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사들을 위한 국악연수 프로그램 개선방안

        권덕원(Kwon Doug-Won) 한국국악교육학회 2005 국악교육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inion of Gangwon-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Korean music training program for them and to develop the programs. The population of survey is 453 elementary schools in Gangwon-do. 227 elementary schools were randomly sampled by the systematic sampling metho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were sent to 227 elementary schools, and asked to response by whom was recognized as an advanced teacher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each school. 181 teachers sent their responses and the rate of collection was 79.9 percent. Most teachers of Gangwon-do expect the opportunity of Korean music training program to be highly expanded. They want that the content of textbook about Korean music would be included in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expect the development of their teaching ability of traditional music based on the content of textbook. In addition, they mostly prefer the skill-oriented program than the theory-oriented, and want that more teachers qualified in Korean music to be included in the instructor group of the programs.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some suggestions were provided: 1) the opportunity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need to be expanded, 2) the content of programs would be desirable when it is connected to the classroom teaching, 3) basic skills on Korean music should be emphasized in the programs, 4) the planner of programs needs to recognize the effect of well-trained teacher and to include them in the instructor group, 5) each instructor must have an effort to improve his/her ability and character as an qualified instructor, 6) the goverrunent and experts should develop and support local programs for teachers who are interested in Korea music education, 7) textbooks for teacher training programs could be developed and spreaded by a research team, 8) all institutions should respect one another and develop an co-operative system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Korean music. The improve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 is essential to advance Korean music education in classrooms. Therefore the planners and instructors of the program should develop th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of Korean music, and the participants try to make the most of the program.

      • 인성교육을 위한 음악교육의 역할

        권덕원 ( Kwon Doug-won ) 미래음악교육학회 2016 미래음악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육가의 관점에서 최근 교육계에서 거론되고 있는 인성교육의 개념과 여러 관점에서의 인성교육 요소들을 검토하고, 2015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 요소들을 음악교육의 본질적인 요소들과 인성 관련 요소들의 연계성 속에서 분석하며, 다양한 음악 활동 속에 존재하는 인성적 요소들을 분석적으로 논의함으로써 음악교육의 본질과 핵심을 유지하는 가운데 인성 관련 요소들을 수업에 반영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음악교사가 인성교육의 개념, 범주, 교육요소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하면 할수록, 그 음악수업은 음악교육의 본질과 핵심을 견지하면서도, 동시에 깊은 차원에서 인성교육의 요소들을 효율적으로, 그리고 융합적으로 다룰 수 있을 것이다. 음악교육가들은 물론, 음악교육 외의 전문가들도 음악은 그 자체로 사람의 마음에 감동을 주며, 그 감동의 힘은 사람의 깊은 내면세계와 인성의 긍정적 변화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academic study about character education of Korea schools, to examine 2015 curriculum of music, and to provide the role of music teacher in the music activities. Character education for students has been emphasized since `5ㆍ31 Educational Reform` in 1995. Especially after 2011, the Ministry of Education began to emphasize the character education because of the violence problem in schools. The revised curriculum that supplemented character education was notified in 2012.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 full shape of character education because of many different perspectives and theories about it. But we need to know that character education could be achieved not in short period, but in long time, and that educators should establish a long term plan of character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music teachers to investigate the academic results of character education that were presented by scholars and specialists. The music curriculum of 2015 contains not only musical aims but also character related elements. This means that contemporary music education of Korea has given music lessons with character building elements in the classes. Then music educators need to know the academic concepts and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contribute effectively through music teaching. Some educators might regard music as a means, not a goal itself, for the character education. The purpose of music teaching is musical development of students. Character education is not a core aim but an associated one of music education. Music teachers should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aims and character-related elements, and apply it in their music lessons with balanced and effective ways. The more systematically music teachers understand character education, the more effectively they can handle character-related elements in the music classes.

