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비하르요가 전통의 짜끄라 수련체계 및 원리

        곽미자 한국요가학회 2019 요가학연구 Vol.- No.2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practices and principle of cakra according to Bihar Yoga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actices of cakra according to Bihar Yoga system are to awaken kuṇḍalinī. To awaken cakra is not the aim of practice but it is very important Second, the system of cakra practice is based on six cakras. However according to practice bindu chakra is included. Third, Six cakras can be practiced individually or all. When we practice individual cakra, ājñā cakra should first practiced. Fourth, Bihar Yoga System includes the various hatha techniques as well as pratyāhāra and dhāraṇā for awakening each cakra. Fifth, the practice of cakra is based on holistic health. For example, the spiritual yoga is possible by awakening cakra through the practice of āsana. Sixth, the principle of cakra practice is related to three śārīras, gross body, subtle body and causal body. It is recommended to practice from gross body to subtle body. Thus the practice of cakra of Bihar Yoga system is guided the various yoga techniques according to three bodies(sariras) for awakening kuṇḍalinīi. 본 연구의 목적은 북인도 요가를 대표하는 비하르요가 전통의 짜끄라 수련체계와 원리를 파악하는데 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하르요가의 짜끄라 수련은 꾼달리니 각성을 위한 예비 수련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꾼달리니 각성을 위해 짜끄라의 정화는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비하르요가의 짜끄라 수련체계는 여섯 짜끄라 체계를 기본으로 하지만, 요가명상법에서는 빈두 짜끄라를 포함하고 있다. 셋째, 비하르요가의 짜끄라 수련은 비하르요가의 짜끄라 수련은 각 짜끄라를 정화하고 각성하기 위한 개별적인 짜끄라 수련법뿐만 아니라 여섯 짜끄라 전체를 함께 수련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개별적으로 짜끄라를 수련할 때는 아갸 짜끄라부터 수련하도록 한다. 넷째, 비하르요가의 짜끄라 수련법은 다양한 기법들을 통합하고 있다. 즉 아사나, 쁘라나야마, 무드라 반다와 같은 하타요가 기법뿐만 아니라 아자빠 다라나, 뜨라따까, 요가니드라 등의 우빠니샤드와 딴뜨라의 여러 명상법들을 통합하고 있다. 다섯째, 비하르요가의 짜끄라 수련은 전인건강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아사나를 통해서도 짜끄라 각성과 더불어 영적인 차원의 수련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여섯째, 비하르요가의 짜끄라 수련의 원리는 다양한 수련기법과 적용방법들을 거친 몸에서부터 미세한 몸, 나아가 원인적인 몸으로 단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비하르요가 전통의 짜끄라 수련은 꾼달리니 각성을 위하여 세 가지 몸에 따른 수련체계를 고려하여 다양한 기법들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샹키야 철학과 바가바드기따의 구나(Guna)에 관한 비교연구

        곽미자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4 동서정신과학 Vol.7 No.1

        구나(guna)는 인도철학뿐만 아니라 인도문화에서 중요한 개념으로써 특히, 샹키야 철학과 바가바드기따에서는 가장 중요한 개념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샹키야 체계 중 특히 무신론과 이원론을 강조하고 있는 고전적 샹키야(Kārikā Sāńkhya)와 바가바드기따에서 언급되고 있는 구나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구나(guna)라는 용어에 관해서 일반적으로 번역되고 있는 ‘속성(quality)’이 두 체계에서는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오히려 샹키야에서 구나는 뿌루샤를 묶는 쁘라끄리띠의 끈으로서 활동하므로 '줄(rope), 실(thread), 끈(cord)'로 의미되며, 또한 구나는 뿌루샤를 위해 있으므로 ’부차적인 혹은 보조의 것(secondary)'을 의미한다. 바가바드기따에서 구나의 의미는 샹키야 철학에서만큼 명확하게 사용되지 않고 있으나 구나의 본질에 관한한 샹키야와 바가바드기따는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구나는 누구에게나 내재해 있으며 개인의 다양성은 사뜨와(sattva), 라자스(rajas), 따마스(tamas)라는 세 가지 구나 중 어느 것이 주도적인가에 따른 것으로 두 체계는 인정하고 있다. 신의 존재 유무에 따라 샹키야와 바가바드기따에서는 구나와 관련하여 몇 가지 차이점을 나타낸다. 첫째, 고전적 샹키야에서는 신을 믿지 않으며, 뿌루샤와 마찬가지로 쁘라끄리띠를 독립된 실체로 인정하고 있으므로, 구나는 쁘라끄리띠의 산물이 아니라 구나의 평형상태에서도 쁘라끄리띠를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바가바드기따에서는 신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으며, 구나는 신의 도구로서 활용하고 있다는 차원에서 쁘라끄리띠의 산물이라 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구나를 초월하고 있는 신으로부터 나오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샹키야에서는 구나의 평형상태가 깨어짐으로써 쁘라끄리띠의 전개가 이루어지므로 구나의 기능이 형이상학적인 양상에 초점을 더 두고 있다면, 바가바드기따에서는 세상만물은 신에 의해 창조되므로 구나의 기능은 사이킥(psychic) 양상에 더 비중을 두고 있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샹키야에서 구나는 항상 활동적인 구나로부터 초월해있는 뿌루샤를 위해 있으므로 비활동적인 뿌루샤와 관련되어있지 않다. 하지만 바가바드기따에서는 비록 신이 구나의 작용으로부터 영향을 받지는 않지만 구나는 신과 연관

