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균등발전의 극복전략으로서 네트워크 도시 논의의 비판적 검토

        권규상(Kwon, Kyusang) 한국공간환경학회 2018 공간과 사회 Vol.28 No.4

        이 논문은 불균등 발전의 극복전략으로서 네트워크 도시 개념의 국내 적용방안을 탐색한 최병두의 저작들을 최근의 실증적 연구결과를 통해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병두는 네트워크 도시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도시 간 실질적인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행정이나 정치적 실천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네트워크 도시 이론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접근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네트워크 도시의 규범성을 검증의 대상이 아닌 지향해야 할 목표로 인식하면서 여전히 무엇이 바람직한 네트워크 도시의 모습인지에 대한 결론을 유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도시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들(규모 유사성, 흐름의 균 등성, 집적경제의 대체제로서 네트워크 경제)을 최근의 실증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판적으로 재검토함으로써 시공간적 맥락에 따라 각 요소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도시에 함의된 규범성은 검증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 한다. 하지만 네트워크 도시 구현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를 헤게모니적 거버넌스로 이해하는 최병두의 주장은 네트워크에 내재된 권력과 정치적 속성을 잘 드러내 고 있으며 네트워크 도시의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과 결합될 때 상당한 이론적 진전을 이끌어낼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review Choi Byung-Doo’s works exploring the application of the network city concept as a strategy to overcome uneven development through the recent empirical studies. Choi emphasized the need for administrative and political practices that can lead to substantial cooperation between cities in order for network cities to function effectively. However, despite the critical approach to the limitations of the network city theory, he considered the normativity of the network city as a goal to be aimed at, and still reserves the conclusion about what is the desirable structure of the network city. Through critical reviewing the three components of network city (size similarity, flow evenness, network economy as an alternative to agglomeration economy), this paper argues that the network city should be treated as a object of verification because the effects of each factor depend on the spatio-temporal contexts. However, Choi’s argument that cooperative governance in the network city theory should be considered as hegemonic governance reveals the power and political attributes inherent in the network and draws considerable theoretical progress when combined with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network cities.

      • KCI등재

        정보사회의 권력관계와 대항권력의 형성

        권규상(Kyusang Kwon) 한국정보사회학회 2012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 No.23

        본 논문은 시공간적 차원을 고려하여 정보사회의 권력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보사회에서 시민들이 어떻게 국가권력을 효과적으로 견제하기 위한 대항권력을 형성할 수 있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역사적으로 국가는 정보수집과 생성, 확산수단을 독점하였으나, 정보사회에서 정보와 지식의 개념이 바뀌고 정보기술이 발전하면서 코드와 소프트웨어를 생산하고 활용하는 기업이 기존에 국가가 지닌 정보수집 및 생성, 확산수단을 더 이상 독점할 수 없게 함으로써 기존의 권력구도에 변화가 발생한다. 실제로 정보사회를 구성하는 국가와 기업, 시민과 같은 각각의 행위자는 위와 같은 변화 속에서 서로 다른 수단을 통해 상대방을 견제하면서 권력관계를 구축하며, 개별 행위자들 간 협력을 통해 특정 지배 권력에 대한 대항권력을 형성한다. 특히 국가에 대한 견제에 있어서 기술-법적규제의 시차나 지리적 스케일에 따른 권력의 공간적 한계와 같은 시공간적 측면은 권력의 행사와 견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최근의 팟캐스트 방송 ‘나는 꼼수다’는 이러한 정보사회의 권력관계 변화를 시공간적 측면에서 잘 드러내주는 사례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개별 행위자에 대한 정태적인 정보사회 권력관계 분석을 시공간적 차원에서 파악하고 이들 간의 협력과 상호작용이라는 틀 속에서 분석하려는 시도로서 그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power relationship in information society and the possibility of citizens’ resistance against the state power through spatial and temporal perspective. Given the state, firms, and citizens as agents in information society, there is the strained relationship among them which are using different means to exercise and maintain their power. In addition, a specific agent can be more effectively controlled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rest of agents. Especially, spatio-temporal aspects such as technology-law time-lag or geographical scale reveal that states or firms cannot control the whole space and time and therefore the citizens can make the resistance against the states power or codes of firms. Through the case study of “I’m a Petty-Minded Creep”, one of audio Pot-cast contents, we confirm that these spatio-temporal aspects actually play an important role to form the citizens’ resistance against the state power. We also have to notice the fact that the popularization of smart-phone and social network service(SNS) can unify the citizens by having the public pay more attention to political issues. Overall, the results show that the power relation in information society is very dynamic and continuously changing.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도시 네트워크의 규범적 개념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권규상 ( Kyusang Kwon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6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9 No.2

