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심상담자의 어려움에 대한 숙련수퍼바이저의 개념화 연구

        계은경 ( Eungyeong Gye ),성윤희 ( Yoonhee Sung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숙련수퍼바이저가 초심상담자의 어려움을 어떻게 개념화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수퍼바이저의 유능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초심 상담자 교육 및 훈련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얻고자 한다. 연구 방법: 숙련수퍼바이저와 초심상담자 여덟 쌍을 매칭하여 수퍼비전을 각 쌍별로 3회씩 진행하고 자료는 각 수퍼비전이 끝나는 대로 수퍼바이저를 면담하여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인터뷰 질문은 다음과 같다: 초심상담자는 무엇을 어려워합니까? 초심상담자는 어떤 과업을 성취해야합니까? 초심상담자에게 수퍼비전을 제공할 때 고려해야 할 것은 무엇입니까? 인터뷰 자료는 귀납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 결과 초심상담자의 어려움은 2개의 영역, 5개의 상위범주, 15개의 범주, 46개의 개념으로 확인되었다. 상담자 측면 영역에서는 개인적 특성, 역전이, 수퍼비전 관계에서의 특징이 범주로 나타났고, 교육적 측면 영역에서는 사례개념화, 개입이 범주로 도출되었다. 결론 및 제언: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초심상담자 교육과 수퍼바이저 양성에 적용할 수 있는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how expert supervisors conceptualize novice counselors’ difficulties to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supervisors’ competence and to get the meaningful information concerning novice counselor’s education and training. Each of eight novice counselors was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eight supervisors. The eight supervisor-supervisee pairs had three supervision sessions each.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supervisors shortly after their supervision sessions. Interview questions used in the study are: “What are difficult for novice counselors?” “What tasks do you think novice counselors should achieve?” “What do you need to consider when you supervise novice counselors?” The Inductive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s a result, two domains, five categories, 15 subcategories, and 46 concepts emerged as novice counselors’ difficulties. Specifically, Under the domain of Aspects on Counselors, Personal Characteristics, Countertransference, Characteristics in Supervisory Relationship emerged as categories. Under the domain of Aspects on Education, Case Conceptualization and Interventions were derived as categori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linical implications for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or training are provided.

      • KCI등재

        집단상담 수업 경험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어려움과 대안을 중심으로

        권경인,계은경,김지연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udents’ thoughts about the issues with group counseling classes to identify difficulties when attending lectures and understand the current lecture system. For data, 106 students were polled and CQR-M was used for analysis. Our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dissatisfaction of group counseling lectures in education contents were categorized as 4 domains; management skills of group counseling, theory of group counseling, ethics of group counseling and case study of group counseling. Second, the dissatisfaction of the educational methods used for such lectures were classified as 5 domains; discontentment at direct practical training, lectures, presentations of students, and indirect practical training and difficulties with understanding of reality due to the nature of group counseling. Third, the embarrassment related with double-relationship issues were categorized as 4 domains; the problem of self-disclosure, influence by the negative effects of actual relationship, affection by the authority of professors, difference between experience in class and experience in reality. In addition, the students responded the problems of system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and the embarrassment of qualification and attitude of professor are important matter. Lastly, this study identified the major improvement with learning group counseling. They are; efficiently managing an class, arranging administrative infrastructure, expanding opportunity of practical training, supplying opportunity of indirect study, providing substantive education, preventing ethic problems, offering diverse education, and strengthening specialty of professor.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discuss with diverse aspects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group counselor. This paper concludes with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e study. 본 연구는 집단상담 수업을 수강했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했던 집단상담 수업에 대한 회고를 통해 집단상담 수업에 대한 어려움과 대안이 무엇인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총 106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고 분석은 CQR-M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상담 수업 내용과 관련하여 어려웠던 부분은 집단상담 운영기술, 집단상담 이론, 집단상담 윤리, 사례를 통한 간접학습 등 4개 영역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상담 수업 운영방식에 대한 어려움으로는 직접실습방법에 대한 어려움, 강의에 대한 어려움, 발제에 대한 어려움, 간접실습방법에 대한 어려움, 집단상담 이론과 실제 연계의 어려움 등 5개 영역으로 나뉘었다. 셋째, 집단상담 수업에서 이중관계로 인해 어려웠던 부분은 자기개방의 어려움, 실제적인 대인관계와 연관되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음, 교수자의 권위의 영향을 크게 받음, 수업 내의 경험이 현실의 경험과 다름 등 4개 영역으로 나타났다. 넷째, 집단상담 수업과 관련한 기타 어려움으로는 제도 및 운영의 문제, 교수자의 자질 및 태도에 대한 어려움 등 2개 영역으로 나뉘었다. 다섯째, 집단상담 수업에 대한 개선안에 대하여는 효율적 수업 운영, 집단수업을 위한 행정적 기반 마련, 실습 경험 확대, 간접학습 기회 제공, 실질적인 교육 제공, 윤리문제 예방, 다양한 교육 제공, 교수자의 전문성 강화 등 8개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집단상담 리더 교육 및 훈련과정에 필요한 측면이 무엇인지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여성 진로장벽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과 향후 과제: 진로발달단계를 중심으로