      • KCI등재후보

        까쉬미르 샤이비즘의 의식발달의 의미와 의식변형의 실제 : 스와미 묵따난다의 영적 자서전을 중심으로

        곽미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연구소 2020 자연치유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in Kashmir śaivism and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by purifying the three spiritual impurities(mala) through the spiritual autobiography by Swami Muktananda. Swami Muktananda portrayed the main phenomena manifested by the purification of the spiritual impurity that is blocking the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with four inner lights: red, white, black and blue. At the stage of the red light appeared various physical kriyas and visions and extraordinary desires that take place in the gross body(stula sarira) which appeared in the process of purification of karma mala. At the stage of white light, it is connected to the purification of mayiya mala which is connected to the subtle body(sushukma sarira). At the stage of black light, it is connected to the purification of anava mala, the spiritual impurity of the causal bod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types of purification of spiritual impurity and the various experiences of consciousness that are experienced in the purification of spiritual impurity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지식요가(jñāna yoga)를 통한 심리치료의 가능성

        곽미자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4 동서정신과학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삶의 궁극적인 목적인 자기실현을 염두에 두면서도 구체적으로 자기실현에 이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지식요가를 바탕으로 심리치료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지식요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위하여 지식의 고차원적인 것과 저차원적인 것을 살펴보았다. 지식요가는 궁극적인 실재 즉 참나에 대한 직접적인 앎(고차원적 지식)을 통하여 참나와 합일하는 것이다. 지식요가에서는 참나가 아닌 것과의 비동일시가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지식요가에 의하면 고통은 ‘나라는 생각’이 일어남으로써 자신을 몸, 마음과 동일시하는데서 비롯된다. 따라서 참나가 아닌 것과의 비동일시와 참나와의 동일시를 위한 지식요가의 기본적인 수행법인 자기탐구, ‘나는 브라만이다’라는 긍정의 길과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니다’라는 의미의 네티 네티(neti neti)의 수행법을 살펴보았다. 또한 지식요가에서는 강한 의구심과 탐구심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강한 의구심과 탐구심이 없다면 ‘나는 브라만이다’ 혹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수행법은 단지 생각차원에 머물기 때문이며 진정한 지식요가가 아니라는 것도 이해하였다. 지식요가의 기본수행법들을 토대로 심리치료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연구자의 경험을 토대로 소개하였다. 그 중 참나가 아닌 것과의 비동일시 기법에서는 주로 바라봄(witness)을 발달시킴으로써 자신은 경험의 대상이 아닌 그 경험들을 바라보는 자임을 인식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 KCI등재

