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그 개념적 관련성 고찰 : 예술에 대한 탈근대적 이해 및 그 교육적 가치를 중심으로

        곽덕주(Duck-Joo, Kwak),서정은(Jeong-Eun, Seo)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5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 담론 및 접근에서의 개념적 혼동을 줄여 현장의 문화예술교육실천가들의 실천에 보다 명료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 정책에서 가정 되어야할 ‘예술’ 및 ‘예술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개념적으로 명료화하는 데에 일차적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근대적 예술관에 기반한 예술교육 접근으로서 ‘예술을 위한 교육’, ‘예술에대한 교육’, ‘예술을 통한 교육’ 이라는 세 개념을 각각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둘째, 이러한 세 가지 접근을 보다 통합적으로 극복할 수 있게 하는 탈근대적 예술이론의 기초로서 존 듀이와질 들뢰즈의 예술관에 주목하여 분과적인 근대 예술관을 넘어서는 예술의 의미 및 교육적 가치를탐색할 것이다. 셋째, 이를 통한 예술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예술’, ‘교육’, ‘문화’를 어떻게 내적으로 새롭게 연결시키는지를 살필 것이다. 이러한 연구내용들은 문헌연구에 기초한 논증의 방법을 통해 보다 세부적으로 분석되고 검토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듀이와 를뢰즈의예술관에 기초하여 예술 교육이 그 고유의 정신을 실천하고 지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때, 우리의 삶에서 예술은 교육과 문화를 유기적으로 매개하는 실천적 활동이라는 것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근대적 예술관에 기초한 위의 세 가지 예술교육접근을 새롭게 범주화하는 한 가지 새로운 방안(예술 안에서의 교육, 교육 안에서의 예술, 사회 안에서의 예술)을 시험적으로 제안한다. The paper aims to investigate and clarify the conceptual connections among art, education and culture, which have been vague and confused in the arts education policy in Korea. The confusion was always the source of troubles for arts education practitioners in Korea since it tends to lead them into totally different approaches to arts education in their practices. In doing so, the paper first critically examines three commonly received approaches to arts education for the last few decades: education for the sake of arts, education through arts, education about arts, to see if the way each approach views the conceptual relation between arts and education can be valid for contemporary arts education today. Second, it examines two distinctive thinkers’ philosophical views on arts, John Dewey’s and Gilles Deleuze’s, to see if they can provide better concepts of the relation between arts and education where arts-experience is itself educative. Finally, the paper boldly attempts to show how art, education and culture can be conceptually connected in such a way as to give a direction on how arts education is to be delivered in the practice. This suggestion is supposed to show how arts education can be a way of awakening aesthetic experiences in the learner, where a principle of arts or artistic spirit plays a central role in the growth of learners’ being. In conclusion, the paper proposes a new way of framing arts education in Korea: education in arts, arts in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in society. These are all supposed to be governed by principles of arts or artistic spirit in their educational approaches because doing arts are the very way of being educative.

      • KCI등재

        상상력과 지식교육: 이건과 비고츠키를 중심으로

        곽덕주 ( Kwak Duck-joo ),최진 ( Choi Jin ),김회용 ( Kim Hoy-yo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6 교육철학연구 Vol.38 No.4

