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교적 가치, 프로테스탄트 근로가치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관예주(Kwan, Ye-Ju),여경환(Yeo, Kyung-Hwan) 한국산업경영학회 2017 經營硏究 Vol.32 No.4

        2016년 기준으로 한국인은 연간근로시간이 2,113시간으로 OECD국가 중에서 3위를 기록할 만큼 일을 많이 한다. 이로 인해 긴 근로시간을 잘 견뎌내게 하는 한국인의 의식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유교적 가치와 프로테스탄트가치가 조직 구성원의 직무탈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인과관계가 성장욕구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 및 가설 검증을 위하여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으며 252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교적 가치는 성장욕구를 통해 직무탈진에 간접적인 영향만 미치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프로테스탄트 근로가치는 직무탈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성장욕구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교적 가치가 성장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프로테스탄트 근로가치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 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nfucian value and Protestant work ethic on burnout and the mediating role of growth need strength. Valid and reliable self-report evaluation measures were administered to a sample of 252 workers in South Korea. Analytic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results revealed that Confucian value had an indirect effect on burnout through growth need strength while had no direct effect. In contrast, Protestant work ethic had a direct effect on burnout while had no indirect effect through growth need strength. Besides, Confucian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growth need strength while Protestant work ethic had not. In addition, growth need strength had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burnout. While there are some limitations related to research design, we believe this study adds meaningful insight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values and burnou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리더의 유머행동과 조직의 다양성 풍토가 구성원의 협력적 갈등해결에 미치는 영향 : 부정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관예주(Kwan, Ye Ju),여경환(Yeo, Kyung Hwan),박옥자(Park, Ok Ja)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7 No.1

        최근 리더의 유머행동과 조직의 다양성 풍토는 조직행동 분야의 주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이 2가지가 현재의 한국 사회의 분위기나 한국 기업의 조직문화와는 상당한 거리감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리더의 유머행동과 조직의 다양성 풍토가 구성원의 협력적 갈등해결이라는 기업 조직의 중요한 성과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 관계를 부정적 정서조절이라는 정서적 요소가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해서 수집한 242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신뢰성,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리더의 유머행동과 조직의 다양성 풍토 모두 구성원의 협력적 갈등해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부정적 정서조절은 상사의 유머행동과 구성원의 협력적 갈등해결, 조직의 다양성 풍토와 구성원의 협력적 갈등해결의 관계를 모두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eader’s humor behavior and organizational diversity climate collaborative conflict management, and the mediating role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was conducted. Self-report evaluation measures were administered to a sample of 242 employees in South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nalytic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results revealed that leader’s humor behavior and organizational diversity climate had a positive effect on collaborative conflict management. Negative emotion regul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humor behavior and collaborative conflict resolution, and between organizational diversity climate and collaborative conflict resolu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프로테스탄트 근로가치와 직무탈진의 관계 연구: 내적 동기의 매개효과와 경제적 개인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관예주 ( Yeju Kwan ),박옥자 ( Okja Park ),여경환 ( Kyunghwan Ye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연구가 많이 되지 않은 프로테스탄트 근로가치에 관심을 두고 매개변수로서 내적 동기와 조절변수로서의 경제적 개인주의를 포함하는 변수 간 관계를 확인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의 제조기업 구성원 259명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 인과관계와 매개효과, 조절효과를 파악하였다. 우선 프로테스탄트 근로가치는 조직구성원의 직무탈진을 낮추고, 내적동기는 프로테스탄트 근로가치와 직무탈진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그러나 경제적 개인주의는 프로테스탄트 근로가치와 내적 동기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았다. 그리고 프로테스탄트 근로가치와 직무탈진의 관계에 대한 내적 동기의 매개효과는 경제적 개인주의의 정도가 낮을 때 더 높아져, 경제적 개인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직무탈진의 선행요인으로서 프로테스탄트 근로가치를 제시함으로써 가치-태도-행동 모델을 한국 근로자에게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This study focused on Protestant work ethic, which has not been studied much, and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cluding intrinsic motivation as a mediator and economic individualism as a moderator. To test the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259 members of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causal relationship,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moderating effect were identified. First of all, the Protestant work ethic lowered the job burnout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intrinsic motiv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testant work ethic and job burnout. However, economic individualism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stant work values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stant work ethic and job burnout was higher when the degree of economic individualism was low, confirm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conomic individualis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value-attitude-behavior model was confirmed by presenting the Protestant work ethic as an antecedent of Koreans' job burnout.

