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비교 역사적 연구를 통해 본 정동 연구의 사회정치적 의제: ‘여자 떼’ 공포와 다스려질 수 없는 자들의 힘

        권명아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여성문학연구 Vol.39 No.-

        This thesis is the Comparative research regarding affect studies and the theoretical resources of gender studies. Especially focusing on the puissance of ungovernables and the fear against the 'la foule de femme'. Almost every affect studies produce in Western part and East Asia emphasize the gender studies, feminist researches and queer studies as theoretical resources of affect studies. In contrast with this 'general' tendencies of affect studies some studies of Korean 'left' group are eliminate gender studies, feminist researches and queer studies as theoretical resources of affect studies. This tendency of affect studies in Korean academic world is the historical effect of sexism and colonialism in scholarly field. 정동 연구가 일종의 ‘붐’을 이루면서 최근 꽤 많은 논문이 산출되었다. 본 연구는 미국과 유럽, 일본에서 진행된 정동 연구와 한국에서 진행된 정동 연구 경향을 비교 검토하면서 한국의 정동 연구의 이론과 현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서구에서 정동 연구가 페미니즘과 젠더 이론의 성과를 적극적으로 이어받고 있는 것과 달리 한국에서는 페미니즘 연구를 부정하는 입장이 강하다. 이런 경향은 한국 지성사의 식민주의와 성차별주의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중요한 논점이다. 한국에서 최근 산출된 논문의 경향을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유형화해볼 수 있다. 첫 번째로 기존의 문학 연구나 문화연구 영역에 감성 연구와 정동 연구를 도입하는 경향이다. 두 번째로는 예술 존재론과 이미지 정치에 대한 논의에 입각하여 정동 논의를 전개하는 연구이다. 세 번째로는 에토스와 정동에 대한 논의로 세월호 사건 등을 비롯한 재난과 트라우마, 애도의 윤리와 정동의 문제를 주로 다룬다. 네 번째로는 정동 경제와 사회적인 것에 대한 논의이다. 다섯 번째는 혐오발화에 대한 연구이다. 한국 사회의 혐오 발화에 대한 논의는 정동 이론과 페미니즘, 젠더/퀴어 연구가 결합한 전형적 사례라고 할 것이다. 미국과 유럽,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정동 연구가 다양한 이론적 원천을 계승하고 페미니즘을 모든 이론을 재검토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이론으로 재정립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과 달리 한국의 정동 연구는 페미니즘 이론을 역사적이고 이론적 원천에서 삭제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지식장과 학문장, 그리고 공론장에서 여전히 작동하는 식민주의와 성차별주의에서 비롯된다. 이런 의미에서 최근 페미니즘을 둘러싼 일련의 사태야말로, 여성을 비롯한 소수자의 역능을 문란, 퇴폐, 부적절함, 근본주의적 불순분자로 배제하면서 구축된 근대적 주체성과 공론장의 한계가 반복되는 전형적 사례이다. 본고에서는 이를 시민적 공론장의 형성과 재생산 과정에서 정동의 힘이 ‘여성화’의 방식을 통해 부적절한 힘으로 억압되는 과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특히 여기서 ‘여자 떼에 대한 공포’가 정동의 힘과 ‘다스릴 수 없는 자들의 역능’을 제어해온 역사와 현실을 정동 이론의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또 이런 역사적이고 이론적인 고찰을 통해 오늘날 이론의 재구성에서 정동 연구와 페미니즘의 결합은 가장 근본적인 패러다임을 제공할 거의 유일한 역사적 이론적, 실천적 원천이라는 점을 밝혔다.

