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상위 언어 개념의 다문화가족 유아 교육 적용에 관한 기초 연구

        구지민 ( Ji Min Gu ),김한샘 ( Han Saem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49 No.-

        다문화가족은 가족 내에 두 개 이상의 문화가 혼합 또는 결합된 가족이다. 이렇게 언어적 배경을 달리하는 가족원들이 결합할 경우 가족원들 사 이에서 2개 이상의 언어가 사용되는 것은 당연하다. 본 연구에서 다문화 가족 유아의 언어 교육을 논하기 위해 도입하고자 하는 ``상위 언어 (meta-language)``는 특정한 언어 구조와는 상관없는 언어에 대한 일반적 지식, 언어를 사용할 줄 아는 지식이 아닌, 언어 지식을 사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상위 언어 능력이 우수한 유아는 다른 사람의 발음을 듣고 식별하는것, 어휘 의미를 이해하고 사용하며 문장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구성 하는 것, 사고력을 동반하는 읽기와 쓰기 과제 등을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다문화가족 유아의 한국어 능력은 일반 가정 유아에 비하여 뒤처질 우려 가 크지만 이들의 상위 언어 능력은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다. 다문화가 족 유아의 상위 언어 능력을 살핀다면,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다문화가족 유아의 언어 능력 뒤에 숨겨진 이면을 파악할 수 있다. 다문화가족 유아의 언어 능력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은 한국어 능력의 부진 여부로 논의하던 지금까지의 이차원적 접근을 벗어나 연구의 기조를 다른 방향으로 이끄는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다문화가족 유아의 언어 교육에 큰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사회적 맥락, 특히 가족적 이중 언어 환경과 상위 언어 습득 에 초점을 기울인다. 언어 습득을 위한 상호 작용의 선결 조건이 불충분하 게 충족된다면 목표어 능력뿐 아니라 상위 언어 능력에도 영향을 미칠 것 이므로, 한국적 환경에서 어떠한 조건이 다문화가족 유아의 상위 언어 능 력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요인을 발견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가족 내에서 ``역동성이 구현되는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이러한 다양한 양상에 따른 다문화가족 유아의 언어 발달 상황을 살펴보고 상위 언어 개념의 도 입을 기반으로 다문화가족 유아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정책을 제안 하기 위한 첫걸음을 시도하고자 한다. 다문화가족 유아의 상위 언어 능력 을 다각적으로 밝히는 것은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이들의 언어 능력에 숨 겨진 이면을 보는 것으로, 결과에 따라 이들의 언어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meta-language and discuss the ways of applying it to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meaning of meta-language as the meta-cognition is complex in aspect of meta-linguistic knowledge, ability and awareness. This paper mentioned the importance of acquisition of meta-language in social context, especially in bilingual settings, and suggests meta-language ability measurement model in bilingual environment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four bilingual settings on meta-language ability and the effect of meta-language ability on Proficiency in Korean and Learning ability. For effective experiment, Ricciardelli(1993)``s Form-Meaning Judgement, Word Renaming and Grammar Judgement Tasks were modified considering the linguistic nature of Korean and, then, used to measure three meta-linguistic domains:phonological, word, and syntactic awareness. To find out meta-language ability of early childhood in multi-cultural families multi-dimensionally indicates the hidden side of their external linguistic competence, and it expects greater implications i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Fomitopsis pinicola 균사체로부터 Endoglucanase의 최적생산

        구지민 ( Ji Min Gu ),박상신 ( Sang Shin Par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3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1 No.2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MKACC 54347) 의 균사체로부터 endoglucanase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복합배지 중 MSM이 가장 높은 endoglucanase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SM의 성분과 농도를 각각 2.0% CMC, 2.0% yeast extract, 0.2% KH2PO4, 0.03% MnSO4 및 0.3% trace metal 용액으로 첨가하였을 때 효소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F. pinicola로부터 endoglucanase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 배지조건은 2.0% CMC, 2.0% yeast extract, 0.2% KH2PO4, 0.03% MnSO4 및 0.3% trace metal 용액이다. 이상의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온도 25oC에서 8일 동안 배양하였을 때 최대로 효소 활성이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CMC를 기질로 사용한 activity staining의 결과를 통해 F. pinicola 균사체의 endoglucanase 활성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분자량이 43-70 kDa 임을 확인하였고, 배양액 중의 효소활성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pH 5.0과 55oC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culture conditions to maximize the production of endoglucanase (EC 3.2.1.4) from the brown rot fungus Fomitopsis pinicola MKACC 54347 mycelia were investigated. Among the tested media for endoglucanase production, Mandel`s mineral salts medium (MSM; 1% cellulose, 0.1% peptone, 0.14% (NH4)2SO4, 0.03% urea, 0.2% KH2PO4, 0.03% MgSO4·7H2O, 0.03% CaCl2, and 0.1% trace metal solution (19.8 mM FeSO4, 13.0 mM MnSO4, 12.2 mM ZnSO4, and 15.4 mM CoCl2)) produced the highest activity of the enzyme. To optimize the medium composition for enzyme activity, the effects of various carbon, nitrogen, phosphorus, and inorganic sources were investigated in MSM. Maximal enzyme production was accomplished using a medium containing 2% carboxymethyl cellulose (CMC), 2% yeast extract, 0.2% KH2PO4, 0.03% MnSO4, and 0.3% trace metal solution. Different physiological conditions, like incubation period and temperature, were also examined to assess their influence on enzyme production. Enzyme production from F. pinicola reached its highest level after cultivation for 8 days at 25oC. Nondenaturing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PAGE), followed by the endoglucanase activity staining using CMC as the substrate,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ndoglucanase under the culture conditions studied. Zymogram analysis of the culture supernatant revealed an endoglucanase band with a molecular mass of 52 kDa.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enzyme activity were 55oC and pH 5.0,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