        박티요가를 통한 심리치유의 이해

        곽미자 한국건강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1 No.2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bhakti yoga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types of yoga. Bhakti yoga is called yoga of devotion or yoga of love. The meaning of bhakti or bhakti yoga was reviewed through the bahkti sutras by Narada. According to Narada, bhakti has been described as the supreme love towards God and as means as well as goal for God-realization. As means to get the supreme love toward God, it is called apara(lower) bhakti, as goal, para(higher) bhakti. This study reviewed the nine practices of bhakti yoga through srimad bhagavata which is the scripture of bhakti yoga based on the worship of Lord Krishna and other practices of bhakti yoga. I tried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healing through practices of bhakti yoga and the meaning of healing through the meaning of bhakti and bhakti yoga. Bhakti yoga gives the idea of holistic health in detail because it brings psychotherapeutic value as well as spiritual healing. 본 연구는 요가의 주요 체계중 하나인 박티요가를 통하여 심리치유의 가능성과 박티요가에서 바라보는 심리치유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박티요가는 헌신요가 또는 신애의 요가로 알려져 있는데, 박티요가의 주요 경전중의 하나인 나라다의 박티 수트라를 통해서 박티와 박티요가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나라다에 의하면 박티는 신에 대한 지고한 사랑이며, 박티는 신에 대한 지고한 사랑을 이루기 위한 수단이면서도 지고한 사랑 그 자체인 목적이다. 수단에 관하여 박티의 낮은 차원인 아파라 박티를 의미하며 목적에 관하여 박티의 고차원적인 측면인 파라 박티를 의미함을 논하였다. 박티요가의 수련법은 바가바타라는 박티 경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심리치유의 가치에 초점을 두고 수련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박티요가의 의미와 수련법을 토대로 박티요가의 심리치유적인 활용 가능성과 박티요가에서 보는 심리치유의 의미를 제시하였다. 박티요가의 다양한 수련법들은 심리치유뿐만 아니라 영적치유에도 도움이 될 수 있어 전일건강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박티요가가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카쉬미르 쉐비즘의 우파야를 토대로 한 의식발달

        곽미자 한국상담학회 2007 상담학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according to upaya in the kashmir śaivism which is one of the schools of saiva tantra. In this study the nature of consciousness according to kashmir śaivism has been discussed as pure knowledge(jnana) and activity (sakti). This concept of consciousness seems to describe the gradual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of kashmir śaivism means the removal of impurities(malas). Three malas imply how unlimited pure consciousness is contracted. Three upayas(meas of Self realization) have been discussed as the method of expanding the limited consciousness. Three impurities(malas) are related to three upayas each other. For example, karma mala, which is gross impurity, is counteracted by anavopaya which is the means(sadhana) of the body. Mayiya mala, subtle impurity is countered by shaktopaya, which is the means of the mind. Anava mala, more subtle impurity is countered by shambhavopaya which is the means of the soul or spirit. The following findings are significant and noteworthy: 1) the meaning of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as the removal of impurities; 2) the relationship between upaya(means) and the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3) the need to apply the different method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Keywords : tantra, kashmir śaivism,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upaya, mala 본 연구는 문헌을 통하여 쉬바파 탄트라 학파 중 하나인 카쉬미르 쉐비즘의 수행체계인 우파야를 중심으로 의식발달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카쉬미르 쉐비즘에서는 의식의 본질에 관하여, 무엇보다 샥티를 수용하여 지식과 역동성을 하나의 의식의 본성으로 보았다. 의식은 지식뿐만 아니라 에너지(샥티)이라는 관점은 의식발달의 점진적인 위계의 다양성을 시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가지 유형의 영적불순(mala)을 살펴봄으로써, 그 결과 의식발달의 의미는 의식을 가리고 있는 영적불순 즉 말라(mala)의 정화를 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세 가지 말라는 무한한 의식이 어떻게 수축되어 한정되는지를 설명하고 있으며, 이러한 의식의 수축을 다시 확장시키는 방법으로써 세 가지 유형의 우파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세 가지 우파야는 세 가지 말라와 서로 관련이 있으며, 각각의 말라를 정화하기 위하여 그에 상응하는 의식발달의 방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테면 가장 거친 형태의 불순인 카르마 말라를 정화하기 위해서는 몸의 요가라고 하는 아나보파야가 필요하며, 미세한 불순인 마이야 말라를 정화하기 위하여 마음의 요가라고 하는 샥토파야가 필요하며, 가장 미세한 불순인 아나바 말라를 정화하기 위하여 영성의 요가라고 하는 삼바보파야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련법과 의식발달은 서로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다양한 수련법이 있지만 자신의 의식발달에 따라 수련법이 달라져야 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주요어 : 탄트라, 카쉬미르 쉐비즘, 의식발달, 우퍄야, 말라, 수행체계, 수련법, 요가