        This paper reviews the existing literature and criticizes the concept of urban network with respect to the affirmative and normative conceptualization. Presenting a brief history of urban network theory, this paper argues that the concept was introduced for, first, understanding the ontology of city in a perspective of relational space, second, examining the urban system through critiques to central place theory and finally, explaining the network economy as a new source of urban growth. However, through the process of uncritical acceptance of network concept from organization theory, the urban network has become inconsistent with the empirical evidence. In particular, due to normative conceptualization of urban network, various forms of intercity relations cannot be well understood by this concept. This paper argues that the urban network concept needs to be considered an analytical tool and object itself rather than a normative agenda.

      • KCI등재

        세계도시 네트워크에서 위치 찾기: 네트워크 위치성과 도시 경제성장 간 관계에 관한 시론적 연구

        권규상 ( Kyusang Kwon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8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1 No.1

        This study argues that to explain the economic prosperity of the city in the world city network,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city’s positionality as a way of distributing value created among cities in the network. Participation in the network itself means the co-production of economic value but it does not explain how the value is distributed. Based on Sheppard’s concept of positionality and exchange theory, power and dependency indices are proposed to explain the bargaining power between the city and transnational corporations in value capturing proces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U.S. metropolitan statistical areas shows that when the power index of the city is high or the dependency index is low, it can receive higher wages than other cities. By empirically examining how the city’s positionality in the world city network makes a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urban economic growth,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debate on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the world city network.

      • KCI우수등재

        네트워크 커뮤니티 발견법을 활용한 기능지역 구분의 의미와 효용성

        권규상(Kyusang Kwon) 대한지리학회 2019 대한지리학회지 Vol.54 No.3

        본 연구는 네트워크 커뮤니티 발견법을 활용한 지역구분방법을 기존 지역구분 방법들과 비교하여 커뮤니티 발견법을 활용한 기능지역 구분의 의미와 효용성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네트워크 커뮤니티 발견법은 기존의 기능지역 분석방법과 같이 중심과 주변을 구분하거나 임의적 기준에 따라 기능지역을 도출하지 않고 공간단위 간 합역 여부와 최종적인 기능지역의 개수도 모형에서 결정된다는 점에서 분석과정의 임의성을 배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기능지역 구분의 대표적 방법 중 하나인 지역노동시장권과 커뮤니티 발견법을 우리나라 시·군 단위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본 연구는 지역의 다중심성을 연구할 경우 커뮤니티 발견법이 해당 개념의 내용을 보다 적절하게 반영하는 방법론이라고 주장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and usefulness of community detection method for delimitating functional regions by comparing with the existing methods for delineation of functional regions. The community detection method differs from the existing methods in that there is no assumption about arbitrary criterion and core-periphery structure. It is advantageous to identify functional regions without ex ante information. Comparing the functional regions identified by the local labor market method and the community detection method at a city and county scale, I argue that the community detection method has an advantage when examining the concepts of polycentric urban region or network city.

