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성주의 인식론의 이론적 배경

        곽영순,Kwak, Young-Sun 한국지구과학회 200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2 No.5

        과학교사들은 과학에 대하여, 학습자의 학습방법에 대하여, 과학을 가르치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방법에 대하여 알아야 할 뿐만 아니라, 그들이 취하고 있는 교수방법이 배경하고 있는 이론적 근거(rationale)를 이해해야만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글에서는 전통적 교수/학습관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구성주의 학습관, 나아가 다양한 형태의 구성주의의 유래를 논의하였다. 과학교육에서 구성주의는 철학적 구성주의, 구성주의 연구 패러다임, 사회학적 구성주의 및 교육학적 구성주의 등 여러 가지 의미로 광범위한 상황들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가운데 교육학적(또는 심리학적) 구성주의는 각 형태가 취하고 있는 존재론적, 인식론적 신념에 따라 다시 개인적 구성주의, 급진적 구성주의 및 사회적 구성주의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나아가, 각 교육학적 구성주의는 각각이 취하고 있는 존재론 및 인식론적 관점에 바탕하고 다른 교수/학습관을 지지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각각의 교육학적 구성주의가 채택하고 있는 존재론적, 인식론적, 과학교수/학습적 관점을 논의한다. 끝으로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에 대한 두 가지의 주된 비판에 대하여 살펴보고, 각 형태의 교육학적 구성주의가 취하고 있는 연구방법에 대한 시사점도 간단히 제시한다. Science teachers need to understand what science is, how students learn, how to teach science effectively, and the rationale for their teaching methods. Along this line, this article discusses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pedagogy and the origin of various versions of constructivism. Constructivism is defined and used in a variety of contexts including philosophical constructivism, constructivist research paradigm, sociological constructivism, and educational constructivism. Educational constructivism (or psychological constructivism) can be divided into three distinct versions (i.e., individual, radical, and social constructivism) depending on uniqu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beliefs that underlie each version. Each version of educational constructivism supports different conceptions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that are consistent with its specific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beliefs. In this article, the main tenets of each version of educational constructivism are examined with regard to ontological beliefs, epistemological commitments, and pedagogical beliefs. In addition, two major criticisms on constructivist pedagogy as well as implications for research methods for each version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과학교사들이 진단한 과학과 협동학습의 실태

        곽영순,Kwak, Young-Sun 한국지구과학회 200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2 No.5

        본 정성적 연구는 협동학습에 대한 현직 과학교사들의 인식과 교실 현장에서 협동학습의 실천에 따른 장애요소들을 조사하였다. 구성주의 인식론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협동학습은 내용의 단순암기와 경쟁을 통한 학업성취를 조장하는 현재의 교육체계에 대한 하나의 대안적 틀로서 제시되었다. 2001년 여름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등록한 18명의 현직교사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수집한 면접자료는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정의, 교실에서의 협동학습의 실천과 관련된 이슈들, 교사 및 학생들의 협동학습에 대한 반응’ 등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류, 분석되었다. 이 영역들은 다시 10개의 주제들로 다시 세분되었다: 교사들이 느낀 협동학습의 의미, 학습에서 대화의 중요성, 협동학습이(부)적절한 상황, 협동학습 수업의 마무리 방법들, 협동학습시의 조편성 방법, 협동학습의 실행에 있어서의 장애요소들, 협동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교사들이 밝힌 학습중심 교수/학습 방법 선택(또는 거부)의 이유, 협동학습법을 선호하는 교사들의 특성, 교사들이 현장에서 협동학습을 거부하는 이유. 각 주제별로 교사들의 반응을 상술하고 토의를 제시하였다. 보다 많은 교실에서의 협동학습의 개발과 실행을 위해서는 (1) 교사들의 인식 전환의 필요성, (2)교사 재교육 기회의 제공, (3) 학생들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적응, (4) 교육과정 및 학습자료 측면의 지원 및 (5) 행정적, 시설적지원 등이 필요함을 주장하는 바이다. 한편, 협동학습이 모든 수업상황이나 교수/학습적 문제들에 있어서 만병통치약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협동학습은 단지 하나의 수업방법 또는 도구로서 가르치고자 하는 특정한 교수목표를 위해 유용하며, 특히 다양한 학습능력을 가진 학생들이 함께 섞여있는 교실에 적절한 방법이다. 후속 연구과제도 제안되었다. This qualitative research investigated in-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cooperative learning and their perceived barriers in implementing cooperative learning in their classrooms. The underlying premise for cooperative learning is founded in constructivist epistemology. Cooperative learning (CL)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frame to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which emphasizes content memorization and individual student performance through competition.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8 in-service science teachers who enrolled in the first-class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 during 2001 summer vacation. These secondary school teachers's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teachers' definition of cooperative learning, issues with implementing cooperative learning in classrooms, and teachers' and students' responses towards cooperative learning. Each of these areas are further subdivided into 10 themes: teachers' perceived meaning of cooperative learning, the importance of talk in learning, when to use cooperative learning, how to end a cooperative class, how to group students for cooperative learning, obstacles to implementing cooperative learning, students' reactions to cooperative learning, teachers' reasons for choosing (not choosing) student-centered approaches to learning/teaching, characteristics of teachers who use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and teachers' reasons for resisting cooperative learning.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teachers' responses and discussion on each category are provided.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L in more classrooms, there should be changes and supports in the following five areas: (1) teachers have to examine their pedagogical beliefs toward constructivist perspectives, (2) teacher (re)education programs have to provide teachers with cooperative learning opportunities in methods courses, (3)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ir changed roles (4) supports in light of curriculum materials and instructional resources, (5) supports in terms of facilities and administrators. It's important to remember that cooperative learning is not a panacea for all instructional problems. It's only one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useful for specific kinds of teaching goals and especially relevant for classrooms with a wide mix of student academic skill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lso provided.

