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업비점오염관리 현장전문가 양성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새만금유역을 중심으로-

        김주미 ( Ju Mi Kim ),정수정 ( Sue Jung Jung ),곽정난 ( Jungnan Kwak ),유미연 ( Miyeon Yoo ),박형민 ( Hyoung-min Park ),윤춘경 ( Chun Gyeong Yoon ),홍상원 ( Sangwon Hong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새만금 간척사업은 성장과 환경패러다임의 중심에서 시대적으로 많은 논란을 일으켜왔던 사회적 이슈로 방조제 건설에 따른 수질오염 예방을 위해 권역별로 수질관리 대책을 수립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이 하드웨어 중심의 관리 대책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성과 실효성에 대한 한계가 제기되었다. 새만금유역 또한 하드웨어 중심의 관리를 넘어 지속가능한 발전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한 통합수자원관리의 도입이 요구되었고, ‘수질’중심이 아닌 ‘유역’의 관점에서 접근이 시작되었다. 새만금유역은 농경지의 비중이 높아 농업비점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농업비점오염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배출활동의 주체인 주민들의 인식 개선 및 역량강화를 실시하고 지원정책 및 현장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중간지원조직 설치와 농촌지역 비점오염관리를 위한 전문가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직종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지 않고, 이들의 책무와 역할, 지식, 기술, 태도 등에 관한 직무분석 연구도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지역 비점오염 관리를 위하여 농업비점오염관리 현장전문가의 직무분석을 통해 역할과 수행해야할 일들을 규명하고, 그들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농업비점오염관리 현장전문가가 담당해야할 역할(duty)과 수행해야할 일(task)에 대해 농업비점오염관리 관련 전문가들의 워크숍을 통해 직무분석을 수행하고, 워크숍에서 제시된 수행해야할 일을 재정렬하여 현장전문가 양성을 위해 필요한 교과목을 선정하였다. 이 교과목들은 직무 영역을 고려하여 교과목의 영역을 구분한 후, 각 교과에 대한 이론과 실습 시수를 배분하였다. 유사 양성과정 교육내용의 불필요한 중복이수 방지를 위해 소급 대상 교과목을 매칭하고, 전반적인 양성과정 운영의 전략과 원칙을 마련하였다. 양성과정의 기본방향과 교과목별 해설서 내용은 농업비점오염관리 관련 전문가들의 수정 및 보완의 과정을 거쳐 내용적 충실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농업비점오염관리 현장전문가 양성 교육과정은 일반교육과정 59시간(이론 37시간, 실습 22시간)과 심화교육과정 6시간(실습)으로 개발되었다. 일반교육과정은 거버넌스·농업비점오염관리·주민역량강화·마을공동체 활성화의 4개 영역 16과목이 개발되었고, 심화교육과정은 일반교육과정에 대한 종합실습을 중심으로 농업비점오염관리 수행계획서 작성을 중점적으로 실습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