        본 논문은 최근 우리나라에서 뜨겁게 논의되고 있는 창의성 혹은 상상력 교육담론의 정당성을 교육 내적 원리에 근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는다. 이것은 상상력과 합리성을 서로 대비되는 것으로 바라보는 우리의 근대적 편견을 바로 잡고 이 둘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교수·학습의 원리를 정립하는 데 기여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상상력 개념을 철학사적으로 검토한 캐나다의 교육철학자 키렌 이건의 논의를 재구성하며 교육적으로 주목할만한 상상력의 개념과 그것의 핵심적 특징을 탐색해 본다. 그리고 이러한 상상력 개념이 교수·학습의 맥락에서 의미하는 바를 고찰하기 위하여 고등정신능력의 발달에서 상상력이 차지하는 역할을 탐색한 러시아의 발달심리학자이자 문화기호학자인 비고츠키의 논의를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여기서는 특히 상상력이 개념적 사고의 발달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봄으로서 입시위주의 우리나라 지식교육의 병폐를 진단하고 처방할 수 있게 하는 교수·학습적 관점의 이론적 토대를 모색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상력을 요청하는 고등정신능력의 개발을 위한 교수·학습의 원리로서 이건의 심층학습(deep-learning)의 개념을 하나의 대안적 사례로 간단하게 소개한다. This essay attempts to examine the role of imagination in knowledge education, which has been one of the hottest issues these days in Korea in the name of creativity education. What is theoretically at stake in this task is to find a way of integrating imagination and rationality in teaching and learning knowledge, the roles of which have been wrongly considered separate and even contradictory in the function of the human mind. To do so, it first reconstructs a Canadian educational philosopher Kieran Egan`s philosophically historical review of the concept of imagination. This will lead us to establish an educationally constructive concept of imagination, the concept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underestimated in its educational utility due to its subordinated status to reason or rationality in constituting human consciousness or intentionality. Secondly, it will examine Lev Vygotsky`s developmental theory of imagination to draw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in teaching and learning, namely how to develop and foster imagination in an educationally meaningful manner. The reconstruction of Egan`s view on the conceptual development of imagination will show how the concept has been evolved along with the change in our world view, making a shift from the secondary human faculty being in service of the absolute God in the pre-modern world gradually into the primary human faculty to construct and create human meanings and values as the source of active thinking in the modern world. Parallel to the conceptual shift, our examination of Vygotsky`s theory of imagination traces his ideas on how the imagination in childhood develops into the imagination in the adolescent; the imagination in two stages takes completely different forms and paths in their development. According to Vygotsky, the imagination in the adolescent is critical to the development of the higher mental functions of human faculties including conceptual thinking, which has been one of the critical concern in knowledge education. Here the distinc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visual conceptualization as a form of generalization and abstract conceptualization as a form of abstraction are addressed with a great importance to reveal their independent and interactive roles in the higher functions of the human mind. Lastly, this essay concludes with Egan`s idea of deep learning, which shows the importance of imagination in knowledge education. It is suggested as an educationally proper response to the malaise of exam-obsessed culture of knowledge education in Korea. For learning in depth is a form of learning for higher mental ability which requires the development of imagination, first and foremost.

      • KCI등재

        "실천철학"으로서의 교육철학하기: Wilfred Carr의 견해를 중심으로

        곽덕주 ( Duck Joo Kwak ),나병현 ( Byung Hyun Nah ),유재봉 ( Jae Bong Yoo ) 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연구 Vol.45 No.-

        이 논문은 영미의 분석적 교육철학이 퇴조한 후 논의되기 시작한 `실천철학(practical philosophy)`으로서의 교육철학적 접근의 특징과 과제를 영국의 교육철학자 Wilfred Carr의 논의를 중심으로 자세히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실천철학으로서의 교육철학적 접근은 오늘날 한국의 적지 않은 교육철학자들이 실제 교육철학을 하고 있는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철학자들 간에 그 접근의 철학적 가정과 논리적 구조, 교육실천과의 관련성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되거나 체계적으로 검토된 적은 없어 보인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이러한 논의의 시작을 희망하며, 실천철학으로서의 교육철학적 접근에 대해 지난 20여 년 동안 포괄적이고 의식적으로 탐구해온 Carr의 논의를 빌려 고찰해 봄으로써 현재 우리가 하고 있는 철학적 작업의 특징과 의미를 성찰해 보고자 한다. 이것은 실천철학으로서의 교육철학하기의 실천적 가능성을 확장하는 데에도 공헌할 것으로 믿는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hilosophy of education as `practical philosophy` in terms of its philosophical assumptions on its relation to educational practice as well as to educational research. In doing it, it focuses exclusively on the works of Wilfred Carr, a British philosopher of education, who has been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commit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is approach for more than the last 20 years. He proposes this approach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analytic approach in philosophy of education. The idea of philosophy of education as `practical philosophy` is not completely new to Korean philosophers of education today. In fact, many of us have already practiced it in our doing philosophy of education. But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has rarely made it the object of its serious academic discourse as a way of making sense of what we were doing. Thus, this paper can be seen as opening up the discourse, providing us with a chance to collectively reflect on the nature of what we philosophers of education have been doing as researchers as well as teachers. It will also contribute to enriching and expanding the ways in which we are doing philosophy of education in the Korean contexts.

      • KCI등재

        맥신 그린의 ‘미적 체험 예술교육 접근’의 인문교육적 가치: 새로운 ‘인문적’ 교수-학습 패러다임을 탐색하며

        곽덕주 ( Kwak Duck Joo ),최진 ( Choi Jin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8 교육철학연구 Vol.40 No.2

