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한 과학기술협력에 대한 연구

        권기석(Kwon Ki-seok) 한국과학기술학회 2003 과학기술학연구 Vol.3 No.2

        최근 남북한 과학기술협력에 대한 정부, 민간, 학계의 관심이 고조되어 있다. 그러나 남북한 과학기술협력에 대한 이론적인 분석은, 현황보고나 사례분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남북한 과학기술협력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남북한 과학기술협력의 특수성을 논의하여 다양한 측면을 드러내고, 다양한 측면을 설명할 수 있는 제이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여러 이론을 통합적 시각으로 구성해 보고 통합적 시각을 국가의 측면과 통합의 측면, 기술의 측면으로 나누었다. 이에 기반을 두어 남북한 과학기술협력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고 향후 협력방향을 도출해 보았다. 이를 통하여 남북한 과학기술협력은 단기적인 경제적 이윤의 창출을 위한 도구가 아닌 향후 통합될 남북한 과학기술체제라는 관점을 염두에 두면서 여러 정책수단을 추진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통합적 시각은 다양한 수준과 범위의 이론을 종합하는 데 중점을 두어 새로운 분석개념을 제시하는 데에는 미흡하였으며, 이를 향후 연구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Inter-Korean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will contribute to building the trust between S.K and N.K as a leading factor and cut down the cost of unification by diminishing the technology lag and the gap of economic level. This study has shown that we can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Unified Korea Innovation system if we systematically analys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Inter-Korean Cooperation and promote Inter-Korean Cooperation. In this study, the author analyse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Inter-Korean Cooperation with integrated framework of three aspects to clear up the policy of Inter-Korean Cooperation. First, in the national aspect, we make use of the no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multilateral mechanism of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ereafter, we make out the alternatives in the aspects of international relationship and legal and institutional view. Second, in the unification aspect, we consider the Inter-Korean Cooperation by the notion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 Thereafter, we make out the alternative in the aspect of a phase-dependent approach. Finally, in technology aspect, we consider the Inter-Korean Cooperation by the notion of technology gap, the framework of technology transfer, and technology dependency theory. As a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have tried to integrate the various theoretical backgrounds. As a result, the author could analyse the present condition of Inter-Korean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learn a good lesson from it; Therefore, we can use it as a means of evaluation on a cooperation program and prediction for the future status of cooperation.

      • KCI등재

        공공부문 연구개발직의 도전과 기회 : 정부출연연구소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 탐색

        권기석(Kwon, Ki-Seok) 한국혁신학회 2019 한국혁신학회지 Vol.14 No.3

        과학기술계 고급인력은 국가혁신체제(NIS)의 가장 중요한 미시적 요소 중 하나로서 기술혁신의 필수적인 새로운 지식의 공급은 물론 최근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원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자들은 대학의 연구역량 상승 등 환경 변화로 새로운 역할변화의 전기를 맞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이들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향후 미래 변화 양상을 파악하여 새로운 변화 전략의 시사점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먼저 정부출연연구소 연구개발체제의 진화와 특징을 파악해 내고, 문헌검토에서 과학기술 및 직업의 미래에 대한 선행연구를 정리하였다. 또한 직업 및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기존 연구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별 및 집단 인터뷰를 통해 질적 자료를 확보하고, 인터뷰 분석을 바탕으로 정부출연연구소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를 탐색해 보았다. 분석을 통해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자의 현재에 있어, 과학기술, 조직, 사회경제 등 세 수준에서 중요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과학기술에 있어서는 연구 외에도 다양한 직접적 간접적 관련 업무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적 측면에서는 정부출연연구소 조직의 임무와 역할에 대한 비판과 향후 처방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사회경제적 측면에서는 강한 자부심에 비하여, 사회적 지위, 경제적 처우에 다소 불만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자의 미래에 있어, 과학기술, 조직, 사회경제적 수준에서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기술적 측면에 있어서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이 연구의 현장을 혁신적으로 바꾸어 놓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조직적 측면에서 있어서는 중장기적으로 사회경제적 보상과 인구 감소가 인력의 공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veil the conditions and environments of researchers’ activities in public research institutes in South Korea. To do this, 12 researchers in the field of sciences and policy areas are interview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interviews, we have found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the researchers. On the one hand, the researchers are suffering from the various demands from the government and the society. Moreover, the organizational identity of the institutes has been questioned continuously due to its ambiguous mission. Thus,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researchers has been steadily degenerated since the last half century. On the other hand, upcoming cutting-edge research areas such as AI and Big Data are expected to, they believe, radically innovate the research field activities of the scientists in the institutes. However, the organizational goals are still at the cross road between enlargement of public role and intensive contribution to the economy. Moreover, decreasing population and worse socio-economic status also are recognized as threats to their job stability. Based on the findings above, we put forward some policy implications. Firstly, an fundamental change is required regarding the government’s role enhancing autonomy of researchers in the public research institutes. Secondly, the researchers’ identity as a scientist are needed to be rebuilt considering their internal compensation. Thirdly, the organizational reformation should be carried out based on the unique strengths of public institutes such as team work and generic technology forces.