      • KCI등재

        음악교육에서의 과정중심 평가 이해

        권덕원 ( Kwon Doug-won ),석문주 ( Seog Moon Joo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0 미래음악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일부 교육학자들 및 교육기관들에서 강조하고 있는 “과정중심의 평가”에 대하여 학문적으로 이해하고, 음악교육에 바르게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일부 학자들은 과정중심의 평가를 매우 새로운 평가방식으로서, 학교에서의 여러 가지 평가 상의 문제, 또는 학습상의 문제를 해결해 줄 것처럼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과정중심 평가는 전혀 새로운 평가방법이 아니며, 이미 관행이 되어 있는 평가 체제, 즉 진단평가-형성평가-총합평가의 체제 속에서, 특히 형성평가를 강조하는 것이다. 음악교육의 평가는 그 자체로 이미 “과정”을 중시하고 있다. 음악은 시간의 예술이고, 시간이 흘러야 학생들의 음악적 능력이 나타나며, 시간의 경과 속에서 비로소 학생들의 음악적 능력을 바르게 평가할 수 있다. 향후 음악교육에서 바람직한 평가의 방향은, 첫째 진단평가를 통하여 학생의 출발점을 파악하고, 둘째,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총합평가를 실시하여 학생의 도달점(성취도, 결과)을 파악하며, 셋째, 진단평가와 총합평가 사이에서 학생의 변화 및 성장 과정을 알 수 있는 내용을 관찰하여 기록하고, 넷째, 학생의 자기평가를 통하여 음악적 변화와 성장의 내면을 파악하며, 다섯째, 학생 간 상호평가를 통하여 동료 관점에서 각 학생의 음악적 변화와 성장을 파악하고, 마지막으로 평가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되, 교사가 조정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실행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valuation based on the process” that recently several educator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ntensely advocate, and to find appreciate directions for music education. Some scholars and teachers introduce the “evaluation based on the process” as a new way for solving problems of evaluation and education in schools. However, it is never new evaluation, only focusing “formative” aspect among diagnostic-formative-summative system of evaluation that most of teachers already know and use. If we focus on the process excessively, ignoring the result of learning, then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the whole shapes and states of students’ learning. Now we know that it is the time to rightly understand the “evaluation based on the process” and to examine proper ways of evaluation in order to reflect the recent feature of music learning, maintaining the nature of music education. In fact, the evaluation of learning in music classes are based on the “process.” Because the music is an art of time, the singing, playing, listening, and creating of students need temporal process. Teachers cannot evaluate students in terms of music without the concept of time or process. Of course, the “process” is important in evaluation of music, but we need more points besides the process: the starting point and the result. In Music education, we should properly apply the diagnosis-formative-summative system of evaluation and various methods such as observation, self-evaluation, and mutual evaluation. These methods might provide us more holistic, internal, and interactive states of students’ learning.

