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립의 꿈 1945~1968 ― 냉전 너머의 아시아, 혹은 최인훈론을 위한 시론

        권보드래 상허학회 2012 상허학보 Vol.34 No.-

        Neutralism is a political unconsciousness that has governed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the period of 1945~1968. Neutralism has meant a pursuit of the national independence and autonomy amid the conflicts of powers in Korea while its definition is originally limited to the realm of diplomatic and military practices in the international order. Korea has experimented the neutralism from as early as the 1880s to the late 1960s, among which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mid 1960s deserve the special attention. The vision of 'one world', which stem from the experience of trans-continental alliance between U.S. and U.S.S.R, stimulated Koreans to devote themselves to building up the 'one democratic world' across borders and constructing the free unified nation on Korean peninsula. The expectation toward to 'the third way' between two systems revived in the 1960 although Korea had experienced the destructive Korean war in 1950~53. Encouraged by the Asian-African practices across many countries including India, Indonesia, Egypt, Syria, Korea also ventured to take into account the neutralization doctrine, but declined to the involvement in the triangle alliance system of U.S.- Japan- Korea after having witnessed the ends of neutralized Indochina. A novelist Choi In-hoon formulated his fictions under the political (un)consciousness of neutralization, and appealed to the narrative strategy of allegory and broadcasting frame in Typhoon and "The Voice of the Governor-General". 중립화론 혹은 중립화통일론은 해방 이후 지금까지 한반도를 가로지르고 있는 중요한 의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1960년 4월 항쟁 직후에 집중되어 있고, 그 밖에 해방기나 한국전쟁 직후, 1960년대 중반에 있었던 중립화론에 대한 고찰은 영성한 편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별로 주목받지 못했던 이 세 시기, 즉 1945~48년, 1953~54년, 1964~66년을 중심으로 각 시기 중립화론을 검토하면서, 그것을 미·소 중심 냉전 체제에 저항하는 가운데 ‘제 3세계적 연대’를 통해 새로운 세계 질서를 창출하고자 한 시도로서, 한반도와 세계의 다른 미래에 대한 상상으로 읽어보고자 했다. 중립화론의 논리 자체를 추적하기보다 그 사회·문화적 함의를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해방기를 통해서는 이른바 ‘중간파’ 노선이 국제적 현실성을 갖고 있었음을, 한국전쟁 직후를 통해서는 무장 대립의 상황에서도 미·소 중심 체제에 대한 비판이 살아 있었음을, 1960년대를 통해서는 냉전 체제 밖 ‘제 3 세계’적 대안이 진지하게 검토되었음을 증명하고자 했다. 나아가 ‘중립의 꿈’이 한국의 정치적 무의식으로 작동한 양상의 일단을 밝히고자 최인훈의 『광장』과 『태풍』「총독의 소리」를 대상으로 중립 문제가 어떻게 서사의 동력으로 작용했는지를 분석했다. 중립에의 몽상이야말로 『광장』의 결말에 낙관적 색채를 부여한 원천이었으며, 「총독의 소리」의 탈형식과 『태풍』의 알레고리는 중립국 상상이 좌초한 이후 정치적 시계(視界)가 닫힌 데서 온 형식이었다는 것이 분석의 대강이다.