      • 경제추격국 과학기술의 공공성과 상업성

        권기석(Kwon, Ki-Seok),정석봉(Jeong, Seok-Bong),한동성(Han, Dong-Seung) 한국의사결정학회 2012 의사결정학연구 Vol.20 No.1

        최근 대학의 연구 역량이 기술혁신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널리 인식되면서 이에 따른 과학의 국가경제에 대한 기여 강화가 선진국은 물론 개도국에서도 중요한 정책이슈로 부각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다양한 대학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강화에도 불구하고, 어떤 관점에서 산학협력이 의미 있게 자리매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선진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의 경제 기여 내지 상업적 활동과 학술적 연구 활동간 관계에 대한 경험적 연구와 이론적 논의를 과학의 공공성과 상업성, 이 양자간 보완론과 대체론으로 대별시켜 검토해보았다. 보완론은 자원효과와 마태효과 등을 통해 특허나 논문 활동이 서로 선순환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설명한다. 반면, 대체론은 과학자 사회의 근본규범이 비공개문제와 왜곡효과 등으로 논문으로 대변되는 과학활동이 위축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개발도상국의 관점과 경제적 추격(economic catch-up)을 반세기만에 성취한 한국의 상황을 고려하여 과학기술의 발전을 공공성과 상업성이라는 두 축에서 어떻게 자리매김하여야 하는지 논의해 보았다. In this paper, theoretical and empirical issu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ness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re addressed. In particular, a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on research and entrepreneurial activities of public science is introduced. Moreover, the two contrasting views on the close interaction between the academic research and direct contributions to the economy in industrialized countries are discussed. Finally, the application of the two issues presented i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developing countries. Based on this review, it is tempting to conclude that universities in catch-up countries and South Korea have developed their own academic system different from those in developed countries,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having strong government control and a high level of contribution to the economy. In the era of the knowledge based econom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eeds to develop the scientists’ autonomy as well as their interaction with other actors in the national innovation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미 항공우주국 (NASA)의 전략기획에 대한 사례 연구

        권기석(Kwon Ki-seok),이규현(Lee Kyu Hyun) 한국과학기술학회 2004 과학기술학연구 Vol.4 No.2

        본 연구에서는 미 항공우주국 (NASA)의 전략기획을 공공 연구개발 조직의 전략기획 이란 관점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략경영과 전략기획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 공공부문에서의 적용, 연구개발조직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공공 연구개발 조직의 전략경영 및 전략기획의 분석틀을 제시해 보았다. 그리고 구성된 틀에 의하여 미 항공우주국과 산하 연구소인 고다드 우주비행 센터의 전략기획 과정과 특징을 분석 하였다. 이에 의하면 공공연구개발 조직에서 전략기획을 수행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민간부문의 전략기획 과정과 공공부문의 전략기획 과정의 차이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둘째, 전략의 수립과정에 있어 기관과 외부의 이해관계자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한다. 셋째, 연구개발의 사회경제적 효과의 확인과 측정, 그것의 기관 목표설정으로의 환류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넷째, 전략기획이 조직 내에서 실질적인 효과를 가지려면 경영목표 예산, 기관평가 등 기존의 기관 운영시스템과 긴밀하게 연결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들이 잘 고려되어 도입에 성공한다면, 연구개발기관의 고유 임무 특성에 맞는 운영과 평가가 가능해 질 것이다. 향후 보다 적실성 있는 연구결과를 위해서는 실제 공공연구개발기관의 전략경영 과정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성과지표 등에 대한 유형별 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실제 관련 실행 사례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축적함으로써 다양한 시사점들이 종합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strategic planning process of 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including its center, GSFC (Goddard Space Flight Center) in the framework of strategic planning in publicly funded R&D organizations. To construct this framework, theories have been considered mainly focused on strategic management and planning, its application on public sector, and characteristics of R&D activities. As a result, the framework could be set up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 of strategic planning. Also, as a case study, we explored the practice of strategic planning process and organizational implementation of NASA and GSFC During the analysis on the strategic process of NASA and GSFC, we could draw some lessons out as follows: First, we should consider the differences between private and public sectors when we establish strategic planning in public sector. Second, the stakeholder analysis should be involved in setting the mission, goals, and strategies of an organiz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assess the socio-economic effects or public benefits by R&D programs of the organization and use the feedback on its goal. Fourth, to implement strategic planning effectively, planning process should be closely integrated with the management process such as setting goals, securing budgets, and evaluating the organization. Conclusively, the analysis on NASA and GSFC contribute to implementing strategic planning in publicly funded R&D organizations by providing the appropriately modified framework. As an extension of this study, more deliberate analysis on various practices of strategic planning and performance indicators should be followed.

