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채화교육이 회복탄력성, 정서안정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중국 광서성 N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왕염방 ( Yanfang Wang ),고영춘 ( Youngchun Ko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중국 광서성 N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채화교육이 회복탄력성, 정서안정 및 자기표현의 심리적 변수들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은 중국 광서성 N대학생들인 실험군 205명과 대조군 203명인 총 408명이었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평균값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t 검증 및 F 검증을 한다. 연구 내용: 대학생들의 수채화교육이 회복탄력성, 정성안정 및 자기표현의 향상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본다. 결론 및 제언: 대학생들이 수채화교육 후, 심리적 요소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회복탄력성, 정서안정 및 자기표현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추후연구에서는 수채화의 실습교육뿐만이 아니라 각종 악기연주의 교육을 통해서도 대학생들의 회복탄력성, 정서안정 및 자기표현의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watercolor education on psychological variables of resilience, emotional stability, and self-expression for N University students in Gwangxi Province, Chin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408 students, 20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3 in the control group, who were students of N University in Gwangxi Province. The SPSS 25 program i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of data.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value, t verification and F verification are performed.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watercolor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ffects the increase of resilience, emotional stability, and self-expression. As a conclusion, it is found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factors after watercolor education, thereby increasing resilience, emotional stability, and self-expression. In future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examine changes in university students’ resilience, emotional stability, and self-expression through various instrumental performance education, as well as watercolor education.

      • KCI등재

        학습자 주도 수업에 의한 미술사 교과의 학업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의 연구: 중국 후난성 H사범대학 미술전공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장운 ( Yun Zhang ),고영춘 ( Youngchun Ko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중국 후난성 미술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자 주도 수업이 학습자의 학업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에 주는 영향을 알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은 후난성 H사범대학 학생들인 학습자 주도군 60명과 교수자 주도군 6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SPS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평균차이 분석을 한다. 연구 내용: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미술사 교과 수업은 학업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에 관해 학습자 주도 수업이 좋은지 아니면 교수자 주도 수업이 더 나은지를 확인한다. 결론 및 제언: 대학의 미술사 교과 수업에서 학습자 주도 수업은 교수자 주도 수업에 비해 학업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학업성취가 더 높음으로써, 미술사 교육에는 교수자 주도 수업보다는 학습자 주도 수업이 더욱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사의 효율적 교육을 위해서는 학습자가 주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지향성과 자아상태의 변수들도 더욱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effects of learner-led classes on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immer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rt in Hunan, China. On subjects of the study are 60 people of learner-led students and 65 of instructor-led students of Hunan H Normal University, reliability and average difference analysis are performed using the SPSS 25 program. Art history class for university students is confirmed whether learner-led class is better or professor-led classes is better about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commi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rt history class, learner-led class has higher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immer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an professor-led class, It is confirmed that learner-led class is more suitable for art history education. For the efficient education of art history, it will be necessary to further study goal orientation and ego-states that learners can lead.

      • KCI등재

        코로나시대에 디지털갤러리의 온라인 수업에 의한대학생 미술사교과수업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적

        장효용 ( Xiaohong Jiang ),고영춘 ( Youngchun K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코로나시대에 디지털갤러리의 온라인 수업이 대학생 미술사수업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들을 위해 중국 화이화시 H대 1학년 학생들인 예술디자인학과 전공자인 실험군 36명과 대조군 35명을 디지털갤러리의 온라인 수업 전과 후에 학습동기와 학업성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6주 동안 디지털갤러리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의 사후검사에서는 실험군의 학습동기(3.58→4.61, 1.29배: p=.000)와 학업성적(35.8→76.5, 2.14배: p=.000)이 증가되었다. 그리고 디지털갤러리의 온라인 수업을 한 후에 미술사교과수업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적은 제각기 대조군의 값들보다 큰 비율로 증가함을 나타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digital gallery using online lessons o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score of college art history. For them, 36 people of experimental group and 35 people of control group, who are first-year students of department of arts design of H university in Huaihua of China, are measured for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score before and after using online the digital gallery. As a result, in the post-test after using the online digital gallery classes for 6 week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learning motivation and the academic score were increased, respectively (3.58→4.61, 1.29 times: p=.000; 35.8→76.5, 2.14 times: p=.000). And after using the online digital gallery, th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score of art history lessons increased at a larger rate than the values of each control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