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The Altar of Great Gratitude: A Korean Memory of Ming China under Manchu Dominance, 1704–1894
계승범 서강대학교 종교연구소 2014 Journal of Korean Religions Vol.5 No.2
With emphasis on the Korean performance at a special altar designed to pay tribute to thememory of Ming emperors, this paper looks at the way in which Korean elites under Manchudominance recalled Ming China and actually summoned the ghosts of Ming emperors untotheir political stage. From the early sixteenth century, Ming China had been honored inChosŏn as the suzerain-father, with the result that the Ming became the object for Chosŏnfilial piety as well as loyalty. Chosŏn’s submission to the Manchus in 1637, however, forcedan ideological crisis upon the Chosŏn leadership since the country’s compromise with theManchus meant that the Chosŏn king and court officials had violated two primary Confucianvalues, those of loyalty and filial piety, on which the ruling mechanism of the dynasty hadbeen based. The establishment of the Altar of Great Gratitude (Taebodan) within a Chosŏnroyal palace in 1704 was designed to offset the violation and visibly demonstrate Chosŏn’srighteous obligations to the fallen Ming regardless of the real geopolitical circumstances. Thereafter, Chosŏn kings regularly performed sacrifices for three Ming emperors on the anniversariesof those emperors’ deaths. These rituals continued until Seoul was occupied by theJapanese in 1894 on the eve of the Sino-Japanese War, implying that mainstream Chosŏnelites under Manchu dominance still sought to live spiritually under an imaginary Mingorder.
계승범 한국사학사학회 2020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41
Korean historians regard Koryŏ(918-1392) as an aristocratic society because the ruling elites of Koryŏ can be characterized as aristocrats. On the other hand they hardly call Chosŏn(1392-1910) an aristocratic society but characterize it as a yangban society, suggesting that the ruling elites of Chosŏn was no longer aristocratic.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yangban, they emphasize that yangban entered the officialdom mostly by passing the civil service exams on his own merits rather than family prestige. For this reason, yangban society signifies that new ruling elites called scholar-officials emerged in the course of the Koryŏ-Chosŏn transition in the late 1300s and founded the new Chosŏn dynasty that made a great step forward in terms of the bureaucratic features of ruling elites and their government system. Interestingly enough, however, in China they never call the Ming and Qing a ‘shēnshi society.’ In Japan the term of ‘samurai society’ has never been circulated among scholars, either. Why do they nevertheless call Chosŏn a yangban society in Korea? Were Koryŏ and Chosŏn totally different societies from each other? When was the term ‘yangban society’ born and spread easily among scholars? This review article first examines the scholarly controversy over the characteristics of yangban to better understand the concept of yangban society. It also verifies that the term of yangban society was first used in 1967, circulated wide in the 1970s and 1980s, and the use of the term was diversified from the 1990s on. With emphasis on the birth and wide circulation of the term ‘yangban society,’ this article examines the terminology of yangban society from a historiographical perspective. 국내 역사학계에서는 고려의 지배층을 흔히 귀족이라 부르고 그 사회를 귀족사회라고 성격 규정한다. 그런데 조선에 대해서만큼은 귀족사회라 부르지 않고, 양반사회라는 별도의 용어를 사용한다. 이는 조선을 지배한 양반의 성격을 귀족으로 보지 않기 때문이다. 혈통에 기초한 집안 배경보다는 양반의 학자적 관료라는 성격을 최대한 부각함으로써, 이전 고려시대의 귀족과는 다른 성격의 지배층이 건설한 진일보한 사회라는 의미로 양반사회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그런데 중국 학계와 일본 학계에서는 동시대(15~19세기) 자국을 각각 ‘선스[紳士]사회’나 ‘사무라이[侍]사회’ 라 부르지 않는다. 그렇다면 국내 학계에서는 왜 조선을 굳이 양반사회라고 특별히 성격을 부여하여 부를까? 양반사회라는 용어는 언제 탄생하였으며, 어떤 과정을 밟아 유통・확산하였을까? 이 비평논문에서는 먼저 양반의 개념과 성격을 둘러싼 학계의 논쟁을 간략하게 정리한다. 양반 관련 논쟁의 추이는 양반사회 용어 이해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양반사회라는 개념어가 1967년에 처음 등장하였으며, 이후 70년대와 80대를 거치면서 널리 유통・확산했음을 연구사 정리 차원에서 시대별로 살핀다. 또한, 1990년대부터 양반사회의 의미가 다양화하면서 그 용례가 분기하는 현상을 추적한다. 마지막으로, 해외 학계의 연구 동향까지 포함하여 양반사회라는 개념어를 사학사 차원에서 조명한다.
