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뇌성마비아동의 실제생활에서의 기능에 관한 연구

        고유정,오명화,Ko, You-Jeong,Oh, Myung-Hwa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st the social function, communication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gross motor function beyond existing research on physical function and functional capacity in cerebral palsy. 43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social function, communication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gross motor function. The greates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ocial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ignificant higher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items of social function and communication, but were lower between social function and gross motor fun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we consider the social aspects of func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the area of rehabilitation in order to focus on the problem in real life.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동의 신체적 기능과 기능적인 능력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아동의 사회적 능력, 의사소통 능력, 일상생활활동, 대근육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뇌성마비 진단을 받은 아동 43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한 결과 사회적 기능, 일상생활활동, 의사소통능력, 대동작활동과의 상관관계에서 네영역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사회적 기능과 일상생활활동과 하부항목 간의 상관관계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사회적 능력의 하부항목들과 의사소통능력과의 상관관계가 높은 반면 대근육활동과의 상관관계에서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재활영역에서 뇌성마비 아동들의 실제 생활에서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기능의 사회적인 측면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임상 시나리오를 통한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 적용

        고유정(You-Jeong K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5

        이 연구는 임상 시나리오 통한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을 통해 학습자들의 수업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아동작업치료학 강의의 학습내용과 학습목표에 맞는 임상과 관련한 시나리오를 만들고 이와 관련한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례연구, 평가지 등을 선정하였다. 작업치료과 2학년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아동작업치료 과목에 적용한 결과 대부분의 학습자가 수업에 만족하였다. 앞으로 학습자의 PBL 학습 방법에 대한 수용도를 파악하고, 토의를 통해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학습행위를 이끌어 내기 위한 PBL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한글판 Children Participation Question aire(K-CPQ)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고유정(You-Jeong Ko),고수정(Su-Jeong Ko),채수경(Soo-Gyuong Chae)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3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299명을 대상으로 K-CPQ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여 국내 발달장애아동의 참여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임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K-CPQ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a값을 구하고 검사-재검사 신뢰도검사를 위해 Pearson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K-CPQ의 각 영역에서 내적일치도(a=.81∼.90)는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보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검사에서는 Pearson 상관계수(r= .807∼.843)가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K-CPQ의 판별타당도의 검증을 위해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그룹의 각 영역을 비교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t=2.32∼5.18)를 보였다(p<.05∼p<.01). K-CPQ의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K-SMS와 K- SFA의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 .817, r= .743)를 보였다(p<.01). 본 연구를 통해, K-CPQ가 신뢰도 및 타당도를 갖춘 평가도구임을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K-CPQ의 다각적인 연구로 장애아동의 사회참여와 통합을 위해 적절한 중재를 1공하기 위한 평가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CPQ in 299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nd non disabled children to prove their level of participation in Korea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K-CPQ, Cronbach a was calculated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for test retest reliability test. As a result, the internal consistency(a=.81∼.90) in each area of K-CPQ was relatively high an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807∼.843) in the test retest reliability test was significant in all areas(p<.01).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reas(t=2.32∼5.18) in comparison with the non disabled children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K-CPQ. For the criterion related validity of the K CPQ,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of K SMS and K-SFA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r=.817, r=743) showed(p<.01). Through this study, K-CPQ has been confirmed as a reliable and reasonable assessment tool and we expect that diverse research by K-CPQ will provide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아동의 일상생활활동 평가도구에 관한 연구

        고유정(You-Jeong Ko),오명화(Myung-Hwa Oh)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7 No.2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동을 대상으로 일상생활활동수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 도구인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와 아동을 위한 기능적 독립 측정(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of Children: WeeFIM), 사물조작 기능 분류체계(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 대동작 기능 분류체계(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와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장애판정 지표인 MBI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전문재활병원에서 작업치료와 물리치료를 받고 있는 뇌성마비 아동 82명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MBI와 WeeFIM과의 상관계수가 r=.920(p<0.001), MACS와의 상관계수가 r=-.765(p<0.001), GMFCS는 상관계수가 r=-.851(p<0.001)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뇌병변 장애등급 판정 기준으로 사용하는 MBI와 WeeFIM, MACS, GMFCS와의 높은 상관관계는 장애판정 지표인 MBI를 뇌성마비 장애아동들을 대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disability evaluation indicators, the Modified Barthel Index(MBI) as a measurement tool for assessing the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dified Barthel Index(MBI),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of Children(WeeFIM), and the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MACS), and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GMFCS). The subject was 82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validity was examined by calculation of correlation between the Modified Barthel Index(MBI) and the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of Children(WeeFIM) and the Modified Barthel Index(MBI), the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MACS) and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GMFCS). There were a goo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BI and the WeeFIM(r=.920, p<0.001) and the MBI and the MACS(r=-.765, p<0.001) and the GMFCS(r=-.851, p< 0.001).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MBI that is used as the basis of grading cerebral palsy and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ACS, GMFCS suggest that disability evaluation indicators, the MBI could be useful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