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고구려 도성 내 평지 성곽의 출현과 그 기능

        권순홍 역사학회 2019 역사학보 Vol.0 No.244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when, why and how flatland wall(城郭) in the royal city of Goguryeo was constructed. The first flatland wall in the royal city of Goguryeo was “flatland wall of Jian(集安)”. There are disagreements about the construction period, such as the 3rd century theory, and the 4th century. The former judged the record of Pyongyang(平壤城) in 247, and the latter judged the record of Gungnae(國內城) in 342 as the construction record of the flatland wall of Jian.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it was found that the former had the weakness that the relics of the 3rd century were not excavated from the wall, and the latter had the difficulty of interpreting Pyongyang in 247. However, considering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construction of the two walls in the records, the former is more convincing. The flatland wall of Jian was more important to function as hierarchical division of space between power and non-power than as military defense. At that time, the flatland wall of royal cities of Cao Wei(曹魏) also did not include the residence district of ordinary people. Only the royal chambers, government offices, and residence districts of high-ranking officials and soldiers were included. This was a spatial distinction between power and non-power. In 237, when Cao Wei was in the middle of Luoyang’s construction, an envoy of Goguryeo visited royal city of Cao Wei. This paper inferred that the experience at this time was reflected in the construction of flatland wall of Jian in 247. 이 글의 목적은 고구려 도성 내에 평지 성곽이 언제, 왜, 어떻게 조영되었는가를 검토하는 것이다. 기왕에는 산성+평지성의 도성 구조가 고구려 도성의 가장 큰 특징으로 설명되어 왔다. 심지어 고구려만의 ‘도성제’로 일컬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도성제’라는 제도가 건국 초기부터 성립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상식적인 문제제기가 있었다. 또 초기 도읍지였던 중국 요령성 환인 지역에서 고구려 초기의 평지성 유적을 확인할 수 없었다. 고구려 도성 내 최초의 평지 성곽은 집안 평지성이었다. 이 성의 축조 연대에 관해서는 3세기설, 4세기설 등 이견이 있다. 전자는 247년 평양성 기사를 집안 평지성의 축조 기록으로 판단하고, 후자는 342년 국내성 기사를 축조 기록으로 판단한 것이다. 검토 결과, 전자의 경우 성벽에서 3세기대 유물이 출토되지 않았다는 약점이 있고, 후자의 경우 247년 평양성에 대한 해석이 어렵다는 약점이 있다. 다만, 사료에 드러나는 두 성의 축조의 배경과 목적을 고려한다면, 3세기설이 보다 설득력이 있다. 집안 평지성은 군사방어용 기능 보다는 권력과 비권력의 공간을 구분하는 공간의 신분화 기능이 컸다. 당시 조위 업성과 낙양성의 평지 성곽 역시 일반 주민들의 거주구역을 포함하지 않았다. 그 내부에는 궁실과 관서 그리고 고위 관료 및 군인들의 거주구역만 포함되었다. 권력과 비권력의 공간적 구분이었다. 조위가 낙양을 한창 조영 중이던 237년에 고구려 사신은 조위 도성에 방문했다. 이때의 견문과 경험이 247년 집안 평지성 조영에 반영되었을 것으로 추론했다.

      • KCI등재

        고구려 도시 연구 試論

        권순홍 수선사학회 2022 史林 Vol.- No.82

        This article aims to define the concept of ancient city and confirm the actuality of the city of Goguryeo. Korean history study has used the term ‘도시(city)’ mixed with ‘도성(capital)’. Capital, however, is defined based on the ruling power, which is the appearance of the king and the landscape such as Jongmyo and the royal palace which symbolize the appearance. A city is defined by two conditions: concentration of population over a certain number of people and non-self-sufficiency/external dependence. Analysis of historical records and material data revealed that in the case of Goguryeo, an ancient state/capital was already established in the second century, but the non-self-sufficient city was formed around the middle of the third century. This means that the establishment of an ancient state/capital and the formation of a city are separate events. This article also captures the social division of labor, the separation of urban and rural areas based on it, and the market economy and non-self-sufficiency of urban with rural areas as production sites by analyzing historical records. It also confirmed the fact that the residents of the city had sense of superiority and treated the rural areas with disdain. .

      • KCI등재

        인터넷 쇼핑몰의 지각된 가치가 고객만족과 신뢰,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권순홍,김태웅,이용기 한국경영과학회 2003 經營 科學 Vol.20 No.1

        The emergence of Internet has established a huge virtual exchange market, and the innovative e-commerce has changed a way of distributing goods and services. This paper concerns the issues of customer's loyalty to maintain the customer retention between individual and internet shopping mall. We use the concept of customer's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trust, in order to explore and explain the formation process of customer loyalty. A survey data has been colleted through the help of internet research institution. A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a subset of customer's perceived value has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which in turn has also positive influence on trust, increasing the level of customer's loyalty. We also provide a brief discussion of strategic guidelines about analytic results.