      • KCI등재후보

        에고의 좌표 그리기로서의 소설-분단 체제하의 주체화 형식과 최인훈의 소설적 '시도'의 의미-

        권명아 상허학회 2002 상허학보 Vol.8 No.-

        This study is focus on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subjectivity after the division of Nation. For the research of the subjectivity after the division of Nation which result from the Korean War, this study make reference to various literary texts which published 60's. From this research the result is that after Korean War Korean people imagined their subjectivity as "crippled body", or "damage body". In the various literary text which published 50's - 60's this form of subjectivity represent as "yang gong ju", "a weakling who half dead". In the text like Kwangzang(The Square, written by Choi In Hoon), Keury(The Street, written by Kim Soo Yong), The brilliant eye(written by Shin Dong Yeob) this form of representation of subjectivity transformed into "gaze without body". "Gaze without body" is represented special forms of subjectivity.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Gaze without body" is like symbol of "a drop of water". These forms of representation reflect the reflection of self -identity which imagined "crippled body", in other words "the subject without body". And then the representation of "Gaze without body" reflect special forms of subjectivity after Korean War and in the area of division of Nation. .

      • KCI등재

        마음을 놓다: 안심의 어소시에이션을 위하여

        권명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4 石堂論叢 Vol.0 No.59

        To think community is to think at the limit. Or we could say so, at least, if we borrow the terminology of Jean-Luc Nancy. Nancy discusses this formulation in a number different ways, but he does so must centrally in his engagement with Georges Bataille's thought – in particular, with Bataille's way of interrogating ecstasy (the ec-static, forgetting of self). In referring back to Bataille in the development of his “impossible” discussion of community, Nancy says that his intention is not to “simply draw from his stock of knowledge or his theses” but rather “to look back upon a certain limit that is our own.”I discussed the work of thinking and practicing community as the work of thinking and practicing the limit condition. I also noted that the work of imagining and experimenting with community entailed a practice of looking back at the limits of dreams for a better world as they arose within the history of “humanity,” and I described this as an event to be encounter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thesis I try to conceptualize community as the encounter that allows one to put one's mind at ease. And with this new meaning of community, I would like to go one step further and call such encounters associations of relief. In describing associations of relief – as encounters that allow one to put one's mind at ease – in terms of the struggle to control fear and anxiety, there is an overlap with Michael Hardt and Antonio Negri's discussion of “instituting happiness.” The association of relief activates the potential to transform an encounter triggering fear and anxiety into an encounter of joy. And the affect of relief produced by encounters that allow one to put one's mind at ease is the release from misery and anxiety. Putting one's mind at ease is another name for this release. Therefore, the process of putting one's mind at ease, the process of transition/traversal leading from anxiety to relief – this is a process of transformation from passive to active, a process – in Nancy's words – of the extension of the psyche. 공동체(commune)를 사유한다는 것은 한계에서 사유하는 것이다. 적어도 장 뤽 낭시의 어휘를 빌자면 그렇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무위의 공동체』, 『코르푸스』 등에서 논의되는 무위, 분유, 단수성, 외존 등 무수한 어휘들이 실은 이 공동체와 한계라는 두 어휘를 중심으로 부려진 것이다. 낭시는 이를 여러 방식으로 논의하지만 가장 핵심적인 질문들은 공동체(commune)에 대한 바타유의 사유, 특히 엑스터시(忘我 ec(탈)-static)에 대한 바타유의 문제의식을 논하는 지점에서 발견된다. 공동체(commune)를 사유하고 실천하는 일은 한계 상태를 사유하고 실천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공동체를 상상하고 실험하는 일은 ‘인류’의 역사 속에서 진행된 새로운 세계를 향한 꿈의 한계를 되돌아보고, 또 새로이 마주치는 사건이다. 이 논문은 소진을 한계 상태의 정동으로 사유함으로써 지금, 여기에서의 공동체 실험과 사유에서 발생하는 현실적 곤경과 대면해보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또한 이러한 소진으로부터 생명의 잠재적 역량과 마주하게 되는 사건적 순간, 혹은 한계에서 더 멀리 나아감으로써 발생하는 자리들(낭시), 또 그 사건과 자리들이라는 정치적 실천과 동의어라 할 수 있는 영혼의 펼쳐짐을 안심의 어소시에이션이라는 문제 설정을 통해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안심, 행복, 불안, 공포와 같은 정동을 윤리적 차원에서 사유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인간 존재에 대한 사유를 거슬러 올라가서 개념을 다투는 지난한 과정이 필요하다. 이 글은 이와 같이 안심을 윤리적 차원에서 사유하기 위해 개념을 다투는 하나의 시도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성폭력 부정주의의 정동적 힘과 대안적 정동 생성의 ‘쓰기’

