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디지털 포용성(Digital Inclusion)의 국제 연구 동향 분석

        백송이(Beak, Song yi),박기웅(Park, Kiwoong),고사론(Ko, Saron),계보경(Kye, Boky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Web of Science(WoS)에서 제공하는 학술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디지털 포용성(Digital Inclusion) 이슈를 탐색하고 향후 포용적 디지털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WoS에서 제공하는 학술 논문 중 디지털 포용성과 관련해 출판된 SSCI, SCI, SCIE, A&HCI급 1,082편의 논문을 텍스트 마이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R과 Netminer를 활용해 주요 키워드에 대한 빈도 분석(TF, DF, TF-IDF), 토픽 모델링 기반의 디지털 포용성 이슈 분석, 그리고 각 이슈에 대한 연도별 출연 빈도를 분석하여 디지털 포용성 연구의 경향성을 탐색하였다.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사회담론(social discourse)’, ‘기술의 영향력(influence of technology)’, ‘디지털활용능력(digital literacy)’, ‘학습장소(learning space)’등의 10개 이슈로 분석되었고, ‘사회담론(social discourse)’, ‘기술의 영향력(influence of technology)’, ‘디지털활용능력(digital literacy)’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디지털 포용성에 대한 국제적 연구 동향을 기초로 우리나라 디지털 교육의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issues on ‘Digital Inclusion’ by collecting academic big data from Web of Science(WoS), to provide further implications for the inclusive digital education policies. Using the WoS, the authors collected 1,081 studies from SCI journal related to digital inclusion. After preprocessing the collected data, using R and Netminer, the authors obtained the TF, DF, TF-IDF values on main keywords, and analyzed issues on digital inclusion using topic modeling. Then the authors anlayzed research trend on the topic of digital inclusion while analyzing the frequency.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ten keywords had been driven: ‘social discourse’, ‘influence of technology’, ‘digital literacy’, ‘learning space’ et cetera. ‘Social discourse’, ‘influence of technology’, ’digital literacy’ appeared in a higher proportion relatively. Based on the international research trend on ‘digital inclusion,’ this thesis provided implications on digit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