      • 배우자의 지지가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검증

        박옥자,여경환,관예주,윤운성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15 에니어그램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기혼여성에게 있어서 배우자의 지지가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지, 그리고 의사 소통은 이 두 변수의 관계를 매개하는 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에 거 주하는 20대에서 60대 이상의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기보고식 설문으로 자료를 수집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과 Baron & Kenny(1986)의 매개역할 검증 방법을 사용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배우자의 지지와 의사소통 모두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배우자 지지의 하위요인 중에서 정서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쳤고, 의사소통 하위 요인 중에서는 남편의 독선적 의사소통이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의사소통은 배우자 지지와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spouse support on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women and the mediation effect of communication between spouse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subjects are married women who lived in seoul and ranged from 20 to 60 years old. The survey was formed as a self-repor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of Baron & Kenny(1986)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 revealed that both spouse support and communication significantly had a positive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Especially emotional support among sub-factors of spouse support had high levels of positive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and egoistic communication among sub-factors of communication had high levels of negative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 also found that communic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e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 KCI등재

        한국기업 근로자의 유교적 가치와 직무탈진의 관계 연구 : 부정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및 감정노동의 조절효과

        여경환(Yeo, Kyung Hwan),관예주(Kwan, Ye Ju)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8 No.2

        한국인의 근로시간은 OECD국가 기준으로 2018년 3위를 차지할 만큼 한국인의 장시간 근로를 한다. 본 연구는 유교적 가치가 직무탈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에서의 부정적 정서조절과 감정노동의 역할을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 259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유교적 가치가 직무탈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교적 가치와 직무탈진과의 관계에 있어서 부정적 정서조절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조직 구성원의 유교적 가치와 부정적 정서조절과의 관계에서 감정노동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고, 감정노동은 부정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무적, 이론적 함의와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As for the working hours of Koreans, Koreans work long hours, ranking third in 2018 by OECD countri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Confucian values affect job burnout, and the mediating role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role of emotional labor in the process. To test the hypothesis, the data of 259 workers working at the company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Confucian values reduce job burnout. Second, the results revealed that negative emotional regula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 values and job burnout. Third, we found that the emotional labor had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 values and nega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labor also regulated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al regul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of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성장욕구와 경제적 개인주의가 교사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내적동기와 외적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여경환 ( Kyunghwan Yeo ),관예주 ( Yeju Kwan ),관다영 ( Dayoung Kwan ),박옥자 ( Okja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본 연구는 교사들의 직무에 대한 관심과 열정에 관심 즉,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경제적 개인주의와 성장욕구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관계가 내적 동기 및 외적 동기에 의해 매개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전국의 교사 233명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장욕구와 경제적 개인주의 모두 교사 개인의 직무열의와 내적 동기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동기는 성장욕구와 직무열의, 경제적 개인주의와 직무열의의 관계를 모두 매개한 반면, 외적 동기는 경제적 개인주의와 직무열의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직무열의에 대한 내적 동기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growth need strength and economic individualism on job engagement and the mediating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Valid and reliable self-report evaluation measures were administered to a sample of 223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outh Korea. First, The results revealed that growth need strength, economic individualism, intrinsic motivation had an positive effect on job engagement while extrinsic motivation had no direct effect. Intrinsic motiv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need strength and job engagement, and economic individualism and job engagement. However, extrinsic motivation did no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individualism and job engagement.

      • KCI등재

        유교적 가치가 협력적 갈등해결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정서조절과 성장욕구의 매개효과 검증

        여경환,박옥자,최수빈,관예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The Effect of Confucian Values on Collaborative Conflict Resolution: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Regulation and Growth NeedsKyunghwan Yeo, Okja Park, & Subin Choi, & Yeju Park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nfucian values on collaborative conflict resolution and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and growth needs for manufacturing workers.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data of 244 manufacturing worke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onfucian valu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llaborative conflict resolu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lso a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growth needs. Conclusion and Implic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Confucian values are positively functioning in the cooperative resolution of conflicts, which can be said to be the main driving force of corporate growth, and thus provide good implications for corporate management. Key Words: Confucian Values, Collaborative Conflict Resolution, Negative Emotion Regulation, Growth Needs, Korean Company 유교적 가치가 협력적 갈등해결에 미치는 영향:부정적 정서조절과 성장욕구의 매개효과 검증여 경 환*ㆍ박 옥 자**ㆍ최 수 빈***ㆍ관 예 주**** 연구 목적: 20세기 후반 동아시아 국가 경제성장의 주요한 요인으로 관심을 모았던 유교적 가치는 21세기에도 여전히 중요하다. 특히 한국 기업 구성원의 조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유교적 가치는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제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유교적 가치가 협력적 갈등해결에 미치는 영향과 부정적 정서조절과 성장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제조업 종사자 244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유교적 가치는 협력적 갈등해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정적 정서조절과 성장욕구 도한 정(+)적으로 두 변수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기업성장의 주요한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는 갈등의 협력적 해결에 유교적 가치가 긍정적으로 기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기에 기업운영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핵심어: 유교적 가치, 협력적 갈등해결, 부정적 정서조절, 성장욕구, 한국기업 □ 접수일: 2022년 8월 1일, 수정일: 2022년 8월 25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8일* 주저자, 위덕대학교 경영학과 교수(Firstst Author, Professor, UiDuk Univ., Email: ykh0544@uu.ac.kr)** 공동저자 1, 선문대학교 글로컬통합대학원 겸임교수(Co-author 1, Professor, Sunmoon Univ., Email: ojhappy3@sunmoon.ac.kr)*** 공동저자 2, 위덕대학교 경영학과 학부생(Co-author 2, Bachelor’s Course, UiDuk Univ., Email: sb0750@naver.com)**** 교신저자, 선문대학교 미래융합대학원 강사(Corresponding Author, Instructor, Sunmoon Univ., Email: yoju6005@naver.com)

