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능형제품의 쾌락적 속성과 실용적 속성이 소비자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곽소나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2

        Recently, an intelligent product in which information and robotic technologies are applied to an existing common product, called a mother product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develop intelligent products which could be accepted by users, various intelligent product design methods have been introduced considering various interaction aspects or intelligent parts to be made. However, as an intelligent product is originated in a mother product, intelligent product design methods based on product attributes need to be explored. In this study, the impact of intelligent product types by product attributes on users’ acceptance was investigated by comparing hedonic intelligent products and utilitarian intelligent products. An experiment was executed with child slippers as a case. As a result, participants evaluated utilitarian intelligent products more positively than hedonic intelligent products. They showed higher purchase intention and willingness to pay toward utilitarian intelligent products than hedonic intelligent products. In the case of child slippers, even though the hedonic attributes could be expected as they are child products, utilitarian attributes were perceived as much more important than hedonic attributes as the child slippers are related to the floor noise which is a severe social problem. 최근 정보통신 기술 및 로봇 기술이 기존 제품에 접목된 지능형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에게 보다 수용 가능한 지능형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인터랙션 방식 또는 지능화 부분을 고려한 지능형제품디자인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지능형제품은 모체제품이라고 불리는 기존 제품을 기반으로 하므로, 제품 속성 관점에서의 효과적인 지능형제품디자인방법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제품 속성에 따른 지능형제품유형이 소비자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용 실내화를 사례로 하여, 쾌락적 지능형제품과 실용적 지능형제품을 비교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제품선호도에 대해 피험자는 실용적 지능형 유아용 실내화를 쾌락적 지능형 유아용 실내화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보다 높은 구매의사와 지불의사 금액을 나타냈다. 이는 유아용 실내화가 유아용 제품이라는 점에서 쾌락적 가치가 요구될 수도 있으나, 층간 소음이라는 사회적 문제와 관련된 제품이므로 실용적 가치가 보다 중요한 가치로 인식된 것으로 해석된다.

      • 강화 이론에 근거한 교사 보조 로봇 인터랙션 디자인 : 수행도와 반응률 측정을 중심으로

        곽소나,이동규,이민구,한정혜,김명석 한국로봇학회 2006 로봇학회 논문지 Vol.1 No.2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reinforcement theory would be effectively applied to teaching assistant robots between a robot and a student in the same way as it is applied to teaching methods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Participants interact with a teaching assistant robot in a 3 (types of robots: positive reinforcement vs. negative reinforcement vs. both reinforcements) by 2 (types of participants: honor students vs. backward students), within-subject experiment. Three different types of robots, such as ‘Ching-chan-ee’ which gives ‘positive reinforcement’, ‘Um-bul-ee’ which gives ‘negative reinforcement’, and ‘Sang-bul-ee’ which giv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inforcement’ are designed based on the reinforcement theory and the token reinforcement system. Participants’ task performance and reaction rate are measured according to the types of robots and the types of participants. In task performance, the negative reinforcement robot is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 two types, but regarding the number of stimulus, the less the stimulus is, the more effective the task performance is. Also, participants showed the highest reaction rate on the negative reinforcement robot which implies that the negative reinforcement robot is most effective to motivate students.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participants perceive the teaching assistant robot not as a toy but as a teaching assistant and the reinforcement interaction is important and effective for teaching assistant robots to motiv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implicated as an effective guideline to interaction design of teaching assistant robots.

      • KCI등재

        한국 화교의 문화 정체성 연구 - 올드커머스ㆍ뉴커머스ㆍ조선족의 비교연구 -

        곽소,장연연,천지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4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3 No.2

        정체성은 문화연구의 핵심의제이며 한국 화교의 문화 정체성은 더욱 복잡하다. 글로 벌시대, 국제이민의 성행과 더불어 한국사회도 부단히 다문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다. 중 한수교의 빈번함과 날로 밀접해지는 중한 관계로 화교자체는 한국사회의 중요한 구성부 분으로 되였다. 한국 화교는 세 집단으로 나눌 수 있다. 중한 수교 전에 타이완 여권을 가지고 있는 올드커머스(Old comers); 중한 수교 후 중국 여권을 가지고 있는 뉴커머스 (Newcomers); 그리고 한국의 “재외동포” 정책에 의해 입국한 조선족이다. 본 연구는 한국 화교의 세 집단에 대한 비교연구로, 인터뷰를 활용한 사례연구이다. 한국 화교들의 문화정체성의 현황을 분석하고, 인터뷰를 통하여 세 집단의 생활방식과 사상관념에 대한 보편성과 차이성을 알아보고 한국 화교들의 네트워크에 의해 그들의 사회적응과 융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례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issue of identity is central to cultural study, and undoubtedly identities of Chinese immigrants in Korea are more complicated. In the era of globalization, with the population of international migration, Korea has been moving toward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increasingly close bilateral relationship, Chinese immigrants has played a great role in Korea society. Chinese immigrants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Old-timers who take Taiwan’s passport(1945-1992); Newcomers who take China’s Passport(1992- ); Korean Chinese who enjoy overseas Koreans policies. By adopting the method of case study, the study carries on the comparative analysis among these three groups. From interviewees’ self-expression about their own life style and conception, we can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se groups. Therefore we can analysis recent situations of their cultural identities, based on which we can make relative suggestions for their better cultural adaption and social integration.

      • KCI등재

        지능형제품의 쾌락적 속성과 실용적 속성이 소비자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곽소나(주저자,교신저자) ( Sonya S. Kwak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2

        최근 정보통신 기술 및 로봇 기술이 기존 제품에 접목된 지능형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에게 보다 수용 가능한 지능형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인터랙션 방식 또는 지능화 부분을 고려한 지능형제품디자인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지능형제품은 모체제품이라고 불리는 기존 제품을 기반으로 하므로, 제품 속성 관점에서의 효과적인 지능형제품디자인방법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제품 속성에 따른 지능형제품 유형이 소비자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용실내화를 사례로 하여, 쾌락적 지능형제품과 실용적 지능형제품을 비교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제품선호도에 대해 피험자는 실용적 지능형유아용 실내화를 쾌락적 지능형 유아용 실내화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보다 높은 구매의사와 지불의사 금액을 나타냈다. 이는 유아용 실내화가 유아용 제품이라는 점에서 쾌락적 가치가 요구될 수도 있으나, 층간 소음이라는 사회적 문제와 관련된 제품이므로 실용적 가치가 보다 중요한 가치로 인식된 것으로 해석된다. Recently, an intelligent product in which information and robotic technologies are applied to an existing common product, called a mother product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develop intelligent products which could be accepted by users, various intelligent product design methods have been introduced considering various interaction aspects or intelligent parts to be made. However, as an intelligent product is originated in a mother product, intelligent product design methods based on product attributes need to be explored. In this study, the impact of intelligent product types by product attributes on users`` acceptance was investigated by comparing hedonic intelligent products and utilitarian intelligent products. An experiment was executed with child slippers as a case. As a result, participants evaluated utilitarian intelligent products more positively than hedonic intelligent products. They showed higher purchase intention and willingness to pay toward utilitarian intelligent products than hedonic intelligent products. In the case of child slippers, even though the hedonic attributes could be expected as they are child products, utilitarian attributes were perceived as much more important than hedonic attributes as the child slippers are related to the floor noise which is a severe social proble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