      • 기초연구 우수성과 확산을 위한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권기석(Kwon, Ki-Seok),김현우(Hyun-Woo Kim),한동성(Han, Dong-Seung),윤협상(Yoon Hyoup-Sang) 한국의사결정학회 2012 의사결정학연구 Vol.20 No.1

        기초연구는 지적능력 향상에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고 이의 확산을 통해 국가경제발전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특히 과학기술에 의한 국가경쟁력의 확보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기초과학 연구성과를 관리·활용하여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산업화로 연결시켜 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연구 우수성과 확산을 위한 전략 수립을 위해 기초연구사업에 참여한 연구자를 대상으로 기초연구 우수성과 확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한다. Basic research produces the knowledge for enhancing innovation capability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s economy and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through its diffusing. Therefore, many countries have tried to promot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and to enhance connectedness between ministries’ R&D programs for diffusing the benefits of basic research. Against this background, we investigate appropriate strategies by implementing survey analysis in this paper. Based on the results, we put forward some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한의학 연구동향에 대한 사회연결망분석

        권기석(Ki-Seok Kwon),이준혁(Junhyeok Yi),이주연(Juyeon Lee),채성욱(Sungwook Chae),한동성(Dong Seong Ha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 기술혁신학회지 Vol.17 No.2

        본 논문에서는 KCI(한국학술지인용색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한의학 분야 연구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기술통계분석 결과에 의하면, 한의학분야 논문은 증가하다가 2008년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이며 논문 저자수도 이와 같은 추세를 보여 주었다. 동의생리병리학회지가 가장 많은 논문을 생산하고 있고, 핵심어의 경우 acupunture가 월등한 빈도수 차이로 1위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의 형태와 중심성 수치를 통해 네트워크의 중심과 핵심그룹을 파악하였고, 연도별 비교를 통해서 네트워크의 모습과 중심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 수 있었다. 학술지 네트워크의 경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대한한의학회지 등이 핵심적인 그룹을 형성하였고, 그 중 한의학연구원논문집이 최근에 중심적 위치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기관 네트워크에서는 경희대학교가 가장 중심에 있으며, 최근 한의학연구원의 중심성이 커졌다. 핵심어 네트워크를 통해 한의학 연구가 질환의 기전과 치료로 양분되어 수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회연결망분석의 결과를 통해 심층적인 연구동향을 파악할 수 있어서 연구동향 분석에서 전문가 식견에 의한 동향분석 방법과 서로 연계되는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medicine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To do this, a dataset has been collected from KCI (Korea Citation Index) database. According to the results, we have identify the longitudinal trend of the number of papers, journals, organizations and key words in this field. Moreover, based on the nodes’ centrality of co-author network, we have found a core journal (i.e.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and Pathology), a hub institution (i.e. Kyunghee university) and two main key words (i.e. anti-oxidation and acupuncture) in the research network. In conclusion, integrating field experts’ tacit knowledge in Korean medicine studies with the results of the explicit social network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 we put forward further policy implications with regard to R&D strategies in this field.

      • KCI등재

        과학기술정책 연구와 사회, 정부

        권기석(Ki-Seok Kwon),정서화(Seohwa Jeong),이찬구(Yi, Chan-Goo)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과학기술정책 연구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이래 과학기술을 둘러싼 사회이슈, 학술연구, 과학기술정책이 어떻게 상호작용해 왔는지 탐색하는 데에 있다. 과학기술정책 연구가 시대적 수요를 얼마나 수용해 왔는지, 문제해결을 위해 얼마나 적절하게 대응해 왔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크게 사회이슈, 학술연구, 그리고 과학기술정책의 텍스트에 대한 네트워크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과거 20년 동안 과학기술 관련 언론 기사를 중심으로 사회이슈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과학기술정책 연구논문과 정부문서를 각각 분석해봄으로써 사회문제로 제기된 과학기술 관련 정책수요들이 연구를 통해 정부정책으로 이어졌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기술정책 연구는 통합적인 시각보다는 주로 급변하는 기술혁신에 발 빠르게 움직이는 단편적 연구가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음 시기에서는 연구주제의 성숙도를 높이면서, 사회적 반응성을 높이는 공진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삼자간 시차 현상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과학기술정책 연구는 기존의 미시수준의 연구에서 중범위와 거시수준으로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과학기술의 정책과정과 공공관리에 관심을 가져야하며, 사회적 이슈에 대한 민감성을 높이는 정책의제설정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interactive pattern among social issue, academic research, and governmental policy on science and technology during the last 20 years. In particular, we try understand wether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research and governmental policy meets social needs appropriately. In order to do this, we have collected text data from news articles, papers, and governmental documents. Based on these data, social network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results, we have found that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researches tend to focus on fragmented technological innovation meeting urgent practical needs at the initial stage. However, recentl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research shows co-evolutionary patterns responding to society. Furthermore, time lag also has been observed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among the three bodies. Based on these results, we put forward some suggestions for upcoming researches i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Firstly, analysis levels are needed to be shifted from micro level to mezo or macro level. Secondly, more research efforts are required to be focused on policy process in science technology and its public management. Finally, we have to enhance the sensitiveness to social issues through studies on agenda setting i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 KCI등재