      • KCI등재

        기업 간 거래망에 기초한 기능적 경제권의 설정

        박소현,권규상,박소영,Park, Sohyun,Kwon, Kyusang,Park, Soyoung 한국경제지리학회 2020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3 No.1

        The study aims to identify economic interdependencies between regions and define functional economic areas of Korea by analyzing inter-firm transaction networks. Previous research has relied on pre-given administrative boundaries or cultural homogeneity and used data such as commuting, population movement, and cargo flows which could not fully explain economic activit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is study applies a community detection method to inter-firm transaction networks derived from the CRETOP+ database of Korean corporate data. The novel dataset and the network analysis enables us to identify Korea's functional economic areas based on actual inter-firm linkage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six to seven economic blocs in the networks as of 2018. In particular, one huge economic bloc is formed integrating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hungcheong, and Gangwon provinces. Meanwhile, North Jeolla and South Jeolla provinces form two economic blocs separately rather than being tied up in one bloc due to the low frequency of transactions between each other. The two big economic blocs of Daegu-Gyeongbuk and Busan-Gyeongnam exist, and interestingly, Ulsan, Gyeongju, and Pohang form a separate middle-sized bloc across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futur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based on functional economic areas derived from empirical data.

      • KCI등재

        G2SFCA와 I2SFCA 모델을 활용한 서울시 대피소 접근성 및 혼잡도 분석

        서재준 ( Jaejun Seo ),권규상 ( Kyusang Kwon ) 한국도시지리학회 2024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7 No.3

        기후 위기와 도시 고밀화 등으로 인해 재난의 피해 규모는 예측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대피소 지정 및 관리 체계가 미흡한 상황이다. 특히 인구 밀집 지역에서는 특정 대피소로의 과도한 집중이 2차 피해를 초래할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접근성과 혼잡도를 평가하고 접근성이 낮거나 혼잡도가 높은 지역에 대피소 증설 등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인구 밀도가 높은 서울시를 대상으로 G2SFCA와 I2SFCA 모형을 활용해 두 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대피소별 접근성과 혼잡도를 측정하였다. 시나리오 1에서는 행정경계를 넘어 대피소로 이동이 가능한 경우를, 시나리오 2에서는 행정경계 내에서만 이동이 가능한 경우를 가정하였다. 분석 결과, 시나리오 1의 경우 지역 간 접근성과 혼잡도가 균등하였으나 시나리오 2에서는 지역 간 접근성과 혼잡도가 상대적으로 불균등한 경향을 나타냈다. 이 연구는 고밀 도시인 서울을 대상으로 하여 대피소를 접근성, 혼잡도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재난 상황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scale of disasters is becoming increasingly unpredictable due to the climate crisis and urban densification. However, in South Korea, the system for designating and managing shelters is inadequate. Especially in densely populated areas, there is a risk that over-concentration in certain shelters may cause secondary dam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ssess accessibility and crowdedness and minimize damage by expanding shelters in inaccessible or overcrowded areas. In this study, two scenarios were set up using the G2SFCA and I2SFCA models to measure the accessibility and crowdedness of shelters in Seoul, a densely populated city. Scenario 1 assumes that people can travel to shelters across administrative boundaries, while Scenario 2 assumes that people can only travel within administrative boundaries. The analysis showed that in Scenario 1, accessibility and crowdedness were equalized across regions, but in Scenario 2, accessibility and crowdedness tended to be relatively unequal across reg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minimizing human casualties in disaster situations by analyzing shelters in terms of accessibility and crowdedness in Seoul, a dense city, in an integrated manner.

      • KCI등재

        비선호시설의 영역성에 관한 고찰: 보라매 적환장을 사례로

        송아현 ( Ahyun Song ),권규상 ( Kyusang Kwon ) 한국도시지리학회 2021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4 No.2

        We examine the territoriality of locally unwanted facilities using a case study of Boramae waste transfer station (BWTS). Previous studies on locally unwanted facilities have paid less attention to the changes in conflicts over location of facilities as they are often trapped into a methodological territorialism that perceives a territory as being self-closed and fixed. Through considering territory as the effect of network proposed by Joe Painter, we argue that conflicts over the location and operation of locally unwanted facilities should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the 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through constant changes in the network among various actors under the specific geographical and historical conditions. The territory of BWTS was produced by engagement between Gwanak-gu and Dongjak-gu government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waste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owever, faced with complaints from nearby residents, Dongjak-gu made connections to other actors, leading to subsequent reterritorializat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bate on the geography of waste and locally unwanted facilities through analyzing the territoriality of BWTS in the perspective of territory as the effect of net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