      • KCI등재후보

        음악교사의 PCK에 대한 이해와 적용

        권덕원 ( Kwon Doug-won ),석문주 ( Seog Moon-jo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교사교육연구 Vol.5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PCK(내용교수지식)에 관련된 이론적 내용을 재해석하고, 음악교사의 관점에서 그 적용을 위한 원리와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PCK는 교실에서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교과내용지식(CK)과 교수법지식(PK)을 결합하고 변환시킨 지식이다. PCK는 교과 내용에 따라 달라지므로 음악교과의 내용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고유한` 교수법이며, 특정교과 중심의 교수법이다. PCK의 속성에 관련되는 4가지의 원리와 슐만의 PCK의 6단계-이해, 변환, 수업 실행, 평가, 반성, 새로운 이해와 적용-을 바탕으로 음악 교육에서의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to re-interpre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to represent the principles and methods for the adaption for music teachers. The PCK is a form of teaching knowledge which represents a blending and transforming of the content knowledge (CK) and pedagogical knowledge (PK) to help learners understand classroom instruction. PCK is a unique teaching method that is generated based on music content and the specialized teaching method in certain subjects. Based on the four principles relating to the properties of the PCK and the model of pedagogical reasoning and action of Shulman- comprehension, transformation, proposed a scheme applicable in the instruction, evaluation, reflection, and new comprehension, the application for music education is recommended.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전담 교사들의 갈등 구조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권덕원 ( Kwon Doug Won ),석문주 ( Seog Moon Joo ),이지현 ( Lee Ji Hyun ),이해심 ( Lee Hae Sim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0 미래음악교육연구 Vol.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이론 연구방법론을 따라, 초등학교 음악전담 교사들과의 면담을 토대로, 그들의 교육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음악전담 교사로서의 갈등 구조에 관한 작은 이론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1차 면담에 14명, 2차 면담에 6명, 그리고 3차 면담에 7명이 참여하였다. 1차 면담은 대면으로 진행하였고, 2차와 3차 면담은 비대면으로 진행하였다. 수집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글레이저 방법론을 따라 개방코딩, 선택코딩, 이론적 코딩의 순서로 하였으며, “지속적 비교”와 “포화”를 주요한 방법으로 삼았다. 수집한 데이터에서 출현한 패턴, 개념, 속성, 범주들을 정리하고 상호 관련성을 기준으로 체계화한 결과, 가장 핵심적인 범주는 “음악전담 교사들의 갈등 구조”로 나타났다. 그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두 가지의 개념적 가설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는, 음악전담 교사들은 음악전담 지속동기와 걸림돌요인 사이에서 갈등을 겪고 있으며, 그 갈등의 결과는 “음악전담 지속” 또는 “음악전담 회피”로 나타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둘째는 지속동기가 강한 교사는 음악전담 교사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은 반면, 지속동기가 약하거나 걸림돌요인으로 어려움을 느끼는 정도가 심한 교사들은 음악전담 교사를 포기하고 학급담임 교사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다는 것이었다. 초등학교에서 음악교육 수준의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는 음악전담 교사들은 지속동기와 걸림돌 요인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을 겪고 있다. 그들이 겪고 있는 갈등을 동료와 같은 마음으로 함께 이해하고, 우리가 지금 바로 할 수 있는 것으로 그들의 어려움을 배려해 준다면, 그들이 음악전담을 지속하려는 판단에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data from interviews of elementary music teachers, to analyze the data, and to generate theories about the structure of their conflict based on the method of grounded theory. We, researchers interviewed 27 music teachers. Some of them(14 teachers) were interviewed in tact, the others(13 teachers) were in untact. We implemented open coding, selective coding, theoretical coding, “constant comparison,” and “saturation,” following Glaser’s theoretical position. We gained a wide concept, “the structure of elementary music teachers’ conflict,” as a core category. And two small theories were generated based on the core category. First, elementary music teachers are undergoing inner conflicts between positive motivations and obstacle factors in terms of continuing to be music teachers in schools. And the result is whether they choose to be music teachers in the next year or to be classroom teachers. Second, teachers who have strong positive motivations show tendencies of choosing to be music teachers, but teachers who have weak motivations and perceive obstacle factors as big problems show tendencies of choosing to be classroom teachers. When we try to understand the conflicts of elementary music teachers as good peers, and considerate them thoughtfully with something that we can do right now, the music teachers would concentrate more on the positive motivations in the decision making for continuing to be music teachers.

      • KCI등재

        베넷 리머의 음악 교육 철학에 관한 소고

        권덕원(Doug Won Kwon) 한국음악교육학회 1999 음악교육연구 Vol.18 No.-

        Bennett Reimer established the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as an aesthetic education (MEAE) by writing a book titled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in 1970. Although the book was translated in Korea, we need more studies on his philosophy in order to develop our own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Why do we need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Reimer suggested three reasons. First, music educators can make other people have confidence in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through well developed philosophy. Second, music teachers are able to teach music with firm self-confidence through their own philosophy. Lastly, the refined philosophy provides the music teachers with self-satisfaction in doing their tasks. Reimer used some key concepts in his philosophy: Feeling, insight, and aesthetic experience. Music, according to Reimer, deals with human s feeling that is an important part of human`s thinking. He insisted that it was unreasonable to focus too much on logical/mathematical thinking in the school education, neglecting the aesthetic thinking. Reimer contended that a kind of insight existed in the music. Therefore, Reimer says, we can acquire musical insight through experiencing various music. The meaning of musical work is not completed in itself. The musical meaning could be individualized and diversified whenever each human being has interaction with the music. It means that music exists as an open form. Thus, whoever wants to explore musical meaning can get it by personal experience in music. Reimer called such characteristic as `exploratory aspect of music.` Reimer`s philosophy provides some implications for Korean music education. First, the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in the teacher-education program. Second, Korean music educators should examine the philosophy of school music education in terms of it`s foundation and history. Third, music educators should study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feeling and insight in music, and try to apply the theory about the feeling and insight to general class rooms. Fourth, music-listening class could be advanced by encouraging the aesthetic experience. Fifth, Korean music educators should examine whether the musical concepts could be main objectives or not. Reimer clearly said that musical concepts were only the means of music teaching, not the objectives. Lastly, music educators shoul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yful life and the Music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ome educators` assertion, that is, the Joyful life is totally different subject from the Music, should be re-examined by music educators.