        본 논문은 오늘날 인문학이 처한 교육적 위기의 본질을 진단해보며, 인문적 사유의 고유한 특징을 탐색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문적 사유를 함양하는 좋은 교수-학습 모델로서 맥신 그린이 제안한 미적 체험(aesthetic experience) 예술교육 접근을 검토하며, 교육에 보다 포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인문적 교수-학습’ 방법의 구체적 원리나 특징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전통적으로 인문학은 개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삶과 인간 세계에 대해 성찰하고 사유하게 하는 데 그 교육적 의의가 있는 데 반해, 근대 이후 학문분과적인 인문학의 경향은 이론적인 사유방식을 강조함으로써 학생 개인의 삶 및 내적 관심과 연결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본 논문은 개인적 관여나 관심으로 연결될 수 있는 인문(학)적 성찰의 고유한 성격이 어떤 것일 수 있는지 밝히기 위해, 먼저인문학 고유의 ‘윤리적 텍스트 읽기’ 개념을 소개한다. 그리고 예술작품을 ‘텍스트’로 하여 자기관계를 형성하고 변화시킨다는 의미에서 이러한 윤리적 텍스트 읽기의 한 사례를 보여주는 맥신 그린의 미적 체험 예술교육 접근의 특징을 재구성하고 분석함으로써, 예술작품이나 예술창작을 통한 미적 체험 예술교육이 어떻게 인문교육적 가치를 지닐 수 있는지 보여주는 동시에, 교수-학습의 영역에 보다 포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인문적 교수-학습의 패러다임을 개념화하는 데에 확장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This essay attempts to explore a possibility of viewing an aesthetic approach to arts education as formulated by Maxine Greene, a well-known American philosopher of education, as exemplifying a new paradigm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humanities. It starts with the diagnosis of the humanities education today that globally faces its serious trouble in showing its public utilities in this highly technological world. What seems to be at stake in the trouble is its failure to show the educational power that is unique to the humanistic thinking or reflection. The traditional humanities exerted its power in its highly theoretical and rationalistic way of thinking, which is now in decline in the midst of the anti-rationalistic post-modern culture. It needs to find its way of being re-connected to the public or students’ personal culture and emotions to recover its relevance to the society at large. The essay attempts to show one way of recovering it by drawing upon the aesthetic approach to arts education as one example of the humanities education. To do so, it will first examine Peter Brooks’ idea of ethical reading as a newly defining concept of the humanistic reading. This concept will guide us to reconstruct Maxine Greene’s idea of aesthetic education in arts. In reconstructing her philosophy of aesthetic education in arts, we will show how aesthetic approach to arts education centering on works of art can be a way of transforming students from inside and affect the way they relate to themselves by way of reading art-works slowly, carefully and interpretatively. We will also argue that this change in self-rela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hance in our relation to others and the world as a whole by drawing upon Hannah Arendt’s political theory based on Kant’s aesthetic philosophy. In other words, the aesthetic approach to arts education can be said to pursue the double changes in students: changes in self-relation and changes in their relation to the world. In conclusion, the essay in the end tries to show how the aesthetic approach to arts education can be educationally resourceful in showing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arts education and exemplifying a new humanistic approach in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근대교육에서의 교육적 역설과 그 교육적 의의

        곽덕주 ( Duck Joo Kwak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연구 Vol.35 No.4

        본 논문은 근대 교육에 내재한 상호 상충하는 두 가지 목적, 즉 사회화와 개별화에 기원이 있는 교육적 역설의 문제를 해명하는 한 가지 방식을 제시하고, 교육실천에서 이 문제를 교육 불가능성이 아닌 오히려 교육적 계기로 다룰 수 있는 교육이론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전통적 자유교육론을 재해석한 오크쇼트의 자유교육론을 교육적 역설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그리고 오크쇼트의 자유교육론을 좀더 일관되게 설명하고 보완하기 위해 소크라테스의 무지의 자각 개념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역설의 문제를 (자유) 교육에 필수적인 것으로 해명하는 마이클 울젠스의 논의를 따라가며, 주체성과 상호주체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 후기근대 (자유)교육론의 이론적 발전 가능성을 개념적으로 탐색해 본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nature of pedagogical paradox that originates from the two competing educational purposes, socialization and individuation, inherent in the modern concept of liberal education, and to explore a way of making the paradox, not an educational impasse, but an educational chance for growth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educational context. In doing so, I first critically examine Michael Oakeshott`s idea of liberal education which newly formulates the traditional ideal of liberal education in the western tradition. It will show how he was not fully aware of pedagogical paradox presupposed in his idea of liberal education and thereby unable to explain where the learner` motivation for liberal learning derives from to be a self-conscious liberal learner. Secondly I introduce my interpretation of Socrates` teaching of "acknowledgment of self-ignorance" to make Oakeshott`s account of the liberal learner more coherent and persuasive. Lastly, I discuss Michael Uljens`s account of pedagogical paradox. He takes the paradox seriously as essential to liberal education for the late-modern era and shows how it can be made sense by introducing three key educational concepts. They are: teachers` recognition of students` possibility as persons, their provocation for students` self-activity and self-conscious effort, and their acceptance of students` self-conscious learning as precondition for students` freedom. What is so original about Ulgens` idea of liberal education in dealing with pedagogical paradox is that he suggests to us a way of upholding both ``subjectivity`` and ``inter-subjectivity`` as two key independent polars in education without reducing one to the other, while accepting that students` subjectivity is constituted through the mediation of their inter-subjectivity with teache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감정교육으로서의 예술교육: 예술경험의 교육적 가치 탐색