      • KCI등재후보

        딴뜨라 수행체계를 통한 의식변형 - 『비갸나바이라바 딴뜨라』의 다라나 분석을 중심으로

        곽미자 한국요가학회 2019 요가학연구 Vol.- No.22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through analysing the upāya of the 112 dhāraṇās in "Vijňānabhairava Tantra". The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means the expansion of consciousness through the purity of spiritual impurity(mala). It is called upāya the way of purifying. There are three upāyas, śāmbhavopāya(spiritual yoga), śaktopāya(psychological yoga), āņavopāya(physical yoga) which is related to the spiritual impurity(mala). For example, śāmbhavopāya is related to ānava mala, śaktopāya to māyiya mala, āņavopāya.to kārma mal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e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is hierarchical and progressive even though the purpose of dhāraṇās is same. Second, the way of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is presented from śāmbhavopāya to āņavopāya because spiritual yoga is close to our ultimate reality. Third, the way of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is the way of purifying of spiritual impurity. Forth, most of dhāraṇās in "Vijňānabhairava Tantra" are focused on śaktopāya (psychological yoga), which means the use of right mind for the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본 연구의 목적은 딴뜨라의 수행체계인 세 가지 우빠야를 중심으로 『비갸나바이라바 딴뜨라』에 제시된 112가지 다라나를 분석하여 딴뜨라 수행체계의 의식변형을 살펴보는데 있다. 쉬바파 딴뜨라에서 의식변형은 영적불순의 정화를 통한 의식의 확장이다. 쉬바파 딴뜨라에서는 의식 확장의 방법을 우빠야라고 하며, 삼바보빠야, 샥또빠야, 아나보빠야가 있다. 세 가지 우빠야는 의식변형의 위계적이고 점진적인 방법으로서 세 가지 영적불순(아나바 말라, 마이야 말라, 까르마 말라)과 밀접한 연계성을 가지고 있다. 『비갸나바이라바 딴뜨라』의 다라나들이 세 가지 수행체계별로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싱과 락슈만주의 분류체계를 토대로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식변형은 세 가지 우빠야의 위계적이고 점진적인 과정이다. 비록 의식변형은 위계적인 과정이지만 모든 다라나의 수행목적은 쉬바 의식과 하나됨이다. 둘째, 의식변형의 방법은 높은 차원의 수행체계부터 제시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누구나 쉬바 본성을 재인식할 수 있으며, 높은 차원의 수행법이 좀 더 쉬바 본성을 실현하는데 직접적이기 때문이다. 셋째, 의식변형은 세 가지 영적 불순의 정화과정이다. 넷째, 비갸나바이라바 딴뜨라의 다라나는 샥토빠야에 해당되는 수련법이 대부분이어서 마음을 바르게 사용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 KCI등재

        판차 코샤를 통한 요가치료의 이해와 치료방법 고찰

        곽미자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yoga therapy for holistic health based on pancha koshas and find out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yoga therapists. According to many definitions of yoga therapy, there are some common factors; 1. focus on the holistic health: physic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2. adaptation and application of yoga techniques and principles. 3. yoga therapy is preventive in nature, and reduces symptos and helps spiritual awakening. From the view of yoga therapy based on pancha koshas, the expansion of consciousness or the awakening of cosmic energy(mahaprana) is the principle of yoga therapy. Ignorance is the cause of the all diseases from gross body and astral body according to yoga therapy. This study reviewed there are different ways on pancha koshas according to researchers because of different understandings of yogic techniques, of root disease, of pancha koshas. So deep and exact understanding of yoga brings the development of yoga therapy. This is the problem to be solved by yoga therapists. 본 연구는 요가의 여러 홀리스틱 접근 모형들 중 요가치료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판차 코샤를 중심으로 홀리스틱 건강에 대한 요가치료의 이해와 치료방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요가치료 방법의 향후 발달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요가치료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을 통하여 공통된 특징을 살펴본 결과, 요가치료는 홀리스틱 관점을 지향하며, 요가의 다양한 기법과 원리들을 적용하고 있으며, 증상의 완화뿐만 아니라 예방 또는 영적인 각성을 포함하고 있다. 다섯 가지 덮개, 또는 층을 의미하는 판차 코샤를 통하여 홀리스틱 건강을 위한 요가치료의 관점을 제시하였다. 다섯 가지 코샤에 내재해 있으면서 초월해 있는 순수의식 또는 우주적 에너지에 대한 이해로 요가치료는 의식의 확장이며, 우주적 에너지의 각성이라고 볼 수 있다. 요가치료에서는 질병의 근원을 무지로 보며, 이는 거친 몸과 미세한 아스트랄 몸의 질병의 근원이기도 하다. 또한 판차 코샤를 통한 요가치료 방법들에 대해 고찰한 결과, 요가의 다양한 수행방법에 대한 깊은 이해와 질병이 생기게 되는 근원적인 원인과 다섯 가지 코샤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