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Creatine Kinase Isoenzyme 의 분리와 정제에 관한 연구

        권두한,윤도영,이홍수,최명자,최인성,정태화 ( Dur Han Kwon,Do Young Yoon,Hong Soo Lee,Myung Ja Choi,In Seong Choe,Tai Wha Chung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92 BMB Reports Vol.25 No.4

        Bovine creatine kinase MM was purified from bovine heart muscle, through homogenization, ethanol precipitation, DEAE-cellulose chromatography, two step of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and affinity chromatography, Human CK-MM wa spurified from fetal human heart muscle through homogenization, ethanol precipitation, and DEAE-cellulose chromatography. Specific activities of bovine and human CK-MM were presented at an activity of 801 U/㎎ and 369 U/㎎, respectively. CK-BB from bovine brain and human fetal brain tissue were purified by homogenization, ethanol precipitation and DEAE-cellulose chromatography. Specific activities of bovine and human CK-BB appeared to 702 U/㎎ and 615 U/㎎, respectively. Ck-MB isoenzyme was synthesized by recombining each single subunit of MM and BB which were prepared by treating with 8 M guanidine-HCl, and its activity was identified on agarose gel electrophoresis.

      • 연두금파리 유충의 응집소에 관한 생화학적 연구

        권두한,김종훈,장정순,Kwon, D.H.,Kim, J.H.,Chang, C.S.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85 한국생화학회지 Vol.18 No.3

        연두금파리의 정상 및 상처를 입힌 제3령충의 혈림프 내에 있는 응집소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혈구를 이용한 혈구응집반응을 실시한 결과 혈구 종류에 따라 뚜렷한 역가의 차이가 있었다. 특히 상처를 입힌 후 얻은 혈림프의 경우 응집역가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D-galactose, mannose 등의 당에 의해 혈구 응집력이 억제되는 것으로 보아 혈림드내 응집소는 몇가지 당에 대한 수용체를 갖고 있다고 생각된다. The haemagglutination activities of normal and injured larval-haemolymph of Lucilia illustris against the erythrocytes of various origins have been examined. Both of the normal and the injured larval-haemolymph appeared to be specific with high variations in haemagglutination titer according to the tested cell types. It has been shown that the haemagglutination activites were represented higher titers in rabbit and human erythrocytes than those of rat and sheep, respectively. Induced haemagglutination activity from the larval-haemolymph obtained after injury of larval body wall was greatly increased and it maintained the titer for 30 h thereafter. Moreover, the strong inhibition by D-galactose, L-rhamnose, D-mannose, lactose, and chelating agent, EDTA on the haemagglutination activites of both larval-haemolymph suggested that the larval-haemolymph agglutinin consisted of several sugar receptor moieties.

      • SCIESCOPUSKCI등재

        연두금파리 유충의 응집소에 관한 생화학적 연구

        권두한,김종훈,장정순 ( D . H . Kwon,J . H . Kim,C . S . Chang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85 BMB Reports Vol.18 No.3

        The haemagglutination activities of normal and injured larval-haemolymph of Lucilia illustris against the erythrocytes of various origins have been examined. Both of the normal and the injured larval-haemolymph appeared to be specific with high variations in haemagglutination titer according to the tested cell types. It has been shown that the haemagglutination activites were represented higher titers in rabbit and human erythrocytes than those of rat and sheep, respectively. Induced haemagglutination activity from the larval-haemolymph obtained after injury of larval body wall was greatly increased and it maintained the titer for 30 h thereafter. Moreover, the strong inhibition by D-galactose, L-rhamnose, D - mannose, lactose, and chelating agent, EDTA on the haemagglutination activites of both larval-haemolymph suggested that the larval-haemolymph agglutinin consisted of several sugar receptor moieties.

      • Spread sheet를 이용한 LCC 공진형 컨버터 설계

        권두일(Doo-Il Kwon),신대성(Dae-Sung Sin),한상규(Sang-Kyoo Han),노정욱(Chung-Wook Rho),홍성수(Sung-Soo Hong),오동성(Dong-Seong Oh),이효범(Hyo-Bum Lee) 전력전자학회 2009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1

        LLC Resonant Converter는 간단한 구조로써 제작 단가가 저렴하고, 전 부하영역에서 ZVS가 가능하며, 주 스위치의 내압이 입력전압으로 제한되어 있다. 또한, 2차측 다이오드의 Zero Current Switching이 가능하고, 전압 Ringing이 없으며, 고효율 설계가 가능한 장점으로 현재 널리 사용되는 Converter Topology 중 하나이다. 하지만, 경부하시 효율이 낮아지고, Converter의 동작 상태 해석이 다소 어려워 최적의 공진 탱크 설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LLC Resonant Converter를 공진 주파수로 동작할 때와 최대 전압 이득을 갖는 주파수로 동작할 때를 해석하고, 공진주파수로 동작할 때 1차측 및 2차측 전류의 RMS 값 및 2차측 AC RMS 전류와 최대 전압이득을 갖는 주파수로 동작할 때 공진탱크 캐패시터의 최대 전압, 최대 전압이득 등을 시간의 함수로 유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진 탱크의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설계 방법의 검증을 위해 32”LCD TV SMPS를 이용하여 타당성 및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유아기 일상의 실행기능 척도(REEF)의 타당화 연구