        최진 ( Jin Choi ),곽덕주 ( Duck Joo Kwak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5 교육철학연구 Vol.37 No.1

        이 글은 현재 우리나라의 공교육을 비롯한 도처의 교육현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예술교육의 확대 현상에 주목하고 이 현상에 결부된 기대가 주로 인성의 함양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이 둘의 연관성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적 설명이나 해명은 부재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이 연관성을 밝힐 하나의 설명 방식으로서 ‘감정교육’의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특정 예술영역에 종사하는 전문 예술인이 아닌 보통 사람을 위한 예술교육에서 의미할 수 있는 ‘예술’과 ‘예술경험’의 개념을 밝히고, 이것의 교육적 가치를 탐색한다. 이탐색에서 핵심적 관심은 예술경험을 통한 교육에서 감정과 정서가 차지하는 중요성에 있다. 그리하여 감정 혹은 감정적 인식이 인간적 품성의 함양과 맺는 관계를 누스바움의 ‘서사적 상상력을 통한 공감적 이해’와 로빈슨의 ‘감정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보며 예술교육을 통한 인간성 함양은 결국 우리가 처한 삶의 구체적 맥락에서 이전과는 다른 다양한 각도로 그 상황을 바라보고 섬세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의 도덕적 상상력의 계발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This essay attempts to make a conceptual clarifica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arts education and its alleged aim as the development of humanities, connection which has been taken for granted in the recent development of arts-education movement mobilized by the government. This clarification draws upon the idea of sentimental education as the aim of arts-education. As the first step to embark on this task, we try to clarify the nature of arts and our experiences in arts which make ``arts`` a unique set of subject-matters for education for all, not just for professional artists. And then we take the second step to explore this nature in terms of its educational values and significance in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youngster``s humanities. We takes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arts as their power to engage us into them "emotionally." Arts are in a symbolic structure of different qualitative languages that stimulates and engage us emotionally into its subject-matter. This emotional power triggers in us narrative imaginations and empathy in Nussbaum``s terms, and cultivates our emotions in the form of sentimental education in Robinson``s theory, so as to form and transform our sense of being human as well as the way we treat others as human beings. Therefore, we can say in conclusion that one of the purposes of arts education is to develop moral imagination within us that can develop our capability to perceive, feel, and understand the concrete situations of moral dilemma and predicament around us in a manner different from before in order to respond to the world in a new and creative way. This capability is required for the citizens of the world today which is pluralistic in values and in which things are constantly changing and unpredictable without a set of criteria for us to live by.

      • KCI등재

        교육철학 방법으로서의 프래그머티즘 재음미

        한기철(Han, Gicheol),곽덕주(Kwak, Duk-Joo),김상섭(Kim, San-S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0 敎育思想硏究 Vol.24 No.1

        이 글은 프래그머티즘을 교육철학 탐구의 한 방법으로 논의하는 일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논문의 초두에서 먼저 ‘학문의 방법’이 의미하는 바를 과학적인 방법을 들어 제시해 보고, 그 맥락에서 철학적인 방법과 나아가 교육철학의 방법이 갖는 다원적인 성격을 논의한다. 프래그머티즘을 교육철학의 한 방법으로 도입하기 위해 연구자는 최근 들어 국내 교육철학계에서 종종 등장하는 ‘프랙티스’ 개념에 대한 논의 흐름과 그것이 프래그머티즘의 지식관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교과를 프랙티스로서 가르쳐야 한다’는 말은 학교에서 배우게 되는 공식적인 지식을 학생들 각자의 비공식적인 세계, 그들의 삶이 펼쳐지는 세계와 연결 짓고, 후자를 전자를 통해 더욱 풍부하게 살찌운다는 말로 해석된다. 그리고 이 점에서 프랙티스 개념은 바로 프래그머티즘이 추구하는 지식에 대한 관점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nvestigate how it can be done to discuss Pragmatism as a method of doing Philosophy of Education. The essay begins with discussing what it means to say of ‘a method of an academic discipline’ by giving an example of ‘scientific method’, and in that context further discusses about the multiplicity of philosophical method and methods of philosophy of education. For inviting Pragmatism as a method of philosophy of education, the author of the essay analyses the concept of the practice which has recently been one of the major topics in the community of philosophers of education in Korea, and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the concept with the Pragmatic perspective of knowledge. What it means to ‘teach school subjects as practices’ is to link the official school knowledge with the unofficial world of the students and their own life, and make the latter rich with the former. And in this respect, the concept of the practice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viewpoint that Pragmatism pur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