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집형 마늘 수확기 무안지역 적응성 향상 연구

        문석표 ( Seok-pyo Moon ),우제근 ( Jae Keun Woo ),최일수 ( Il Soo Choi ),권승귀 ( Seung Gwi Kwon ),남영조 ( Young Jo Nam ),김완수 ( Wan-soo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마늘의 기계 수확 중 발생한 손상(멍, 찍힘 등) 마늘은 저장 중 미손상 마늘에 비해 병, 세균 감염 등으로 인해 품질 저하가 발생하며, 이는 소득 감소로 이어진다. 본 연구는 마늘의 기계 수확 시 이송-적재부 이동 시, 낙차에 의해 발생하는 수확 마늘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수집형 마늘 수확기 수납부의 제어는 적재 무게가 적을 때 이송-적재부가 수평이 되고, 적재 무게가 많을 때 이송-적재부가 수직으로 되어 낙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수납부제어를 위해 전자 제어 방법이 채택되었으며, 제어 시스템은 동력부(엔진), 유압 발생부(펌프 등), 작동부(실린더 등), 계측부(센서 등), 제어부(MCU 등)로 구성된다. 수집형 마늘 수확기의 수납부 제어 원리는 실린더의 출력부에 유압 센서를 부착, 수확 마늘의 증량으로 유압이 발생함에 따라, 제어부의 유량제어를 통해 발생한 유압동력을 실린더에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제어부는 PI 제어기, PWM제어, 유압 실린더의 운동방정식을 통한 폐루프(Close-loop) 제어 방법을 개발하였다. 제어기는 수집형 마늘 수확기의 작업 중 제어 정밀도가 요구되나, 신속한 제어가 요구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어 PI 제어기를 선정하였으며, 제어기 설계를 위한 수납부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향후 설계한 제어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과 개발한 알고리즘을 통해 제어기를 설계하고, 요인 시험을 통해 검증 및 고도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실제 작업기에 부착, 기계 수확 시 이송-적재부 간 마늘 손상 최소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작업 조건에 따른 45 kW급 마늘 수집기의 부하 분석

        도영우 ( Young-woo Do ),문석표 ( Seok-pyo Moon ),권승귀 ( Seung-gwi Kwon ),남영조 ( Young-jo Nam ),김완수 ( Wan-soo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최근 밭작물 기계 개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마늘 수확 작업의 기계화율은 43.8%에 머물고 있어 마늘 수확 기계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국내 일부 제조사에서는 마늘 수집기를 개발하여 상용화하였으나, 기존에 개발된 마늘 수집기는 경험적인 방법에 의해 설계되어 동력 최적화 및 최적 설계를 위한 기초 데이터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마늘 수집기의 최적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마늘 수집기의 작업 부하를 계측 및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45 kW급 마늘 자주식 수집기를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수집기는 마늘을 수집하는 수집부,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송부, 크롤러 형태의 주행부로 구성된다. 필드 실험은 아스팔트와 토양 조건에서 수행되었으며, 토양에서는 굴취 깊이를 3수준(8.5, 10, 13 cm)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늘 수집기 부하계측시스템은 크롤러의 스프로킷 토크 측정용 토크센서, 스프로킷 회전속도 측정용 엔코더, 주행속도 측정용 GPS, 데이터 수집용 계측기로 구성되었다. 필드 실험 결과, 아스팔트 조건에서 수집기의 좌우 스프로킷의 평균 토크값은 431 Nm로 나타났다. 수집작업시 굴취깊이가 8.5cm, 10, 13 cm에서 각각 평균 토크값은 710, 775, 780 Nm로 나타났다. 이는, 아스팔트 노면조건에서의 단순주행 대비 약 65~81% 높은 수치이다. 또한, 굴취 깊이별 우측 스프로킷의 평균 토크값은 각 경심(8.5, 10, 13 cm)에서 좌측 대비 각각 35, 71, 56%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수집기 플랫폼의 엔진, 운전석 등 주요 부품의 무게 배분 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플랫폼 동력분배 개선 및 최적 설계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주행속도에 따른 자주식 마늘 수집기의 소요동력 분석