        권명아 한국여성문학학회 2021 여성문학연구 Vol.52 No.-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I’m Kim Ji-eun” as a political text that publicly testified how sexual violence negationism is organized in Korean society. After the testimony of “I’m Kim Ji-eun,” “all of us” can no longer make the same discourse, feelings, and expressions about ‘democratic mouvenent generations’ as before. The study of sexual violence negationism is not just a bitter reminder of the end of progressive politics in the ‘democratic mouvenent generations’. Rather, through the study of sexual violence negationism, we reach the birth of vivid alternative politics in which the ideology and subject of anti-discrimination politics are formed as an alternative political ideology and subject after democratization. In addition, the site of alternative politics, which cannot be returned to the existing language, is the site of the study of sexual violence negationism. 이 연구는 『김지은입니다』를 한국 사회에서 성폭력 부정주의가 어떻게 집단적으로 조직되는가를 공개적으로 증언한 정치적 텍스트로 해석하고 자리매김하고자한다. 이를 통해 이른바 ‘진보정치 집단’ 출신의 광역 단체장 성폭력 사건에 대한논의를 비판하고 이 사태를 역사적이고 이론적으로 다루기 위한 문제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세부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김지은입니다』를 통해 민주화 세대의 지배적 정동과 정동 정치가 성폭력을 산출하는 조직 구조를 어떻게 구성하고 재생산하는지를 밝힌다. 둘째, 진보 집단 출신 정치인 중심의 조직 구도에서 노동 구조는 신분제에 가까운 노예화에 기반하고 있음에 주목고자 한다. 이런 조직 구조는 이중 노동 시장 이론과 일치한다. 셋째, 광역 단체장 성폭력 사건은 ‘진보 정치’ 집단의 ‘노동’에 대한 이중적인 태도와 관련이 있다. 넷째, 진보 집단의 정파주의와 민주화 세대의 정동을극단적인 진영 대립의 원인으로 살펴본다. 성폭력 부정주의 연구는 우리를 대안 정치 이념이자 주체로서 반차별 정치의 이념과 주체가 형성되는 생생한 대안 정치로 이끈다. 오래된 정동 정치를 무력화하는 대안 정동의 현장이 바로 성폭력 부정주의 연구의 현장이다.

      • KCI등재

        연대(solidarity)와 전유(appropriation)의 갈등적 역학- 포스트 콜로니얼리즘, 탈민족주의, 젠더 이론의 관계를 중심으로

        권명아 상허학회 2007 상허학보 Vol.19 No.-

        이 논문은 포스트 콜로니얼리즘 이론과 젠더 이론의 상호 관계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이 논문의 근본 목적은 두 이론이 공유하는 토대의 ‘우연성’과 불확정성을 강조함으로써 이론은 그 자체로 비판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이론적 실천을 통해서만 이론의 비판성이 구성된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또 포스트 콜로니얼리즘 이론은 경계를 넘는 이론적 실천의 하나로서 학문적, 국가적 경계를 넘는 연대를 중요한 실천 전략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여기서 연대와 전유의 차이와 경계 또한 모호한 것이 사실이다. 연대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때로는 실천적 차원에서는 이질적인 이론에 대한 전유로 전화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포스트 콜로니얼리즘 이론과 젠더 이론의 상호 관계와, 현재 한국에서 진행중인 역사 논쟁 및 문화적 경향 등을 통해서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을 둘러싼 논란은 민족주의 비판으로 단일 의제화 된 담론 지형이 어떻게 손쉽게 이질적인 차이의 정치학을 전유하는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또 월드컵 열풍이나 최근의 문화적 현상에서 나타나는 카니발적 내셔널리즘은 1990년대 이후 지속된 하위문화의 카니발적 성격을 민족주의/국가주의적으로 전유한 대표적인 사례이기도 하다. 또 아시아의 여타 지역에서 이루어진 포스트 콜로니얼리즘에 관한 논쟁을 검토함으로써 한국에서의 이론적 논의의 지형도가 과도하게 민족주의와 탈민족주의라는 단일 의제에 집중된 것은 역사에 대한 과잉된 열기와 현재적인 이론적 실천에 대한 관심의 후퇴라는 퇴영적 현상의 결합물이라는 것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Postcolonialism is complex constitution which manifest the solidarity with the diversity kind of the politics, especially with the feminism. But the common foundation between the feminism and the postcolonialism is only contingent. In the term of “contingent foundation”, my focuss is not making specific the feminism but the making issue about the formation of the practice of the theory. In this dissertation, my main them is about the appropriation of the new, radical politics by the dominant ideological apparatus. Rethinking Colonial-Postcolonial History(2006), “Welcome to Dongmak Goel”(2005), and frenzy about the cheer of World Cup soccer game(2002) is the symptom of this kind of appropriation. In th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this kind of appropriation, the complex subjectification is on act. In this subjectification, the ready made, and dominant mode of subject is remain, but in another aspect some kind of the break away from that dominant mode is also on act. With the new term, “Carnival Nationalism”, I research the characteristic property of this new type of subjectification.