      • KCI등재

        초임 과학교사 지원을 위한 멘토링의 효율성 연구

        곽영순 ( Young Sun Kwa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교사를 포함하여 수업전문성 개발이 요구되는 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방편으로써 멘토링 체제의 효과와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수업전문성 제고를 통한 교사의 책무성 제고 가 요청되며, 여기서 현장 경험 속에서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멘토링이 주목되고 있다. 멘토링이란 개별 교사의 전문성과 경력발달과 연계하여 해당 교사가 전문적으로 그리고 개인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때로는 전문가-초보 관계로 운영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전문성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멘토링 체제 도입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교과별로 멘토-멘티를 최소 3쌍 정도 구성하여 멘토링을 시범운영해본 결과를 토대로 멘토링 체제 도입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단원의 전 차시수업에 대하여 멘토와 멘티가 수업동영상을 만들고 그 동영상을 활용하여 수업컨설팅에 초점을 둔 멘토링(video-based discussions)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참여교사의 개인적, 집단적 발전을 촉진할 수 있었다. 멘토와 멘티가 협력하여 수업에서 드러난 증거에 기반을 둔 공동탐구를 수행함으로써 반성적 경험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과학과 멘토링 체제 적용 결과를 멘토링의 필요성과 목적,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멘토링의 필요성, 역할 기대에 비추어본 멘토의 자격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결론에서는 멘토링 체제 운영상의 유의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ways to introduce mentoring system to support beginning and experienced teachers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n alternative to exist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we planned and implemented a mentoring system to examine its effects in developing professionalism among teachers-in-need, and those who have not met the teacher`s evaluation standards. Mentoring is defined as being concerned with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an individual to his/her full potential,`` both professionally and personally. It is linked with professional and career development, and is somewhat characterized by an ``expert-novice`` relationship. The mentoring system in science features group mentoring, where 3 protege-mentor teams gathered together for instructional consulting using their videotaped classroom teaching. Through video-based discussions, teachers could share reflective experiences through collaborative investigations based on evidences revealed in classroom teaching videos. Using open-ended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video-based discussions, we extracted needs and goals of mentoring, the need of mentoring system to support beginning teachers, and the requirement of mentor quality in light of mentor`s expected roles.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related to teachers` mentoring and for the government`s development of mentoring system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과학과 수업방법 개선 방안

        곽영순 ( Young Sun Kwa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과학과 수업방법을 탐구하는 것이다. OECD의 DeSeCo 프로젝트를 계기로 핵심역량은 ``학생들이 향후 사회적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로 하는 능력``으로 재정립됨으로써 여러 나라에서 ``역량기반 교육 과정``이 강조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선도국과 국내의 외국인학교 및 국제중학교를 방문하여 관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교과교육 혁신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구현하는 국외 사례수집과 더불어, 각 사례별로 교사 및 학교장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해 요청되는 과학과 수업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외국 사례에서는 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해 과학 수업에서 핵심역량 측면에서 학생들에게 무엇이 기대되는지를 알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활동과 학생중심 학습을 강조하고, 교과내용 중심의 기존 교육과정에 비해 수업에서 학생들 간의 집단 활동이나 협력을 중시하며, 교과 간 또는 과학영역 간 통합수업이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과학교사들은 핵심역량은 결국 수업방법을 통해 구현되어야 하며, 과학적 사고력을 길러줄 수 있는 탐구경험을 제공하고, 실제 세계와의 연계를 강조하며, 핵심역량을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교과 간 통합수업을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결론 부분에서는 과학과 교육과정이나 수업에 핵심역량을 통합할 경우 예상되는 어려움이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해결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ing methods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Since the OECD DeSeCo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project, key competencies are redefined as ``what people should know and be able to do in order to lead a successful life in a well-functioning society, which leads many countries to emphasiz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is research, we collected and analyzed foreign and domestic classroom cases that have implement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science teaching. Through open-ended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principals, we explored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ing methods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In foreign cases, science teachers emphasized students` knowing what KCs to accomplish, activities and student-centered learning, students` group activities and collaboration, and greater curriculum integration among subjects and contexts. Korean science teachers argued that the KCs should be realized through teaching methods and emphasized scientific inquiry learning whereby nonscience track students could also benefit from science lessons. Korean science teachers also emphasized links to reallife situations, providing students with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that supported students to develop the KCs, and the delivery of an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conclusion section, the difficulties with the implementation of key competencies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7차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곽영순 ( Young Sun Kwa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5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7th national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was implemented at science classrooms. Data from surveys with 140 elementary schools, 18 science classroom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were us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instruction. Based on the data, I explored (1)how science curriculum is operated in terms of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of school science, and (2)how student-centeredness and localization themes are reflected on the reconstructed school science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at the teacher level was minimal. And most of the elementary teachers followed the directions and contents of the science textbook and teacher`s guidebook regardless of their own local situations. For most teachers, restructuring science curriculum meant reordering the sequences of the contents, and adding or deleting some units or topics. I also examined why elementary teachers have difficulty in reconstructing science curriculum at the classroom level. The necessity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t the teacher level is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