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특수학급 학생의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협력교수 방안에 관한 연구
권주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001 발달장애연구 Vol.5 No.1
This study is to inquiry for collaborative tcaching methcxIs betwee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 and the spccial education teacher to include special classroom contained students atgeneral classroom. The crilical issues of this study is compose to (1) the relationshipbetwecn full inclusion and collaborative teaching, (2)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between general education teache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3) and the collaboration methods to help a instruction of special studcnts at the general classroom.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followed.First, It should be emphasis the collaboration teaching to promote full inclusion forspecial classroom ctuldren at the gcncral classroom. It should be concemed on the interaction among trait, task, and teacher. This means to consider the curricula, the children,Second, It should be direction the satisfaction degree of special educational needs studcnt, but the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al needs student. The paradigm of the full inclusionshould be change to Ihe paradigm according to dcgree of inclusion from the paradigm as aplacement of special childrcn.Third, It should be design the systcms to lessen the prejudicc between gencral educationteache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it should be change the each teachers' roles,general education teacher to teach general studen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to teachhandicapped children. All teacher should be teach all studcnt.Fourth, It should be study for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special children. Toteach special students at the general classroom is the besl for all. But It should be considerthe situation, condition, and children trail of the effective teaching melhods for the specialchildren. 본 연구는 특수학급에 배치된 학생을 일반학급에 통합시켜 지도하기 위해서 일반교육 교사와 특수교육 교사가 협력하여 지도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통합교육과 협력교수에 관한 문헌을 분석하는 문헌연구로써 비교적 통합교육과 협력교수가 용이한 특수학급으로 제한하였다. 또한, 통합교육과 협력교수는 타교장의 지도성과 교사의 의지에 의하여 그의 성패가 결정된다고 보기 때문에, 단위학교에서 이뤄건야 하는 활동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내용은 장애학생에 대한 통합교육의 연구 방향과 협력교수의 관계, 일반교육 교사와 특수교육 교사의 협력교수 성격, 그리고 특수학급 학생의 학습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협력교수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장애학생에 대한 통합교육의 방향을 협력교수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일반교육 교사와 특수교육 교사의 협력교수는 협력교수의 기본적인 성격과 구조 그리고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협력교수를 저해하는 요인을 밝히고, 그러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권주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003 발달장애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cepted degree of social sexuality for mental retarded adolescences. The research issues were to inquire the difference on the accepted degree of social sexuality between mental retarded adolescences and general adolescences, the difference on the accepted degree of social sexuality according to living spheres of mental retarded adolescences, and the difference on the accepted degree of social sexuality according to chronologic age of mental retarded adolescen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2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224 general students and 158 mental retarded students.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was revised on the questionnaire by Wishet al, McCabe, Oliver et al, and Lunsky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ampared to general adolescent, the accepted degrees of social sexuality for mental retardation were relatively low. 2. It presented the difference on the accepted degree of social sexuality according to living sphere of mental retardation. 3. It didn't presented the difference on the accepted degree of social sexuality according to chronologic age of mental retardation. In conclusion, sexual education for mental retardation made deliberately through schooling, Contents of sexual education for mental retardation did not choose from the adults' norms of their community but peer norms of mental retarded adolescent, and social viewpoints than biological.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 청소년의 사회적 성행위 수용정도를 밝히려는데 있다. 이 연구문제는 정신지체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사회적 성행위 수용정도의 차이를 밝히는 것과 정신지체 청소년의 생활권역에 따른 사회적 성행위 수용도의 차이를 밝히는 것, 그리고 그들의 생활연령에 따른 사회적 성행위 수용정도의 차이를 밝히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382명으로 정신지체 청소년 158명과 일반 청소년 224명이다. 본 연구의 질문지는 Wish 등, McCabe, Oliver 등, 그리고 Lunsky가 사용한 질문지 등 4종류를 수정하여 사용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청소년과 비교해서 정신지체 청소년의 사회적 성행위 수용정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정신지체 청소년의 생활권에 따른 사회적 성행위 수용정도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정신지체 청소년의 생활연령에 따른 사회적 성행위 수용정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정신지체 청소년의 성교육은 의도적인 학교교육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성교육의 내용은 지역사회 동료가 수용하는 사회적 성행위를 토대로 구성되어야 하고, 성에 대한 사회적 기준을 잘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권주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004 발달장애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협력교수가 어느 정도 수준에서 실행되고 있는 지를 밝히려는데 있다. 