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핸드 트랙킹 인터랙션 시스템 개발

        박성수 ( Seong-su Park ),구자영 ( Ja-young Gue ),홍진주 ( Jin-ju Hong ),노영주 ( Young J. Rho ),서대영 ( Dae-young Se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7 No.2

        컴퓨터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자연스럽게 컴퓨터에 따른 입력 장치도 사용이 잦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핸드 트랙킹 인터랙션 시스템(Hand-Tracking Interaction System)이란 캠에 사람의 손을 인식시켜 손의 모션에 기능을 부여하는 또 다른 차세대 입력 장치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마우스와 키보드 같은 입력 장치의 공간 제약성 이라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핸드 트랙킹 인터랙션 시스템 (Hand-Tracking Interaction System) 을 개발하였고, 빛과 그림자의 영향을 쉽게 받아 손 인식률이 낮아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캠 대신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식률을 높임에 힘썼다. 또 핸드 트랙킹 인터랙션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개발하였다.

      • KCI등재

        웹툰 이용동기와 계획행동이론 변인이 웹툰 관련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영화관람, 유료 콘텐츠 전환시 이용, 캐릭터 상품 구매의도의 비교

        이정기 ( Jeong Ki Lee ),이유진 ( You Jin Lee ),김병규 ( Byung Gue Kim ),김보미 ( Bo Mi Kim ),최선률 ( Sun Ryul Choi ),구자영 ( Ja Young Koo ),바냐콜레바 ( Koleva Vanya Slavch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웹툰의 지속적 성장 전략을 이끌어 내기 위해 웹툰의 이용동기를 규명하고, 웹툰과 관련된 파생 문화 콘텐츠 상품 및 서비스, 즉 웹툰 기반 영화 관람의도, 웹툰 유료 전환시 구매의도, 웹툰 캐릭터 상품 구매의도를 예측해 내고자 했다. 특히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이론의 관점에서 웹툰 이용동기와 인간의 사회문화적 행동의도를 예측하는데 유용성을 보이는 계획행동이론을 융합한 모델을 통해 웹툰 관련 행동의도 예측의 설명력을 확장해 내고자 했다. 분석결과 웹툰 이용동기는 정보 추구 동기, 오락 및 접근 용이성 동기, 웹툰의 장르적 특성 동기, 친구나 지인의 영향 동기, 현실도피 및 긴장해소 동기 등 5개로 나타났다. 웹툰 기반 영화 개봉시 관람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웹툰 동기 중 웹툰의 장르적 특성 동기, 현실도피 및 긴장해소동기, 계획행동이론의 3가지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웹툰 유료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웹툰 이용동기 중 정보추구 동기, 오락 및 접근 용이성 동기, 웹툰의 장르적 특성 동기, 계획행동이론의 3가지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웹툰 기반 캐릭터 상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웹툰 이용동기 중 정보 추구 동기, 현실도피 및 긴장해소 동기, 계획행동이론 변인중 태도와 주관적 규범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웹툰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수행했다. In order to suggest a strategy for continuous growth of webtoon, this article examined webtoon usage motivation and tried to make a prediction about culture content products and services connected with webtoon, including intention for viewing movies, based on webtoon; intention for switching to paid webtoon content, and intention for buying webtoon character products. From the point of view of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intentions for using webtoon and human sociocultural behavior intention are already predicted but with the usefulness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tegrated Model this study extended the explanation power of prediction about webtoon related behavioral intention. Results found 5 motivational factors for webtoon usage i.e. ‘seeking information’, ‘entertainment and access availability’, ‘webtoon genre characteristics’, ‘influence from a friend or acquaintance’, and ‘escapism and tension release’. Among them the ones that influenced the intention for viewing movies, based on webtoon, were found to be ‘webtoon genre characteristics’, ‘escapism and tension release’ and the 3 variables from Theory of Planned Behavior. ‘Seeking information’, ‘entertainment and access availability’, ‘webtoon genre characteristics’, and all the 3 variables from Theory of Planned Behavior were found to influence the intention for switching to paid webtoon content. The intention for buying webtoon based character products was affected by the motivational factors ‘seeking information’, ‘escapism and tension release’ and the behavior and subjective norms variables from Theory of Planned Behavior. Based on the uncommon results from the research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continuous growth of webto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