        正祖 御定·命撰書의 간행과 국가적 역량의 효과적 활용

        권기석(Kwon, Ki-seo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 장서각 Vol.- No.45

        정조는 재위 기간 중 방대한 편찬 사업을 이끌어가면서 저술과 교정, 그리고 頒賜까지 작업의 전 과정을 직접 관여하며 전국적 규모의 간행 역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群書標記』에 수록된 御定·命撰書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간행 방식 선택의 추이를 살펴보았는데, 광범위한 활용성과 장기 전승의 목적성이 큰 분야일수록 刊本의 비중이 컸고, 그러한 분야로 법제·사법, 의례, 문학, 문집·유사·실기, 병학·무예 등이 있었다. 보급의 수요가 커질수록, 활자보다는 목판을 선택하였고, 수요가 매우 큰 경우 양자를 병행하기도 하였다. 어정·명찬서의 독자층을 분석해 본 결과, 왕실, 관원, 民人을 대상으로 한 경우 간본의 비중이 높았고, 일부 실무 관료에게 집중적으로 보급할 전문서도 다수 간본으로 나온 것이 확인된다. 지방의 민인에게까지 광범위하게 보급하고자 한 서적은 활자본과 번각 목판본이 병행되었다. 어정·명찬서는 중앙정부에서 저술되었으나, 간행처를 분석해 보면 인출과 보급은 중앙과 지방의 협업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지방의 간행 분담은 기본적으로 널리 보급하기 위한 목적이었으나, 중앙의 수요를 분담하거나 해당 지역에 板木을 배치하여 오래 보존하려는 의도도 있었다. 일부 전문서적이나 병서를 관련 관청이나 군영에서 인출을 담당하도록 하여, 간행처와 활용처를 일치시키고 효과적 서적 보급을 기대하기도 하였다. During his reign, King Jeongjo (正祖) led a massive compilation project, taking care of the entire process of writing, proofreading, and distribution of the published works. Among them, not only central government offices such as Gyujanggak (奎章閣) and Gyoseogwan (校書館), but also local administrative offices including Gamyeong (監營) were responsible for the publication of books and their nationwide distribution. In this paper, I categorized by subject Eojeongseo (御定書) and Myeongchanseo (命撰書), the works compiled by Jeongjo, recorded in Gunseo Pyogi (群書標記) and then investigated into various publication methods used by them. As a result, even within the same subject classification, different publication methods were us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books. The wider the use of books and the greater the need for long-term transmission,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choose printing rather than transcribing. The major areas of publication were legislation, justice, ceremonies, literature, literary collection, biographies, and military science. As the demand for book distribution grew, woodblock was preferred than movable type as a means of printing, and when demand for book publication was very high, both moveable type and woodblock were used. As for the readership of Eojeongseo and Myeongchanseo,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royal families, government officials, private Confucian scholars, and the common people. The printed version was produced mainly for the royal family,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people. Meanwhile, there are many printed copies of books targeted for private Confucian scholars, not limited to bureaucrats, so we can confirm that King Jeongjo’s intention of publication was to train people of letters. A number of specialized books were also printed, which were mainly for working-level officials. Books to be widely distributed to local people were often first published in moveable type and then reprinted using woodblock. Since Eojeongseo and Myeongchanseo were compiled by the king, the central government was in charge of writing and editing these works. However, investigation into the place of publication found that the publishing process was done in collaboration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division of printing to local government offices was basically aimed at making books widely available to the mass, but it was also intended to preserve woodblocks for a long time in each province. Meanwhile, some technical books were produced and printed by related government offices. This practice was intended to effectively match supply with demand for such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