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학생운동선수와 일반학생의 일상생활경험 비교

        이만석(ManSeokLee),신형교(HyeongKyoShin),이한주(HanJ.Lee),권자연(JaYounKwon)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운동선수와 일반학생의 일상생활경험을 조사하는 것이다. 한국대학교(가명) 체육학과학생 78명(학생운동선수 42명, 일반학생 3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경험표집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빈도분석, 교차분석, 단일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운동선수와 일반학생의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주요 활동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생운동선수는 여가활동, 생활유지, 운동, 학업활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반학생은 생활유지활동, 여가활동, 학업활동, 운동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운동선수와 일반학생의 일상생활 활동 중 활동 공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생운동선수는 생활유지 공간, 학교, 공공장소, 운동관련 공간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반학생은 학교, 생활유지 공간, 공공장소, 운동관련 공간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운동선수와 일반학생의 일상생활 중에 경험하는 내적 심리상태는 주요 활동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 공간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llege student athletes’ and non-athletes' daily time use patterns. Research question was how student athletes’ time is distributed across different activity contexts? Seventy eight undergraduate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large urban are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ample consisted of 42 student athletes and 36 non-athle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utin. Time use patterns were measured using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ESM). Participants carried a small booklet of self-report forms and completed self-report forms when signaled over the course of one week. The ESM self-reported form contained open-ended questions, such as “What were you doing just before you were signaled?” Responses to this question were categorized into five broad categories of activities: schoolwork (i.e., classwork, homework), discretionary activities (i.e., socializing, leisure), maintenance activities (i.e., eating, resting), sport activities (drill or practice related to sport), and other activitie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tudent athletes spent 43.1% in discretionary activities, 32% in maintenance activities, 16.3% in sport, 4.5% of their waking hours in schoolwork, and 4.1% in other activities. Non-athlete student spent 33.2% in maintenance activities, 26.1% in discretionary activities, 24.7% in schoolwork, 9.8% in other activities, and 6.2% in sport. Both student athletes and non-athletes experienced more positive affect and motivation during discretionary activities, whereas more negative emotional states during schoolwork. Findings suggested that differences in student athletes’ and non-athletes’ daily life activity experience might lead to difference in socialization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