        홍지선,계은경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 on woman’s career barriers with the prospective of career development and to suggest the interventions and direction to study in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by year, research subject, analysis method, measurement tool, research topics at the time of development, and research results based on 45 studies published from 2001 to 2015.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studies of woman’s career barriers have been continuously published, and majority of research subject was college students, and most studies were designed with quantitative research. Also, according to the career development, most studies belong to the exploration stage, research topics varied by the time of career development, and included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in the time of development. Lastly, studies dealt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variable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have shown mostly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and readiness to act. This study discussed and mak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본 연구는 진로발달에 따른 여성 진로장벽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진로상담 및 진로교육에 있어 진로 개입 방향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1년부터 2015년도까지 연구된 여성 진로장벽 논문 중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24편과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 21편을 합하여 총 4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도, 연구대상, 연구 방법, 측정도구, 발달시기별 연구주제 및 진로장벽과 관련된 변인들 간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의 진로장벽 연구는 해마다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여대생을 중심으로 한 진로장벽 연구가 가장 많았고, 양적 방법을 통한 진로장벽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발달시기별로는 탐색기에 해당하는 연구가 많았으며, 각 발달단계별로 다루어진 연구 주제들은 서로 달랐으며 각 발달 시기마다 각기 다른 특징들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장벽과 진로 관련 변인들간의 연구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의 상관관계를 주로 다루었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집단상담 강의 운영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탐색

        김지연,권경인,계은경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ofessors’ thoughts about the issues with group counseling classes to understand the current lecture system, to identify difficulties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when giving lectures. We try to find core element and to propose the ideal module on group counseling class. To investigate the above questions, 14 professors from 14 different universities who teach group counseling classes were interviewed, and then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To organize the data in order to reach a conclusion, inductive analysis was applied and a total of 67 sub-categories and 29 categories were obtained as a result. The current state of group counseling lectures in education contents were categorized as; theory of group counseling, skills of group counseling, and the qualifications and ethics of group counselors. Also the educational methods used for such lectures were classified as; presentations, lectures. independent-study, mentoring practice, supervision, indirect experience by reviewing other cases, learning through actual experience, and by doing introspection over experience. Furtherm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major difficulties with delivering group counseling lectures. They are; deficiency in leader’s competence from lack of clinical experience, the difference in the gap of students’ preparedness for class, relationship issues commonly including double-relationship issues, problems related to operational methods, problems due to non- standardized curriculum, needs of additional cost and effort and difficulties arising from teaching and applying group counseling ethics. Lastly, we propose the module of lecture on group counseling with basic mode and extended mode based on participants' comment on the basic factors and ideal factors of teaching group counseling.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understand the current lecture system and drew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on group counseling. 본 연구는 집단상담 강의 운영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을 탐색하여 강의 운영의 실제를 탐색적으로 파악하고 어려움, 개선방안을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강의에 포함되어야 할 필수요소에 대한 내용을 함께 정리하여 집단상담 강의 운영을 위한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 14개 대학/대학원에서 집단상담 강의를 운영하는 14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의 정리를 위해서는 귀납적 분석법(inductive analysis)을 적용하였으며 분석 결과 67개의 범주와 29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집단상담 강의 운영의 실제에 대한 범주는 교육내용의 영역에서 집단상담 이론, 집단상담 운영 기술, 집단상담자 자질 및 윤리의 내용으로 분류되었으며, 교수방법의 영역에서 발제, 강의, 이론 개인학습, 멘토링/튜터, 수퍼비전, 사례를 통한 간접경험, 경험을 통한 학습, 경험에 대한 성찰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또한, 집단상담 강의 운영 시 어려움의 영역에서는 리더의 역량 부족, 학습자의 준비도 차이, 관계의 어려움(이중관계 포함), 운영방식의 문제, 교육과정 운영의 비표준화, 추가적인 비용과 노력 필요, 집단상담 윤리 교육 및 적용의 어려움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집단상담 강의에 포함되어야 할 기초적인 요소 및 이상적인 요소에 대한 의견을 바탕으로 집단상담 강의 운영 모듈이 기본형과 확장형으로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집단상담 강의 현황을 파악하고 교육과정에 반영할 구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후보

        Korean Counseling Students’ Perceptions of Dual Relationships in Group Counseling Coursework

        권경인,김지연,계은경 한국상담학회 2019 Journal of Asia Pacific counseling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Korean counseling students’ perceptions of dual relationships experienced in group counseling as part of their coursework. A total of 14 students were interviewed, and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Results indicated that both negative and positive impacts of dual relationships were experienced. First, participants reported several negative impacts of dual relationships experienced in in-class group counseling, such as feeling pressured to do well due to their professor’s authority and power, making efforts to present oneself positively, negative interactions between group dynamics and relationships outside the counseling group, and discomfort showing oneself in the counseling group. Second, participants addressed the positive impacts of dual relationships in in-class group counseling, including preexisting trust relationships that facilitated group dynamics and an increased level of comfort in relationships formed outside the counseling group. Implications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