      • KCI등재

        태평양 전쟁기 남방 종족지와 제국의 판타지

        권명아 상허학회 2005 상허학보 Vol.14 No.-

        Through the dynamics of the rivalry for control of the Southeast Asian region(hereafter referred to as Nam bang, 南方) by Engl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Japan there was an encounter with Korea. The position of Korean intellectuals regarding Nam bang, including aspects such as their attitude, point of view, and emotions was that of students of the mutual translations of English and Japanese literature as well as careful readers of such literature. In addition, as a people without their own stories they were rendered spectators of these translated novels. Therefore, the view of Nam bang held by Korean intellectuals was a complicated mixture of the passion and curiosity of the learner, the activeness of the engaged reader, and the passivity of the spectator. As the main areas of academic interest of this researcher are fascism and gender, this subject ultimately must be researched as a subjectified, compounded historical formula which existed under a system of violence. The main theme of this research derives from the expectation that an observation of the complex perceptions and emotions of Korean intellectuals regarding Nam bang during the war years will be an important vantage point for observing the subjectivity of the colonialized. Just as a sea voyage to Nam bang would be a long journey, researching the subjectivity of the colonialized will also be an arduous voyage. This paper intends to give a brief introduction of the progress of this journey to date. 태평양 전쟁기 조선에서 생산된 남방 종족지에 나타나는 남방 원주민에 대한 이미지는 현재 한국에서 횡횡하는 동남아시아 인들에 대한 편견과 ‘정보’와 매우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남방 자원에 대한 열망과 ‘제국’을 향한 환상, 인종적 편견과 착취를 통한 ‘자본주의’ 발전의 욕망은 현재 한국 사회에 팽배한 욕망과 폭력의 구조와 너무도 닮아 있다.태평양 전쟁기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남방 정복이란 전쟁의 실감보다는 경제의 실감으로 다가왔으며, 본질적으로는 정글의 법칙, 더 나아가서는 정글 탐험의 이미지로 실감되었다. 일본의 남방 정복이 정글의 법칙이나 정글 탐험으로 실감되었다는 것은 단지 비유의 차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조선에서 생산된 남방에 대한 수많은 담론에서 ‘남방’은 서구 제국주의와 동양 맹주 일본 제국이 마지막 세를 겨루는 장이며, 이 역사적 장은 약육강식의 정글의 법칙의 한 형태였다.남방 담론의 경우 제국과 총독부의 정책을 선전하고 그에 부응하는 찬동의 담론이 주류를 이루지만 총독부의 정책이나 관료의 입장들을 초과하는 과잉된 열기가 조성된다. 이 과잉된 열기는 실상 총독부와 제국의 이념과 상응하지 않는 잉여의 부분, 그 바깥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잉여의 담론, 남방에 대한 과잉된 열기는 제국의 정책이나 총독부의 노선에 대한 저항도, 부정도 아닌 오히려 역으로 총독부나 제국의 노선을 초과한 잉여의, 과잉된 식민주의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