      • KCI등재

        국악분야 학교 예술강사의 효율적인 교과 운영방안

        권덕원 ( Doug Won Kwon ),박주만 ( Joo Man Park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에 목적을 두고 시행되고 있는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에 따른 국악분야 예술강사들의 효율적인 교과 운영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이에 따른 내용으로 첫째, 국악 예술강사의 효율적인 교과 운영을 위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음악 관련 교과서의 내용과 비중을 바탕으로 학교급별 및 학년군별에 따른 국악수업 적정시수를 제시하였다. 둘째, 학교 예술강사 수업운영 측면에서의 예술강사들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학습형태 및 지원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한편, 이러한 운영방안 제시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로는 첫째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에 근거한 학교 음악교과 안에서의 국악수업이 차지하는 적절한 비중을 제시함으로써 국악분야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적합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로, 학교 국악 예술강사의 예술적 전문성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방법 및 교사-예술강사의 교육적 협력체제 구축에 시사점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timum hour of teaching by analyzing the music curriculum, textbooks, and teachers` book and to examine the role of traditional music teachers in the schools. The supporting system of arts teachers for schools has begun in 2000. Traditional music teachers have highly contributed to the schools for 15 years. School teachers and traditional music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optimum hour of traditional music in order to cooperate in teaching traditional music sufficiently in music classes. The co-teaching between school teachers and traditional music teachers is very important for students to learn traditional music pleasantly and sufficiently. If school teachers understand the specialty and experience of traditional music teachers, they could find the effective ways of music instruction. And if traditional music teachers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context of school, they also find better ways of traditional music teaching. The supporting system of traditional music teachers for schools will be advanced through the intimate cooperation between school teachers and traditional music teachers.

      • KCI등재후보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기초한 국악교육의 방향

        권덕원(Kwon Doug-won) 한국국악교육학회 2009 국악교육 Vol.27 No.-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에 개정된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국악 교육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국악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과 방법을 탐색해 보는 데 있다.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크게 활동, 이해, 생활화 영역으로 구분되어있다. 이는 국악 교육에서도 음악적인 활동을 더욱 강조하고, 국악에서 핵심이 되는 개념의 학습을 중시하며, 또한 학생들이 각자의 생활에 국악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해 나가도록 지도하는 것이 기본 방향임을 의미한다. 새로운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국악 교육의 방향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로, 학교 국악 교육은 국악의 본질적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 국악의 특별한 가치를 학생들이 탐색할 수 있는 수업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로, 미래 사회를 대비하여 국악의 창의적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 교사와 학생들은 창작 국악에 대하여 열린 마음을 갖고 국악 수업을 통해 창의적인 능력을 발달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로, 교육을 통하여 국악은 서양음악 및 비서구음악과의 관계에서 구심체적인 역할을 찾아야 한다. 다른 나라의 음악에 대하여 배타적인 자세가 아니라 포용적인 가치관을 갖고 다루 되, 동시에 우리 민족의 음악을 음악 활동에서 중심에 놓을 수 있는 인식이 필요할 것이다. 학생들이 여러 음악을 다양하게 이해하면서 그 중에 국악의 역할과 가치를 올바르게 인식하게 될때, 그들이 성장하여 이루게 될 우리 사회는 음악에 대하여 포괄적인 시야를 가지면서도 동시에 민족의 음악적 가치를 실현하고, 또한 음악이 제 역할을 다 할 수 있는 바람직한 사회가 될 것이다. The school music curriculum was revised in 2007. This new version will have influence on the school music education as well as on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music during 5 year or more.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music in Korea have actually begun in 1980s, and it has reached a stable level in 1990s. The music curriculum of 2007 shows more qualified contents of traditional music, and it encourages music educators to teach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a close attention. I suggest three points as a direction and strategy for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music based the music curriculum of 2007. First, we should explore and teach the indigenous nature and valu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Korean music has a differentiated and peculiar nature and quality that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whole history of Korea. Teacher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need to explore the nature of Korean music and to have students recognize and experienc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usic. Second, we should develop the creative aspects of traditional music and provide for the future. Traditional music until 20th century will not be enough for 21st or 22nd centuries. The next generation will ask for new music. Third, we need to do our best to place Korean music at the center of all music in Korea. Korean music educators need to have a favorable mind to non-Western music as well as Western music. New music curriculum of 2007 suggests that music educators need to have an open attitude for all kinds of music and an introspective sight to our own music.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국악창작교육 개선방안 연구

