Lepus coreanus). Land cover in YD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species (p=0.165) while JB did by species (p=0.001). This may be explained by disparate landscape between mountain and urban or the fact that YD in long term operation might have enabled consistent crossing pattern compared to JB experiencing continuous extension works which may in turn have deviated the road crossing. Although road-kill prevention effect of local topography alone was appreciable, compared to less significant or ineffective fence and guardrail, gentle slope declining in a direction to the road turned out to offset the preventive effect of juxtaposed fence. Furthermore, green patches on road near intersection were deemed a visual stepping stone facilitating wildlife attempted crossing and local roads juxtaposed with a highway were especially left defenceless to road-kill without road barriers.

      • KCI등재

        제주도 난대림에서 노루 뿔의 성장과정에 의한 어린나무 박피에 관한 연구

        김은미 ( Eun Mi Kim ),박영규 ( Young Kyu Park ),권진오 ( Jin No Kwon ),김지은 ( Ji Eun Kim ),강창완 ( Chang Wan Kang ),이치봉 ( Chi Bong Lee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2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4 No.4

        Peeling damage of trees is usually caused by Cervidae such as deer, roe deer because of the lack of food in forests. However, it happens as part of the developing of antlers in Jeju Island when the roe deer try to remove the Velvet-the skin of the antlers. The research area is the Hannam experimental forest (400 m up to 500 m above sea level) of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in Jeju Island, and the survey was carried out along the 6 km long of forest road with 5 m width on both sides. Twenty five tree species (total 267 stands) are damaged by peeling; 18 (134 stands) deciduous broad-leaved species, 5 (71 stands) in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2 (62 stands) coniferous species. The most common damaged species are in order of Daphniphyllum macropodum, Cryptomeria japonica, Lindera erythrocarpa, Clerodendrum trichotomum, Zanthoxylum schinifolium. Mainly damaged trees are approximately 3~4 years old saplings, and they show the mean height 120.7±42.4 cm, diameter measured at 5 cm height 1.5±0.5 cm. The Lowest peeling beginning height is 22.1±10.1 cm, and the mean length of peeling is 27.5±10.6 cm. Once the peeling damage happens, the saplings are infected by fungi secondly, and are distorted or dead, therefore the future structure of warm-temperate forests could be in influenced in species. Warm-temperate forest landscape and species change related to the climate change is a rising issue in Jeju Island. However the changes caused by peeling damage also could be an important issue in the natural process of forest environment, afforestation, local nursery and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of Jeju Is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