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른 영재판별의 차이

        고민석,박병태 한국영재학회 2011 영재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초등학교 교사 184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영재 판별 및 추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라 영재 판별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영재관련 경험에 따라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재직무연수를 이수하였거나 관찰추천을 담당하는 교사의 영재판별에 대한 인식 수준이 일반 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교사들은 영재판별척도로 창의성, 학습동기 및 태도를 가장 높은 판단 기준으로 여겼다.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학부모 추천 및 동료 추천에 대한 교사들의 영재판별척도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학습능력, 창의성, 리더십, 학습동기 및 태도에 비해 낮았으며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은 교사 집단이 창의성, 학습동기 및 태도 영역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recognitions of a teacher's discernment & recommendations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targeting 184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district and compared and contrasted their awareness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re existed a difference in the discernment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according to their awareness level of professionalism in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appear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recognitions level of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relevant to a gifted elementary student. The teachers, in the process of observations & nominations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pointed out creativity, learning motive and attitude as the highest judging standard and also regard such elements as discerning criteria of gifted students. In the process of observations & nominations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it was found that teachers' recognitions of importance of discerning criteria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relation to parents or fellow teachers' recommendations appeared relatively lower than their recognitions of importance in relation to learning ability, creativity, learning motive and attitude.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a group of teachers, who have a high recognitions level of the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in the process of observations & nominations of gifted students, perceive the realm of creativity, learning motive, and attitude as more important.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elevating teachers' awareness level of professionalism in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order to discern high-quality gifted students in the process observations & nominations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putting emphasis on the realm of creativity, learning motive, and attitude.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탐구에 대한 신념과 과학과 수행평가의 실제

        고민석,김은애,허진미,양일호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3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of inquiry and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To collect data for analyz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of inquiry and their practice of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the researcher was surveyed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of inquiry was shown as constructivist tendency. This view of inquiry involves watching and doing experiments, and the skills of thinking processes, in which learners make their own interpretations rather than merely acquiring preexisting knowledge structures. Second, for content knowledge, participants’ preception about the target of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involved assessing application of science knowledge rather than basic level of substantive knowledge. For inquiry process, participants’ preception about the target of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involved assessing the lower level of inquiry rather than the higher level of inquiry. Most of participants was measured using a paper and pencil test for the actual evaluation methods due to the ease and objectivity of the assessment, the lack of understanding how to perform the performance evaluation process and method. Especially, participants who recognize that the higher level of inquiry was used performance and informal mode of assessing.

      • KCI등재

        의료기관 종사자의 공공서비스 신념과 직업소명의식, 직무몰입, 고객지향성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고민석 한국보건복지학회 2019 보건과 복지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belief in public service, sense of calling, job involve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for workers in medical institu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31 workers from 33 medical institutions located in J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3.0 and SmartPLS 2.0. As a result, belief in public service and sense of calling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involve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Job involvement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elief in public service and customer orientation, and sense of calling and customer orien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e and operate job-value education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belief in public service and sense of calling in the course of the training of the health care workers. In additi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maintain and strengthen public service and sense of calling, and the working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for the improvement of job involvement. 본 연구는 의료기관 종사자의 공공서비스 신념과 직업소명의식, 직무몰입, 고객지향성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J도 소재 의료기관에 재직 중인 431명의 의료기관 종사자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3.0과 SmartPLS 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공공서비스 신념과 직업소명의식은 직무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몰입은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보였다. 또한 직무몰입은 공공서비스 신념 및 직업소명의식과 고객지향성 간의 직접적인 인과관계 속에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의료서비스 종사자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에서는 다양한 직업가치관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과정 적용을 통해 미래 의료서비스 종사자들이 바른 직업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의료기관에서는 종사자들의 공공서비스 신념과 직업소명의식을 유지․강화할 수 있는 조직문화 형성과 직무몰입 향상을 위한 근로환경 조성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산재근로자의 일상생활수행 장애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고민석 한국보건복지학회 2019 보건과 복지 Vol.21 No.1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의 일상생활수행 장애가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그리고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일상생활수행 장애와 일상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4차 산재보험패널조사에 참여한 1,660명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산재근로자의 일상생활수행 장애는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그리고 일상생활 만족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은 일상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산재근로자의 일상생활수행 장애와 일상생활만족도 간에 직접적인 인과관계 속에서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산재근로자의 기능상실 최소화 및 회복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과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향상을 위한 사회심리재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제공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isabil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daily life satisfaction among injured workers and mediating effect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abil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aily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1,660 injured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4th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were analyzed. As a results, disabil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daily lif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effect o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aily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nd self-efficacy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abil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aily life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 intervention in minimizing failure and restoring functions of injured workers, and the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social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programs for improving self-esteem and self-efficacy.

