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농업용 못의 배수체계에 관한 농민지식의 전통과 변화 - 경북 의성군 금성산 일대를 중심으로 -

        권봉관(Kwon, Bongkwan)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9 民俗硏究 Vol.0 No.39

        이 연구는 농민지식의 집약체로서 못의 존재양상과 그 독특한 배수체계를 다루는 한편, 그에 연동된 농민문화의 일면을 밝히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못 수리시설의 역사적 변천을 소략하게나마 다루고, 못둑과 수통 및 수굴의 전통적인 조성방식과 최근의 변화 내용을 분석하는 한편 농민들이 전승해온 전통지식에 접근하였다. 연구를 위해 문헌조사와 함께 현지조사를 병행하였다. 주요 조사 대상지로 경북 의성군 금성산 일대를 설정하였다. 전문가의 제보와 항공지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 일대에는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못이 분포하고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섯 차례 현지조사를 수행했으며 그 과정에서 독특한 관개시설과 배수체계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의성군 금성산 일대에서 확인한 못 배수시설은 전통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기술체계의 역사적 연원은 최소한 조선 태조 시기까지 소급 가능했다. 특히 수통을 중심으로 한 배수체계는 한국의 독자적인 방식으로 최근까지도 의성군 일대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다. 둘째, 현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헌 기록에만 근거한 수통의 불분명한 형태와 기능을 어느 정도 명확하게 정리할 수 있었다. 일본인 학자 관야수일(管野修一)은 수통의 형태가 조선의 고유한 것이라고 보고한 바 있었으나, 그의 연구결과와 연동되는 현장조사 결과는 그 동안 확인된 바 없었다. 따라서 이번 현장조사와 연구를 바탕으로 그간 축적된 문헌 자료와 연구성과를 재분석하여 한반도의 독특한 배수체계를 명확히 보고하는 것이 비로소, 가능했다. 셋째, 배수체계와 관련된 농민들의 전통지식이 현재까지도 그 유용함을 인정받아 전승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농민들은 수통과 못종의 이용 방식에서 현대의 최신 시설이 아닌, 전통적인 방식의 나무 못종을 선호하고 있었다. 이는 현대식 관개시설과 기술이 농민들의 적정기술 체계로 편입되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전통기술이 농민들에게 있어 더 유효할 수 있음을 방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농업기술과 지식체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주문하고 있었다. 특히 농민들에 의해 전승되고 발전하는 농업기술은 농민 스스로 생산과 소비가 가능한 형태를 띠고 있었으며, 비록 그 형식과 형태가 일부 변하는 과정에서도 현재의 농민들에게 유용성을 인정받고 있었다. 이와 같은 기술과 지식체계는 농업농촌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하고 있어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ddress the existence of reservoir for agriculture and their unique drainage system as a collective of farmers’ knowledge, and to shed light on the traditional knowledge linked to them. To this end, we have addressed some historical changes in the reservoir irrigation system, analyzed the traditional methods of making dikes, drainer and Sootong(a water gate) and recent changes, and approached traditional knowledge handed down by farmers. Based on these studies, it was argued that farmers and agricultural-related private knowledge research should be expanded for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in agriculture and rural areas. For the study,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along with literature review. Geumseong Mountain, Uiseong-gun, Gyeongbuk, Korea was set as the main survey site. Expert informant and aerial maps show that there are countless agricultural reservoirs in the a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five times, and in the process, unique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rvoir drainage system identified in the area of Geumseong-san of Uiseong-gun maintained the traditional form, and the historical origin of such a technical system was traceable back to the king Taejo of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such drainage facilities have been handed down to the Uiseong-gun area until recently in Korea"s own way. Second, based on field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clarify to some extent the unclear form and function of Sootong based on literature records only. Third,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farmers related to the drainage system has been passed down in recognition of its usefulness. In particularly, farmers favore traditional wood pegs rather than modern facilities which is like a valve while using of Sootong. These results proved that modern drainage was not recognized as a suitable technology, but rather that traditional technology was more effective for farmers. These results show the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on traditional agricultural techniques and knowledge systems. In particular, the agricultural technology handed down and developed by farmers took the form that farmers could produce and consume themselves, and although part of the form was converted to concrete, the knowledge system surrounding the drainage system was being transmitted usefully to current far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