연구문제는 특수교육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협력교수의 실행수준을 밝히고, 교사가 소속된 생활권역 및 지역별 그리고 자격증 별 차이를 밝히려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교사는 의사소통이나 행동관리는 협력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교육과정이나 수업방법에 대한 협력은 낮은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수도권과 지방의 교사를 비교한 결과, 수도권의 교사가 높은 수준에서 협력교수가 이루지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자격증별에 따라 비교할 때, 특수교육 교사가 평가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지속적인 연수과정이 필요하며, 지방의 특색을 살릴 수 있는 교육여견의 조성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the co-teaching level for the inclusive classroom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issues were to inquire co-teaching level cogniz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difference on the co-teaching level of inclusive classroom from teachers'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gnized high of communication and behavior control for co-teaching, but low level of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for co-teaching at the inclusive classroom. To compare urban areas teachers with local areas teacher.The urban areas teachers cognized high level of co-teaching at the inclusive classroom, but the rural areas teachers cognized low level co-teaching at the inclusive classroom. To compare to t he kind of teachers cerification, the teachers with special education certification cognized low level of co-teaching at the inclusive classroom. In conclusion, It is for efficient implicate to co-teaching that need to inservice training among the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makin educational condition for local educational issues.
권주석,유민행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1997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Vol.21 No.1
선박 회사가 선박을 건조함에 있어 회사의 영업목적에 맞는 건조 사양서를 작성하고, 안전 운항을 확보할수 있고 보수 유지가 용이하며 운항 목적에 부합되는 선박을 갖고자 할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좋은 배란 경제적인 측면, 안전성, 성능, 거주성, 환경측면 등을 고려하여 선주 측에서 본 좋은 배와 조선소측에서 본 좋은 배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즉 사용자측과 제조자측과의 입장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좋은 배를 만들기 위하여 선주나 조선소 다 같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선주 입장을 대변하는 부서인 당사 신조기술부를 소개하고 초대형 콘테이너선에서 발생하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조선소와 함께 해결하게된 배경을 소개하고자 한다.
「발달장애인 권리 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한 장애학생 부모의 수용태도 및 인식 분석
권주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016 발달장애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rvey and analyze how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ake and perceive the recently in effect act on support and guarantee of righ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subjects were the parents reside in the Gwangju and Jeonnam area. 185 survey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4.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had high level of understanding and expectation for the act, but they showed low level of acceptance for the national policies regard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acceptance of people without disability. The parents think highly of guarantee of self-determination and right in judicial and criminal proceeding and think lowly of exclusive prosecutor and judicial police officer system, measure to prevent crime targete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elfare service appliance and penalty system. The parents experienced cases of physical abuse, neglection, bullying and sexual abuse in this order. The parents request welfare services in the order of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 support, employment and vocational training, care and support and early diagnosis support. The parents seek aid in the order of developmental disability support center, community service center, school and education office. In conclusion this research discuss and suggest amendments regarding act on support and guarantee of righ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발달장애인지원법’)이 시행되면서 장애학생 부모의 수용태도 및 인식이 어떠한 지에 대하여 조사ㆍ분석되었다. 연구대상은 광주ㆍ전남지역의 장애학생 부모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185개의 질문지는 spss win 24에 의하여 통계 처리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장애학생 부모의 발달장애인지원법의 수용태도는 발달장애인지원법의 우선 적용과 발달장애인지원법에 대한 이해와 기대는 높은 수용태도를 나타냈으나, 발달장애인에 대한 국가정책과 비장애인의 태도에 대해서는 낮은 수용태도를 나타내었다. 장애학생 부모의 발달장애인지원법에 대한 인식은 법에 나타난 자기결정권의 보장과 형사ㆍ사법 절차의 권리보장 등은 높게 인식하는 문항이었다. 발달장애인지원법의 전담검사 및 사법경찰관제도, 발달장애인 대상 범죄 예방 조치, 복지서비스 신청제도, 벌칙, 양벌규정 등의 적정성 등은 낮게 인식하는 문항이었다. 장애학생 부모가 경험한 피해 사례는 장애학생에게 신체폭력 및 유기, 집단따돌림, 그리고 성폭력 순이었으며, 장애학생 부모가 요구하는 복지 서비스는 재활 및 발달지원, 고용ㆍ직업훈련, 돌봄 및 휴식지원, 그리고 조기진단 순이었다. 그리고 장애학생 부모가 주로 찾는 기관은 발달장애지원센터, 읍면동사무소, 학교 및 교육청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 부모의 발달장애인지원법 수용태도 및 인식에 근거해 발달장애인지원법의 시행 초기부터 바로 잡아야 할 점에 대하여 논의하고 제안하였다.
