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불안과 진로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식

        박재국 ( Jae Kook Park ),김은라 ( Eun Ra Kim ),권언남 ( Un Nam Gu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전환기에 있는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불안과 진로자기효능감 수준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대학생 107명과 비장애대학생 107명, 총 214명을 대상으로 불안과 진로자기효능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연구문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한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불안 수준은 평균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간 불안수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가장 높은 수준의 불안 유형은 장애대학생의 경우 이성문제와 가족관계, 자신에 대한 느낌으로, 비장애대학생의 경우 가족관계와 진로인식, 사회적 유능감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은 평균보다 다소 높았으며, 두 집단 간 진로자기효능감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한편 진로자기효능감은 장애대학생의 학년, 장애유형, 일상생활수행정도, 자격증 유무에 따라, 비장애대학생은 학년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대학생의 행복한 성인기 삶을 위한 준비를 위하여 대학에서부터 개별맞춤식 생활 상담 및 가족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하므로 이에 대한 실제적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recognition on anxiety and career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o these ends, 214 subjects who attended in the university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recognition on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was on averag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the factors of anxiety such as social efficacy, home relationship, opposite sex, and choosing a career path. In regard to the dominant types of anxiety, while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nxious for the opposite sex, home relationship, and myself,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ere anxious for the home relationship, choosing a career path, and social efficacy. Second, the level of recognition on career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was more or less higher than the average. As we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career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s we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such as garde, type of disabilities, level of daily activities, and status of licenses for the career. Based on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it needs to develop the individualized consulting system and the supports for the family to reduce the level of anxiety and improve the level of career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