      • KCI등재

        애플 Bonjour 프로토콜을 위한 ECDH 기반 인증 프로토콜

        권순홍,이종혁 (사)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19 스마트미디어저널 Vol.8 No.3

        Apple provides its own protocol, the Bonjour protocol, for convenient fi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device. Airdrop is a Bonjour-based, representative service that is widely used as a simple data transmission/reception protocol for Apple's desktops, laptops and smartphones. However, it was demonstrated in Black Hat, a hacking security conference in 2016, that it is possible to commence a Man-in-the-Middle attack by exploiting the Bonjour protocol’s weak points. In this paper, we explain the Bonjour protocol’s such vulnerability for secure file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devices and propose an ECDH (Elliptic Curve Diffie-Hellman) based authentication protocol to enhance the protocol’s security. The proposed protocol is described along with detailed operational procedures, demonstrating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Man-in-the-Middle attack and its masquerade variant. 애플사는 장비 간 간편한 파일 송수신을 위해 자체적인 프로토콜인 Bonjour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대표 서비스로는 Airdrop이 있으며, 애플사의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간에 간편한 데이터 송수신 프로토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2016년 해킹 보안 컨퍼런스인 Black Hat에서 Bonjour 프로토콜 취약점을 통해 중간자 공격이 가능함을 보였다. 본 논문은 장비 간 안전한 파일 송수신을 위해 Bonjour 프로토콜의 알려진 취약점을 설명하고, Bonjour 프로토콜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ECDH(Elliptic Curve Diffie-Hellman) 기반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을 상세한 동작 프로시저와 함께 설명하며, 중간자 공격과 신분위장 공격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음을 증명한다.

      • KCI등재

        투명필름 밀폐 드레싱을 이용한 새로운 배액관 관리법

        권순홍,오득영,최윤석,이백권,이종원,한기택,안상태 대한성형외과학회 2006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33 No.1

        The closed suction drain is commonly inserted after various surgical procedures. It has an important role to prevent possible hematoma or seroma that can cause postoperative wound problems. But there is still no consensus on managing the insertion site of suction drain after operation. Suturetie fixation of drain to skin and classical Y shape gauze dressing is a usually accepted method, but it has many limitations. We introduce a new approach to the care for the insertion site of suction drain by using occlusive transparent film dressing, IV3000(Smith&Nephew, London, UK). By using transparent film, insertion site of drain can be easily checked without removal of dressing. Because it can reduce the tension of suture-tie fixation, it helps to prevent skin injury. Furthermore, occlusive film dressing can block air leakage from insertion site of drain, and the water-proof character of film allows patients to take a shower without dressing change. This new method is more convenient, more efficient, and less harmful to skin than classic one.

      • 한국 고대 도시의 오물 처리와 근교 농업 -도시의 생태환경사 연구 시론-

        권순홍 한국생태환경사학회 2020 생태환경과역사 Vol.- No.6

        이 글의 목표는 고대 도시가 주변 지역사회와 맺은 쌍방향적 순환관계를 묘사하는 것이다. 도시는 하나의 완전한 세계로 이해되기 쉽지만, 고대서부터 도시는 존립을 위해 주변 지역사회와 관계를 맺었다. 단적인 예로 도시에서 발생한 오물이 도시 밖 근교 농업에서 비료로 활용되고, 근교에서 생산된 채소와 과일이 도시에서 소비되는 순환 관계를 제시하고자 했다. 신라 왕경과 백제 사비도성 등의 고대 도시에서 발생한 오물은 하천으로 방류되지 않았고, 특정 장소에 모였다가 주기적으로 처리되었다. 지하 배수로와 연결된 석조 유구 혹은 대형 저수지를 통해서, 당과 마찬가지로, 도시 오물의 처리를 담당 관리하는 관청의 존재까지 유추할 수 있었다. 한편, 한국 고대의 삼국과 당시 중국의 재배 작물이 같았다는 문헌 기록을 고대 도시 유적의 화분분석을 통해 방증하였고, 『제민요술』 등에 나오는 시비법 관련 기술을 토대로, 재배 작물이 같았다면, 재배 방법도 같았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바꿔 말해, 한국 고대 사회에서도 오물이 농업에 활용되었을 가능성의 제기였다. 특히, 백제의 고대 도시에서 발견된 일명 변기형 토기의 용도를 시비로 해석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방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