대화상대자의 의사소통 중재와 중도 지적장애유아의 반응과의 관계
권주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014 발달장애연구 Vol.18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intervention of conversation partners and the response of preschool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The subjects were 132 pre-school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To collect the data, the researchers pre-instructed the subjects’ parents who were answered the questionnaire about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ir children on the last meal after observing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ir children for 3 days. The data was analyzed to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communication interventions of conversation partners for the preschool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different for children’s sex, age, disability pattern, and degree of disability. Second, the response of pre-school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y for th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f conversation partners was different for children’s sex, age, disability pattern, and degree of disabilitie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intervention of conversation partners and the response of preschool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was very close. In conclusion, the children’s sex, age, disability pattern, and degree of disabilities should be considered to choose suitable interventional strategy for next development of their communication 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대화상대자의 의사소통 중재와 지적장애유아의 반응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자가 실시한 장애유아의 의사소통 지도방법에 대한 사전교육을 받은 어머니가 대화 상대자와 장애유아의 행동을 3일간 관찰한 후, 대화상대자의 의사소통 중재와 장애유아의 반응행동을 질문지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일원변량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에 의하여 처리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화상대자는 남자 장애유아에게 언어적 촉구에 의한 중재를 더 많이 사용하였고, 중재에 대한 반응은 남자 장애유아는 지연 반응을, 여자 장애유아는 부분 반응을 더 나타내었다. 연령에 따른 대화상대자의 중재도 6세 이상의 장애유아에게 언어적 촉구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중재에 대한 즉각 반응은 6세 이상의 장애유아, 지연 반응은 4세부터 6세까지의 장애유아, 그리고 부분 반응은 4세미만의 장애유아가 더 많이 나타내었다. 신체적 촉구는 지적장애유아에게, 몸짓 촉구와 언어적 촉구는 발달지체와 중복장애유아에게 더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장애정도에 따라서는 신체적 촉구는 1급이나 2급 장애유아, 몸짓 촉구나 언어적 촉구는 2급이나 3급 장애유아에게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도 지적장애유아에 대한 대화상대자의 중재는 장애유아의 성별, 연령, 장애정도, 그리고 장애유형 등을 고려하여 그에 적절한 중재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었다.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이 지적장애아동의 표현 언어기술에 미치는 효과
권주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015 발달장애연구 Vol.19 No.1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on expressive language skill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alteration of verbal expressive language and usage of expressive language in the appropriate contex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se communication functions were analyzed. For the interventional programs hospital play, shopping play and birthday play were chosen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munication functions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was effective on the verbal expressive languag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the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was effective on the children to express the suitable contexts using verbal expression. Third, the effect of intervention programs was varied depending on the abilities of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discussing correlation between disabilities degree or languages character of subjects and effectiveness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and the varied effect of interventional programs depending formal experience and familiarity of the subjects.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이 지적장애아동의 표현 언어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려는 것으로 지적장애아동의 구어적 표현 언어의 변화, 그리고 표현 언어의 맥락 적절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3명의 지적장애아동이다. 이들의 의사소통 기능 분석 결과에 따라 구성된 중재 프로그램은 병원놀이, 가게놀이 그리고 생일잔치 프로그램이었다. 중재 프로그램은 직접교수법을 적용한 안내하기, 시범보이기, 활용하기 절차에 따라 지도하였다. 중재효과는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에 의하여 처리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이 지적장애아동의 구어적 표현에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둘째,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은 지적장애아동이 언어적 맥락에 적절하게 표현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연구대상자의 장애정도와 언어적 특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과 지적장애아동의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경험, 친숙성 그리고 성취기준에 따라 다른 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