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스탤지어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곽예경(Ye Kyung Kwak),김한얼(Hann Earl Kim),윤나라(Na Ra Youn) 한국마케팅학회 2012 마케팅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선험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노스탤지어 콘텐트와 소비자의 불안-회피 차원 애착 유형이 노스탤지어 광고를 활용한 제품의 구매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을 이끄는 심리학적 기재는 무엇인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노스탤지어의 콘텐트는 주도적 자아개념을 자극하는 내용을 담은 주도적 노스탤지어와 친화적 자아개념을 활성화시키도록 한 친화적 노스탤지어로 구분하였다. 노스탤지어 광고의 콘텐트와 실험 참가자들의 평소 애착성향의 차이에 따라 각각 주도적 또는 친화적 노스탤지어 주제를 활용한 광고가 어떤 상황에서 왜 노스탤지어의 기능인 자기긍정감과 사회유대감의 향상을 가져와 구매의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는지를 설명하였다. 주도적 노스탤지어 콘텐트와 친화적 노스탤지어 콘텐트의 조작을 위하여 주도적 자아개념과 친화적 자아개념을 나타내는 주제를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 집합과 노스탤지어 문구를 사용한 디지털카메라 광고를 제작하여 사용하였고, 실험 참가자들에게 불안애착성향과 회피애착성향을 조작하기 위해서 관계의 형태를 서술적으로 묘사한 글을 읽고 기술된 것과 동일한 관계에 있었던 사람과 상황을 시각적인 이미지로 떠올리게 하여 낮은 불안/ 낮은 회피, 낮은 불안/ 높은 회피, 높은 불안/ 낮은 회피, 높은 불안/ 높은 불안의 네가지 조합의 애착상태를 유도하였다. 연구 결과, (1) 주도적 노스탤지어 콘텐트는 자기긍정감을 높이고 친화적 노스탤지어 콘텐트는 사회유대감을 높였다. (2) 불안애착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관점을 가진 사람에게서 높게 나타나며 회피애착은 다른 사람에 대해 부정적인 관점을 가진 사람에게서 높게 나타나므로 불안애착이 높은 참가자는 주도적 노스탤지어 콘텐트의 광고에 노출되었을 때 자신에 대한 낮은 자존감을 자기긍정감의 향상을 통하여 상쇄할 수 있었으며, 회피애착이 낮은 소비자는 타인을 신뢰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적으므로 친화적 노스탤지어 콘텐트의 광고에 노출되었을 때 사회유대감이 증진되었다. (3) 따라서, 주도적 노스탤지어 콘텐트는 자기긍정감을 유발하므로 주도적 콘텐트를 높은 불안애착유형의 소비자가 소비할 때 자기긍정감이 높아져 노스탤지어 광고를 활용한 제품에 대한 구매 의도가 높아졌으며, 친화적 노스탤지어 콘텐트는 사회유대감을 유발하므로 낮은 회피애착유형의 소비자가 친화적 노스탤지어 콘텐트를 경험하며 사회유대감을 느껴 노스탤지어 광고를 활용한 제품에 대한 구매 의도가 높아졌다. 노스탤지어 제품 또는 부활된 브랜드(resurrected brand)를 마케팅 하는 기업이 좀 더 효과적인 노스탤지어 활용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실무적 시사점과 연구 결과의 이론적 의의, 미래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토론하였다. The concept of nostalgia, defined as "a sentimental longing for the past" (The New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1998) is gaining more attention in consumer psychology (Loveland, Smeesters, and Mandel 2010, Zhou et al. 2012; Wildschut et al. 2010) as contemporary consumers experience more feelings of loneliness (Wang et al. 2012) and the economic recession brings yearnings for the warm and cozy past. Marketers have responded to the trend with resurrected brands, throwback versions, vintage slogans and jingles, and recreating nostalgic moments in ads (Brown, Kozinets, and Sherry 2003; Elliott 2009). Previous research documented that nostalgia bolsters social bonds and satisfy consumers` need to belong with others (Wildschut et al. 2006; Loveland, Smeesters, and Mandel 2010).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enhancing social-connectedness, we consider nostalgia`s another function of increasing self-positivity in this study and show that embedding agentic self-concept on a nostalgia ad derives self-positivity and communal self-concept inserted in a nostalgic ad engenders social-connectedness. We also propose that consumers` attachment style moderate the effect of nostalgia on purchase intention of the advertised products. Anxiety dimension of attachment style primarily affect the way a person sees self, so activating anxiety increased the accessibility of agency (Bartz and Lydon 2004) and anxiety attachment was either negatively (Collins and Read 1990; Shaver et al. 1996; Zuroff, Moskowitz, and Cote 1999) or positively (Bartz and Lydon 2004) associated with agency, whereas, avoidance dimension of attachment style reflects the negative perspective toward others and communion depicts an other-orientation, so activating avoidance decreased the accessibility of communion (Bartz and Lydon 2004).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when and how agentic vs. communal nostalgia ad content influences purchase intention of the product. We predict that consumers with a high anxiety attachment can derive more self-positivity through agentic nostalgia ad content than communal content which enhances purchase intention toward products, and that low avoidance consumers derive more social-connectedness from communal nostalgia ad content than agentic nostalgia ad content and the social-connectedness raises purchase intention. Three hundred sixty two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eight conditions in a 2 (nostalgia content: agentic vs. communal) × 2 (anxiety related attachment: high vs. low) × 2 (avoidance related attachment: high vs. low) between subjects design. Attachment style was manipulated by asking the participants think about a relationship that fits the description provided to them out of four attachment style combination (high vs. low anxiety × high vs. low avoidance) and to generate a visual image in their mind of a person and a situation with whom and in which they had this type of relationship (Swaminathan et al. 2008). Then, we asked participants to evaluate a nostalgia advertisement for digital camera. The content of the two print advertisements was manipulated via photo images to convey a distinct self-concept (agency or communion). The agentic nostalgia ad featured images of past successes/achievements, having time to myself, having confidence in myself, overcoming challenges and expanding my horizons, whereas the communal nostalgia ad featured my family, someone I loved, my friends, my pet, being part of a group or community, and having someone to depend on (Hart et al. 2011). Both ads contained taglines of "because past is too meaningful to let it pass you by" and "re-live the moment" to induce nostalgia. After being exposed to the ad, participants provided their responses on the extent to which they felt nostalgia, self-positivity, social connectedness, and their intention to purchase the product. They also completed the Revised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 (ECR, Brennan, Clark and Shaver 1998) for anxiety and 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