      • KCI등재

        The Effect of Confucian Values and Protestant Work Ethic on Job Engagement: The Mediating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YeoKyungHwan ( 여경환 ),KwanYeJu ( 관예주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5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Confucian value and Protestant work ethic on job engagement. Furthermore the mediating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was also verified.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259 South Korean. A direct effect of Protestant work ethic on job engagement was found, whereas a direct effect of Confucian work ethic was not. The mediating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stant work ethic and job engagement.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is confirmed that the societal values such as Confucian values and Protestant work ethic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s’ job engagement. 본 연구는 유교적 가치와 프로테스탄트 근로윤리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내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259명의 성인인 한국인으로부터 자료를 수입하였다. 그 결과, 프로테스탄트 근로윤리가 직무열의에 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예상과는 달리 유교적 가치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 동기는 프로테스탄트 근로윤리와 직무열의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유교적 가치와 프로테스탄트 근로윤리와 같은 사회적 가치가 조직 내에서 개인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감정노동과 직무탈진의 관계에 대한 성, 연령, 종교유무의 조절효과

        여경환 ( Kyunghwan Yeo ),박옥자 ( Okja Park ),관예주 ( Yeju Kwan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최근 서비스업 종사자의 감정노동에 대한 연구가 관심을 끌고 있다. 본 연구는 감정노동이 서비스노동자의 직무탈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 두 변수 간의 관계가 성(姓), 연령, 종교유무와 같은 인구통계적 요소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서비스업 종사자 225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감정노동은 서비스업 종사자의 직무탈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성별과 종교유무가 감정노동과 직무탈진의 관계를 조절한 반면, 성(性)은 그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및 제언: 감정노동을 피할 수 없는 직종의 종업원에게 있어서 직무탈진은 중요한 요소인데, 감정노동과 직무탈진의 관계가 줄어드는 인구통계적 요소로서 인령과 종교유무를 검증한 것은 의미가 있다. 기업관계자에게 종업원 선발 시 이러한 연구 결과의 적용을 제안한다. Recently, research on the emotional labor of workers in the service industry is attracting attention. This study aimed to verify whether emotional labor affects service workers’ job burnout an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is moderated by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and religion.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data of 225 service workers. Emotional lab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burnout of service workers, and while gender and religious statu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gender did not affect the relationship. Job burnout is an important factor for employees in occupations where emotional labor is unavoidable, and it is meaningful to find out whether people and religion exist as demographic factors that reduc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Companies should use these results in selecting employees.

      • KCI등재

        The Effect of Growth Needs Strength on Job Engagement and Burnout -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신진교(Shin, Jin Kyo),여경환(Yeo, Kyung Hwan),백정훈(Baek, Jeong Hoon),관예주(Gwan, Ye Ju)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한국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여 성장욕구가 직무열의와 직무탈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이와 더불어 부정적 정서조절과 내적 동기가 이들 변수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의 제조기업에 근무하는 244명의 근로자에게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열의와 직무탈진에 대한 성장욕구의 직접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는 부정적 정서조절과 내적 동기의 매개역할에 의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장욕구와 직무열의의 관계에 대해 부정적 정서조절과 내적 동기는 매개효과를 가졌으며, 성장욕구와 직무탈진의 관계에 부정적 정서조절이 매개효과를 가졌다. 이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성장욕구와 직무열의, 직무탈진의 관계에 대한 부정적 정서조절 및 내적 동기와 같은 심리적 특성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growth need strength on job engagement and burnout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n workers. We als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negative emotion regul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44 employees from South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Contrary to our expectation, there was no direct effect of growth need strength on job engagement and burnout. Unlikely this, negative emotion regulation mediated relations between growth need strength and the two outcome variables. Intrinsic motivation mediated relations between growth need strength and job engagement. Our study contributes to organizational behavior and psychology by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traits such as negative emotion regul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need strength and job attitude such as job engagement and burn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