      • KCI등재

        『광장』의 전쟁과 포로 - 한국전쟁의 포로 서사와 ‘중립’의 좌표

        권보드래 한국현대문학회 201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3

        This paper is a suggestion to read Choi In-hoon's The Square as a P.O.W. narrative. P.O.W., Prisoner of War of Korean war has drawn a lot of attention these days, since the cold war regime is facing the end even on Korean peninsula, and the cold war archives have opened to researchers in the age of openness. Literature of P.O.W., covering a range from memoirs of former P.O.W. themselves to the 21st century novels, have been collected and studied under such a new light. The Square, a product of April Uprising in 1960, casts a P.O.W. hero who experienced both South and North Korea but chose to go to a neutral country at the end. Such a denial or evasion from a forced alternative between the divided native lands impressed a lot of contemporaries, and an idea of neutrality, though the meaning of neutrality is restricted to neutrality in Korean War, moved many young intellectuals. The narrative of The Square is based on the reality of seventy six P.O.W.s who prefer neutral countries over two Koreas. Such a preference became possible when a new principle for war and P.O.W. on human rights presupposition was suggested. The core of new principle was voluntary repatriation policy, which contrasted with forcible repatriation that Geneva Convention of 1949 prescribed, and it signaled a new stage of ideological competition on war and peace. A variety of P.O.W. narratives can be read as a variety of responses to make respective definition of war, peace, and P.O.W. against those new circumstances. The peculiarity of The Square comes from the fact that it refuses naive realism for Korean War and P.O.W. It actively responses to new concepts of war and peace and ventures to find an exit from division system of Korea; nevertheless, it challenges to the division system by placing the cruel reality of Korean War aside. Yi Myung-joon, the hero of The Square, rarely tells his own war experience, instead he covers up Korean War actualities with his reflection and abstraction. The writer Choi In-hoon managed to change a direction of Korean literature to face grand issues such as universe, world, nation, and history by taking a strategy of suppressing firsthand memories. It is why The Square is so distinct in comparison with other Korean War or P.O.W. literature, and how The Square could endure days of developmental dictatorship as a text of neutrality. 이 글은 최인훈의 『광장』을 전쟁 소설이자 포로 소설로서 읽어보려는 시도다. 『광장』은 한국전쟁 당시 중립국행 포로를 주인공으로 한 소설이지만, 막상 전쟁과 포로의 현실을 문면에서 읽어내기는 어렵다. 『광장』의 문학사적 자리는 즉물적 전쟁 경험으로부터의 자유를 선언하는 데, 그럼으로써 역사적 존재이자 초월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복원시키는 데 있다. 전쟁 없는 전쟁 소설, 포로 없는 포로 소설이라는 형식으로 한국전쟁의 경험을 돌파한 것이 곧 『광장』이다. 「지옥도」「철조망」 등을 통해 살펴본 대로 다른 포로 서사가 생존주의와 가족주의에 속박돼 있는 반면 『광장』은 이념과 형이상학에 집중하고, 전후 소설이 전쟁의 참상을 재현하는 것을 우선시하는 반면 『광장』은 전쟁과 포로 체험의 실제를 묘사하는 데 무관심하다. 1950년대를 통해 적잖이 논의되었으나 반공주의적 해석틀에 갇혀 있던 중립국행 포로 문제를 초점화할 수 있었던 것 또한 그런 특성에 힘입어서이다. 이어령이 주어 없는 비극에서 중립국행 포로를 ‘도피’로 기호화한 반면 최인훈의 『광장』은 이를 냉전 체제에의 도전으로 해석해 냈으며, 그를 통해 중립·중립화·중립주의를 뒤섞으면서 ‘중립’ 개념을 굴절 확장시키는 것을 서슴지 않았다. 『광장』은 이런 방식으로 4 19의 정신을 문학화했으며 또한 ‘존재를 위한 전쟁’이었던 한국전쟁을 넘어설 길을 모색했다. 이 글에서는 한국전쟁 포로 서사들을 씨줄과 날줄 삼아 『광장』의 특이성을 가늠하고, 중립국행 포로에 대한 당대의 발화 속 『광장』의 좌표를 조정하며, 나아가 한국전쟁의 성격 자체에 대한 성찰을 시도해 보고자 했다.