        민이서 ( Yee-seo Min ),이상희 ( Sang-hee Lee ),남영조 ( Young-jo Nam ),권승귀 ( Seung-gwi Kwon ),김완수 ( Wan-soo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국내 농업 인구 고령화로 인하여 농촌 노동력 부족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특히, 인력 요구가 큰 마늘 수확 작업의 기계화율이 43.8%로 낮아, 현장에 적합한 마늘 수집기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자주식 마늘 수집기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작업조건별 마늘 수집기의 소요동력 분석을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자주식 마늘 수집기는 중량 3,170kg, 엔진 정격출력 44 kW 이며. 변속기는 HST이다. 수집기는 궤도형 주행부, 토양에 삽입되어 작물을 굴취하는 수집부, 굴취된 작물을 톤백이 장착된 기체 후방으로 운송하는 이송부로 구성된다. 수집기 소요동력 계측시스템은 주행부 토크 및 회전속도, 이송부 및 수확부 유량 및 압력, 주행부 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수집기의 주행부 소요동력은 토크 및 회전속도를 통하여 계산하였고, 이송부 및 수확부의 유압동력은 유량 및 압력을 통해 계산하였다. 수집기 작업 중 실험조건은 수집부 회전속도 45 rpm, 이송부 회전속도 75 rpm, 굴취 깊이 10 cm로 선정하였다. 각 작업부의 작업조건별 소요동력 분석을 위해, 토양 노면 조건에서 주행속도 3수준(0.05, 0.15, 0.25 m/s)에 대하여 각각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주행부 평균 소요동력은 주행속도 0.05, 0.15, 0.25 m/s에서 각각 0.556, 1.789, 3.333 kW, 수집부 평균 소요동력은 주행속도 각각 0.967, 0.989, 1.044 kW, 이송부 평균 소요동력은 각각 1.617, 1.606, 1.550 kW로 나타났다. 주행속도가 증가할 때 유입되는 토양의 증가로 수집부 소요동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수집기 주행속도별 소요동력은 수집기 설계 및 부하 예측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성능개선 양파 줄기절단기의 성능 분석

        이상희 ( Sang-hee Lee ),최용 ( Yong Choi ),최덕규 ( Duck-kyu Choi ),문석표 ( Seok-pyo Moon ),남영조 ( Young-jo Nam ),권승귀 ( Seung-gwi Kwo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최근 우리나라 농촌은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노동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노동력 부족으로 인건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농산물 생산비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노동력 대체를 위한 기계화가 필수적이다. 양파 줄기절단 작업의 경우 현재 대부분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으로 기계화가 필요하나 보급중인 줄기절단기는 두둑 가장자리에 위치한 양파 줄기 절단성능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연구는 두둑 가장자리 줄기절단 성능 미흡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선된 양파 줄기절단기 시작기를 이용하여 작업성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개선된 양파 줄기절단기는 두둑 가장자리 줄기절단 성능을 높이고자 유효작업폭을 1,200mm에서 1,300mm로 확대하였으며, 이중절단날로 구조를 개선하였다. 개선된 시작기를 이용하여 경상남도 창녕군 양파재배 포장에서 2회 현장실증시험을 수행하였다. 트랙터는 주변속-부변속 1-4단에 PTO 회전수는 740rpm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시작기를 이용하여 양파 줄기를 절단한 후 3m 구간을 3반복으로 줄기절단 상태를 조사하였다. 절단 후 잔존 줄기길이가 150mm 이하인 것을 줄기가 절단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1차 실증시험 결과 잔존 줄기길이는 10.66±5.17cm로 조사되었으며, 줄기절단율은 91.3%, 두둑 양쪽 가장자리 줄기절단율은 75.0%로 조사되었다. 2차 실증시험 결과 잔존 줄기길이는 10.92±3.43cm로 조사되었으며, 줄기절단율은 90.4%, 두둑 양쪽 가장자리 줄기절단율은 92.3%로 조사되었다. 1차, 2차 실증시험 시 양파 줄기 함수율은 각각 75%, 60%로 1차 시험은 양파 줄기가 충분히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되어 가장자리 줄기절단 성능이 미흡했던 것으로 판단되며, 줄기가 충분히 마른 조건에서 작업 시 두둑 가장자리 줄기절단 성능은 90% 이상으로 나타나, 두둑 가장자리 줄기절단 성능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된다.

      • 성능개선 양파 줄기절단기의 투입 효과 분석

        이상희 ( Sang-hee Lee ),최용 ( Yong Choi ),최덕규 ( Duck-kyu Choi ),문석표 ( Seok-pyo Moon ),남영조 ( Young-jo Nam ),권승귀 ( Seung-gwi Kwo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농촌 인구감소 및 고령화에 따라 노동력 부족을 대체할 수 있는 기계화는 필수적이다. 양파의 기계화율은 2022년 66.3%이며, 수확작업의 경우 기계화율은 25.8%로 미흡하다. 양파 줄기절단 작업의 경우 대부분 인력에 의존하고 있어 기계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 개발된 양파 줄기절단기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양파 줄기절단기의 투입 효과를 분석하고자 관행 인력 및 기계 작업을 비교하여 노동력 및 비용절감률을 분석하였다. 노동력 절감률 분석을 위해 관행 인력작업의 노동투하시간을 조사하였으며, 인력 작업의 경우 10a 작업에 27.6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계화 작업 시 노동투하시간은 양파 줄기절단기의 작업능률로 계산하였으며, 작업능률 측정을 위해 작업 시 작업속도, 회행시간을 조사하였다. 작업속도는 0.41m/s, 회행시간은 34s로 조사되어 작업능률은 0.54시간/10a로 조사되었다. 경제성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 경제성분석 기준자료집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농업입금은 통계청 농가구입가격지수의 2023년 1,2분기 농업임금을 평균하여 적용하였다. 관행 인력 작업의 경우 소요비용은 395,877원/10a, 기계화 작업의 소요비용은 48,610원/10a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기계 이용 시 노동력은 관행 인력과 비교하여 98%, 소요비용은 87.7% 절감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기계 이용시 생산비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