        권두,신나나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4 No.4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Ratings of Everyday Executive Functioning (REEF), which was developed for 3-5 years old and validated by Nilsen and colleagues(2017) to evaluate the executive function of preschoolers, and the validity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cross validity) of REEF were examined using three samples of Korean mothers and their children aged 3-5 years. The results of the validity of REEF confirmed through the three sampl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going through the translation-reverse translation and review process by a Korean writer,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lar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REEF questions. As a result of the item analysis of REEF, the quality of the items was confirmed, and then the final questions were confirmed.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examine construct validity, all items except for one item showed an acceptable fit of factor loading, indicating that a single factor was suitable, as in the study that developed the original scale. Third, the correlations between REEF and BRIEF-P, REEF and executive function measured by the execution function performance task were significant, and convergent validity was demonstrated. Fourth,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 preschoolers’ theory of mind, problem behavior and language ability was significant, and concurrent validity was examined. Finally, as a result of cross-validity testing whether the results examined through Study Subject 1 appear the same as the new subject, factor loadings of all items except for the two items were found to be similar. I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 new and additional tool for the executive function and REEF validated from various aspects can be used in various ways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일상의 실행기능 척도(Ratings of Everyday Executive Functioning [REEF])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 및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집된 세 가지 표본을 활용하여 구인타당도, 수렴타당도, 공인타당도 및 교차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REEF 문항에 대한 번역-역번역 및 국문학자의 감수과정을 거치고, 예비조사를 통해 문항의 명확성과 적절성을 확인하였으며, 문항들의 양호도가 확인되어 최종 문항을 확정하였다. 둘째,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문항을 제외한 75문항이 적절한 수준의 요인부하량을 보여, 원척도를 개발한 연구와 같이 단일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문항 간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적절한 수준의 신뢰도 계수가 산출되었다. 셋째, 기존에 사용된 실행기능 척도(BRIEF-P) 와 과제를 통해 측정한 실행기능 간의 상관이 유의하여 수렴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넷째, 양육행동, 마음이론, 문제행동 및 언어능력과의 상관이 유의하여 공인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대상에게도 결과가 적용되는지 확인한 결과, 두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의 요인부하량이 유사하게 나타나, 교차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각적인 측면에서 타당화된 REEF는 유아의 실행기능 측정에 새로운 추가적인 도구로서 추후 유아의 실행기능 연구의 확장 및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역률 개선을 위한 준 단일 전력단 AC/DC 컨버터

        권두일(Doo-Il Kwon),한상규(Sang-Kyoo Han),노정욱(Chung-Wook Roh),홍성수(Sung-Soo Hong),사공석진(Sug-Chin Sakong),최흥균(Heung-Gyoon Choi),이효범(Hyo-Bum Lee) 전력전자학회 2007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본 논문에서는 2단 AC/DC 컨버터와 단일단 AC/DC 컨버터가 가지고 있는 단점들을 개선 할 수 있는 새로운 준 단일 전력단 컨버터를 제안한다. DC/DC 단으로는 동적 특성이 좋은 LLC 컨버터를 채용하여 별도의 제어기 없이 고정 주파수 및 고정 Duty(50%) 발생기에 의해 Open Loop로 구동 시킴으로써 저가격화 및 고효율화를 획득 할 수 있다. 또한 역률개선단은 Boost 컨버터를 채용하고 간단한 제어기 1개를 사용하여 역률 개선과 동시에 DC/DC 단의 최종출력을 제어한다. 기존 2단 PFC 컨버터와는 다르게 PFC 링크전압을 Feedback 하지 않고 DC/DC 단의 최종 출력을 Feedback 하여 제어한다. 제안된 회로의 우수성 검증을 위해 600W급 시작품을 이용한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 Solar Array의 전압-전력 특성을 이용한 MPPT 제어 시스템

        권두일(Doo-il Kwon),지상근(Sang-keun Ji),유철희(Cheol-hee Yoo),한상규(Sang-kyoo Han),노정욱(Chung-wook Roh),홍성수(Sung-soo Hong) 전력전자학회 2008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Solar Array는 일사량 및 온도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최대전력이 변화한다. 또한 Solar Array의 전압에 따라 출력 전력이 변화한다. 따라서 태양전지의 동작점을 최대 전력점에서 동작하게 하는 최대 전력점을 추적(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하는 제어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Solar Array의 전압과 전력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최대 전력점을 추종하는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방식은 빠르게 최대 동작점을 찾을 수 있고 높은 전력 변환 효율을 가지며 다른 방식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다. 제안된 제어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MPPT시뮬레이션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