      • KCI등재

        신소설의 성(性)ㆍ계급ㆍ국가 - 여성 주인공에 있어 젠더와 정치성의 문제 -

        권보드래 한국여성문학학회 2008 여성문학연구 Vol.20 No.-

        The basic scheme of sinsosŏl's narrative is an adventure of a female character. Heroines as female characters rule over the inner space of sinsosŏl while male characters are limited to the auxiliary roles, and the adventures of heroines form the main plot while male characters are silent in exile or in education process. The adventures of heroines are mainly sexual ones, which are marked by everlasting dangers of rape or harassment. How can we understand such an asymmetry which promises a heroine a leading role of plot and exploits her with sexual threatening at the same time? This essay suggests three staged approach to this problem. First, the female characters who dares to out of home and experiences sexual dangers show the development of female bodies from premodern abstractness to modern corporeal reality. Secondly, those characters express the middle class situation through the sense of dependence and the desire for class mobilization. Thirdly, they symbolize the situation of political exile through the escapereturn narrative while the male characters seek the possibility of emigration. Works of sinsosŏl have been blamed for the neglect or distort of contemporary social circumstances, yet they imply the political strategies of gender, class, and nation. 신소설은 여성 주인공의 압도가 두드러진 양식이다. 비슷한 시기 창작된 역사ㆍ전기물이 남성 주인공을 내세워 민족적 서사를 창조해 간 반면, 신소설은 성적 수난을 거쳐 가정으로 귀환하는 여성의 서사를 핵심으로 한다. 사적 영역에 국한된 듯 보이는 이 서사는, 그러나 여성의 사회적 존재양상의 변화, 중인 및 평민층이라는 계급의 부상, 망명객을 중심으로 한 국가 구상이라는 다양한 층위를 함축하고 있다. 신소설의 여성 주인공은 자기 의사로 가출, 집밖의 세계에서 성적 위협에 시달리면서 서사를 추동해 가는데, 이는 조선 후기 소설에서 여성들이 ‘여화위남(女化爲男)’이라는 장치를 통해서나 외부에서 활동할 수 있었던 역사와 대비된다. 이렇듯 홀로 집 밖에서의 수난을 감당해야 한다는 설정은 중인 및 평민층의 신분 감각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시비(侍婢) 없이 단독적인 존재로 세계 속에 던져진 여성 주인공들은 실제 신분 설정에 있어서도 서리(胥吏)의 딸로 전형화되어 있다. 신소설에서 몇 편 되지 않는바 남성 주인공을 중심에 내세운 텍스트와 비교해 볼 때, 여성 주인공은 망명의 서사를 지지한다는 특성 또한 내비친다. 남성 주인공이 국가라는 경계를 넘어 외국에서의 이력을 개척하는 이주의 서사를 주도해 간다면, 여성 주인공은 부재를 견디고 귀환을 목표로 하는 망명객의 서사에 접근해 있다. 신소설 전반을 요약하는 무리한 작업을 무릅쓴다면, 신소설은 여성의 사회적 좌표의 변이를 반영하면서 중인 및 평민층의 신분 감각을 표현하고 있으며 또한 망명객들로 대표되는 국가 기획에 동의를 표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신소설의 풍부한 사회ㆍ정치적 함축은 새로이 독해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중국·일본의 근대적 문학개념 및 문학어 형성(1) - 소설 『不如歸』의 창작 및 번역·번안 양상을 중심으로

        권보드래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3 大東文化硏究 Vol.44 No.-

        Tokutomi Roka, the writer of Meiji bestseller Hototogisu, was a liberalist advocate of Tenno system. He accepted Tenno system not at a political level but at a life-world level, and his unique attitude was represented in Hototogisu as the narrative of nation and war. The young hero and heroine of Hototogisu, Takeo and Namiko, are lovely new weds with honorable family background, but their love result in tragedy for the casual misfortune of Namiko’s TB. That's because Takeo’s mother insists that TB can destroy the whole family, and Takeo can't resist his mother for the national emergency of Japan-China war. Takeo is a responsible soldier, then the national vocation comes before the private happiness. The national spirit is absorbed in narrative details and constitutes the life-world reality. Translating Hototogisu, the Chinese and Korean translators confront the existence of nation and war. Chinese translator Lin Shu emphasized the braveness of Chinese navy during Japanese-Chinese war, and utilized Hototogisu as an evidence of his advocation. Namiko’s tragedy is of little importance, and the problem of nation-individual relation becomes much weaker. Korean translator Seon Woo-il cannot burden the national spirit as the source of narrative characteristics. Seon transforms the background from original Japanese- Chinese war in 1894 to Japanese-Russian war in 1904, and omits the details symbolizing national destiny. Hototogisu is a psychological compensation of Simonoseki treaty, but such peculiarity is missing in Seon’s translation. Korea after annexation could not buttress the novel as national unconscious. 이 논문에서는 일본 明治 시대의 베스트셀러인 德富蘆花의 불여귀(1900)를 저본으로 하여 일본 내 漢譯本인 杉原夷山의 불여귀(1911), 최초의 중국어역인 林의 불여귀(1908), 충실한 한국어 번안인 선우일의 두견성(1912) 세 텍스트를 비교함으로써 근대 소설의 번역번안 양상에서 드러나는 특징을 살피고 그 의미를 밝혔다. 蘆花의 원작은 국가와 전쟁 때문에 초래된 사생활의 비극을 ‘어찌할 수 없는’ 운명으로 감내하는 역설의 지점을 표현했던 반면 杉原夷山은 이 비극을 악인 때문에 초래된 우연한 사건으로 대치하였고, 林는 청일전쟁에 대한 재평가에 초점을 맞추면서 주인공들의 悲戀을 부차화시켰으며, 반대로 선우일은 국가의 존재를 전면화하지 못해 悲戀만을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번역 작업을 행했다.주제어不如歸, 德富蘆花, 杉原夷山, 林, 鮮于日, 번역, 번안, 문학적 관습, 국가, 전쟁, 부부애.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