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노년기 우울성 가성치매 환자군에서의 뇌 단일광자방출 전산화 단층촬영 소견

        이동우,이명철,정준기,이동수,곽철은,이재성,조경형,조맹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6

        연구 목적 : 우울성 가성치매 환자군의 Tc-HMPAO SPECT영상 소견을 정상 대조군, 인지기능장애가 없는 우울증 환자군 및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군과 비교함으로써 노년기 우울성 가성치매의 병태생리의 일부를 알아 보았다. 연구 방법: 9명의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군, 7명의 인지기능장애가 없는 우울증 환자군, 7명의 우울성 가성치매 환자군, 4명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울증 환자군은 DSM-III-R의 우울증의 진단 기준에 의해 진단되었고,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군은 DSM-III-R의 진단기준과 NINCDS-ADRDA의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진단 기준에 의해 진단되었다. 모든 대상자가 해밀턴 우울증 척도 및 MMSE-K에 의해 평가되었다. 모든 대상자에 대해 99m-HMPAO SPECT를 시행하였고, 각 대상군의 영상을 Friston의 통계적 매개변수 지도 방법을 이용, 매 복셀(voxel) 단위로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우측 전두엽, 우측 측두엽, 양측 두정엽에서 유의한 혈류감소 소견을 보였다.(p<0.05). 2) 우울증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좌측 전두엽에서 유의한 혈류감소 소견을 보였다.(p<0.05). 3) 우울성 가성치매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우측 측두엽과 좌측 두정엽에서 유의한 혈류감소 소견을 보였다.(p<0.05). 4) 우울성 가성치매 환자군은 우울증 환자군에 비해 우측 측두엽과 양측 두정엽에서 유의한 혈류감소 소견을 보였다.(p<0.05). 결론 : 우울성 가성치매 환자군은 측두-두정엽의 혈류감소 소견을 보였고, 이는 알쯔하이머형 치매와 유사한 소견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울성 가성치매가 초기의 원발성 치매 환자군을 포함한다는 가설을 지지해준다. 0bjects : Through comparison of the Tc-HMPAO SPECT image ofdepressive pseudo-dementia group with those of control group(depression group free from cognitive impairment)and DAT(Dementia of Alzheimer's type). we tried to see part of pathophysiology of she depressive pseudodementia of the elderly.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9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DAT group),7 patients with depression free from cognitive impairment(depression group),7 patients with depressive pseudodementia(depressive pseudodementia group), and 4 normal controls. De-pression patients were diagnosed according to DSM 111-R DAT patients were diagnosed by DSM 111-R and N1NCDS-ADRDA criteria of DAT. All were rated with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and Mini Mental State Exam. All underwent 99m-HMPAO SPECT scan. The images of each group were analysed using SPM of Friston, which compares the images on voxel-by-voxel basi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DAT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erebral blood flow (CBF) compared with controls in the right frontal region, the right temporal region, and both temporal regions(p<0.05). 2) Depression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BF in the left frontal region(p<0.05). 3) Depressive pseudodementia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BF compared with controls in the right temporal region and the left parietal region(p <0.05). 4) Depressive pseudodementia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BF compared with depression group in the right temporal region and both parietal regions(p<0.05). Conclusion : Depressive pseudodementia group showed decreased CBF in temporo-parietal region, similar to that of the DAT group. This result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depressive psuedodementia includes a subgroup of patients with early-stage primary dement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