      • KCI등재후보

        중증장애근로자의 장애로 인한 차별경험과 일상생활만족도와의 관계

        고민석,김동주 한국웰니스학회 2013 한국웰니스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장애특성, 고용환경에 따라 직장내 차별의 정도를 알아보고, 직장내 차별이 직장만족과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직장내 차별이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장만족과 장애수용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해 보고, 직장내의 차별에 대한 적극적이고 근본적인 대안 구축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학력이 낮을수록, 중증장애인일수록 차별을 경험하고 있으며, 차별을 경험하는 장애인일수록 직장만족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중증장애인의 권익을 보호하면서 직장적응을 지원할 수 있는 근로인지원제도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장애인 차별금지법의 확대 적용과 개선이 필요하다. 직장내 차별이 직장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직장내의 차별을 없애야 한다. 셋째, 장애인에게 현장 지원과 배려하는 사업체에 대한 제도적, 재정적 지원체계 마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중증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근로환경이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고민석,김동주 한국직업재활학회 2013 職業再活硏究 Vol.23 No.1

        This study tried to compare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daily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work environment targeted to the severe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4th Employment panel of disab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 Employment Promo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Law for disabilities, and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daily life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ing an employment policy for a successful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severe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daily life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as severe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work environment statistically. The significant difference show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workers, full-time status, average working hours, average monthly wage, welfare status, aptitude conformity, safety jobs status and the experience of job discrimination i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full-time status, average working hours, average monthly wage, welfare status, aptitude conformity, the consideration of job and the experience of job discrimination in the daily life satisfaction statistically. Second, the work environment had not the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the daily life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as severe disabilities, but the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showed on the job satisfaction statistically. It represented that the better work environment increases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as severe disabilities. Third, the job satisfaction takes the role of complete parameter between the work environment and the daily life satisfaction and its parameter is more effective. 본 연구는 「장애인고용촉진및직업재활법」에 의거하여 「제4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11년)」에 참여한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근로환경에 따른 직무만족과 일상생활만족을 비교해 보고, 근로환경, 직무만족, 일상생활만족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증장애인의 성공적인 직업재활을 위하여 고용정책을 제언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중증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일상생활만족은 근로환경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은 사업장 근로자 수, 정규직 여부, 평균근무시간, 월평균임금, 복리후생유․무, 적성부합여부, 일자리안전여부, 일자리차별경험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일상생활만족은 정규직 여부, 평균근무시간, 월평균임금, 복리후생유․무, 적성부합여부, 일자리배려여부, 일자리차별경험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근로환경은 중증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일상생활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직무만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근로환경이 좋을수록 중증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수준이 높음을 나타낸다. 셋째, 직무만족이 근로환경과 일상생활만족 사이에서 완전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매개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장애노인의 사회참여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주관적 건강상태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고민석 보건의료산업학회 2015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9 No.3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participation, self-rated health status, self-esteem and daily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It especiall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ated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daily life satisfaction. Methods : From the fif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data for 518 elderly over age of 65 were analyzed with SPSS 22.0, SmartPLS 2.0 M3 and the Sobel test. Results : First,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rated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The direct effect of self-rated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on daily life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influence of social participation on daily life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self-rated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daily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it is important to provide an integrated social participation support program that coincides with a variety of social programs to elderly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