        권덕원(Kwon, Doug-won) 한국국악교육학회 2014 국악교육 Vol.37 No.37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중에서 국악창작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제시하며, 국악창작 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현재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2009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이 병행되고 있으므로, 그 두 교육과정의 내용을 비교하였고, 3~4학년 및 5~6학년의 검인정 교과서들의 내용을 교육과정의 내용영역을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현재의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에 국악창작 내용이 기본적인 수준에서 제시되고 있지만, ‘창의적 개념에서의 소리탐색’ 활동이나 ‘단계적 가락짓기’ 활동이 매우 미흡한 점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학년군별 창작학습 내용체계’를 제시하였고, 가락짓기 학습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단계모형을 구안하였으며, 그 하나의 사례로 ‘육자배기토리에 기초한 가락짓기 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가락선을 활용하여 창작을 하는 과정에 음높이와 음길이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므로, 그 사례를 제시하였고, 소리탐색 활동의 한 예로 국악기를 ‘예외적인 연주법’으로 소리를 내면서 국악기의 ‘음색적 의미’를 학생들이 인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사들은 국악창작 학습을 위하여 현재의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을 보다 체계적인 수준에서 보완하여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을 알 수 있고, 학생들은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학습 단계를 따라 창작능력을 향상시켜 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se music curriculum, textbooks, and their problems in terms of instructional method of creating music using traditional Idiom, and to provide more desirable teaching method. Two versions of music curriculum(2007, 2009) were compared, and textbooks for 3~6 grades were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ntents and methods were appropriate or not. The results of analysing shows that ‘sound exploring activity’ and ‘composing activity’ were insufficient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s results of this study, contents of creating music, systematic teaching method of composition using Korean traditional idioms, method of creating melody line in accurate mode, and sound exploring activities by playing Korean instrument in uncommon ways. Elementary students might be able to compose music more comfortably, to explore variously musical sounds, and to experience the nature of music by creating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 KCI등재후보

        역량 중심의 국악교육 방안 탐색

        권덕원(Kwon, Doug-won),박주만(Park, Joo-man) 한국국악교육학회 2016 국악교육 Vol.42 No.42

        본 연구는 최근 교육의 핵심 과제로 다루어지고 있는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국악교육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음악교과 역량 증진을 위한 국악수업의 학습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으로는 첫째, 역량 교육에 중점을 두고 고시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강조점을 살펴보았다. 둘째, 핵심역량과 음악수업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음악적 역량을 반영한 국악교육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셋째,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6가지 음악교과 핵심역량(음악적 감성 역량, 음악적 창의 · 융합 사고역량, 음악적 소통 역량, 문화적 공동체 역량, 음악정보처리 역량, 자기관리 역량)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및 교과서 재구성을 통해 역량 증진을 위한 초등학교 국악수업의 실제적인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최근 개정된 교육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역량 중심 교육은 학교에서 배운 능력을 학습자들이 현실 속에서 보다 구체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시사점을 갖는다. 그러나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역량 요소의 음악교과 측면에서의 적합성에 대한 논의와 연구는 앞으로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교과 역량이 함양되기 위해서는 학교 음악수업에서 역량을 충분히 반영한 활동적인 교수 · 학습활동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해 무엇보다 역량에 대한 개념을 바르게 이해하고, 그 개념을 국악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적절하게 적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역량 증진을 위한 국악수업 지도안 개발 과정에서는 학습주제를 선정한 후 성취기준에 따라 학습목표와 교과 역량을 설정하고 음악적 역량별로 학습내용을 재구성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수업을 통하여 구현하고자 하는 교과역량요소에 적합한 학습형태와 방법을 찾는 것이 역량 중심 국악수업의 토대가 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tency of students and the teaching of traditional music, and to provide instructional methods for competency building through classroom lessons of that music. We investigate the features of the music curriculum of 2015, analytically examine how to apply the competency based learning to the teach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the elementary school level. Also we provide practical lesson plans of traditional music teaching based on six competencies(musical sensibility, musical creativity and integration, musical communication, cultural community spirit, musical information technology, and self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we, music educators need to apply the recent trend of competency based education to the teach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at we need to investigate the proper ways of connecting various competencies to our daily music teaching, especially to our traditional music lessons. Lastly, this study provided six lesson plans of traditional music teaching based on each competency. The result of this study might give music teachers an insight and sample methods about the competency based music education and traditional music teach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