계승범 역사학회 2024 역사학보 Vol.- No.261
이 글은 2023년 역사학회 정기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손질한 것이다. 학술대회 취지에 따라, 지금까지 나의 역사 연구를 되돌아 보되, 역사가로서 조선시대를 연구할 때 현재의 시각과 당대의 맥락 사이에서 고민했던 경험을 자유롭게 이야기 나누는 형식의 글이다. 주지하듯이, 조선시대 역사는 식민사관의 공격을 집중적으로 받았다. 일본의 한국 지배를 합리화하기 위해 조선의 역사를 매우 부정적으로 묘사하였다. 해방 후에는, 당연히 식민사관을 부정하기 위한 연구가 봇물 터지듯 하였다. 내재적 발전론이 그런 경향을 대표하였다. 이 글에서는 먼저 나의 역사관을 10대 때의 경험을 중심으로 간략히 소개하고, 지금까지 내가 해 온 조선시대사 연구 성과를 통시적 시각에 중점을 두어 소개하였다. 다음으로는, 조선시대에 대하여 식민사관과 내재적 발전론이 정반대의 설명을 제공하지만, 접근 방법은 서로 통하는 점을 강조하였다. 현재의 이념적 필요성을 위해 조선시대라는 과거를 자의적으로 설명하는 방식이 같다는 것이다. 대안으로는, 내가 그래왔듯이, 통시적 시각과 동아시아라는 상위의 맥락에서 조선시대 역사를 조망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This article is an edited version of a presentation given at the 2023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Historical Association, held under the theme “Betwee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Time and Present-Day Perspective.” In line with the conference’s purpose, I will reflect on my historical research so far, freely discussing my experience in struggles between the current perspective and the context of the time when studying the Joseon period. The history of Joseon was intensely attacked by colonial historians under the Japanese rule. In order to rationalize Japan’s domination of Korea, the history of Joseon was portrayed in a very negative light.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here was a outpouring of research to deny the colonial view. The inherent development theory represented this trend. In this article, I will first briefly introduce my view of history, focusing on my experiences as a teenager, and then present my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a diachronic perspective. I also emphasize that although colonial view and the inherent development theory offer diametrically opposed explanations of the Joseon dynasty, their approaches are compatible. They both arbitrarily explain the past, the Joseon period, to suit the ideological needs of the present. As an alternative, I suggest a diachronic perspective and a way of viewing Joseon history in the larger context of East Asia.
계승범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13 한국인물사연구 Vol.20 No.-
The position of Crown Prince Kwanghae (1575-1641, r. 1608-1623) had been unstable throughout the seventeen years (1592-1608) since he was installed as the heir apparent in the early phase of the Imjin War (1592-1598), also well known as the Hideyoshi invasion of Korea. The basic factor for the instability was a political problem: King Sŏnjo’s hostility toward Crown Prince Kwanghae and the support of some court officials for Grand Prince Yŏngch’ang. People of the time explained the instability of the crown prince on the basis of political factors, such as the formation of hostile political factions as well as Sŏnjo’s personal antagonism. In addition, the Ming emperor’s repeated refusals of investiture also put Crown Prince Kwanghae in an even more difficult situation. Even after Crown Prince Kwanghae actually asended the throne, the Ming court rejected one more time the request from Chosŏn to recognize him as the King of Chosŏn. This attitude of the Ming toward Chosŏn, especially toward Crown Prince or King Kwanghae, originated from the internal affairs of the Ming, such as the long-term controversy over the imperial succession, yet it cast an indelible shadow over King Kwanghae’s legitimacy.
계승범 한국사학사학회 2017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6
The Imjin War (1592-1592), also known as the Hideyoshi Invasion of Korea, was the main event on the eve of the turn of the 1600s, which seriously challenged the existing Chinese world order from the south for the first time in East Asian history. Some Western scholars have showed their interests in this Great East Asian War. Unlike the Imjin War, Western scholars have had little interest in the Manchu invasions of Korea (1627, 1637; horan in Korean) because it was a sort of regional war that did not have a decisive effect on the course of the Manchu conquest of China. Indeed, a few Western scholars displayed their interests in the Manchu invasions of Korea. This review article first examines Evelyn Rawski’s article on the correspondences between Injo, King of Chosŏn, who escaped in haste into a mountain fortress in the early phase of the second Manchu invasion, and Hong Taiji who laid siege to the fortress. In addition to Rawski’s discovery that some parts of Hong Taiji’s original letter to Injo were omitted in the veritable records (sillok) of the Chosŏn dynasty, this article provides not only some contents of the veritable records that are not in either the Manchu text or the Qing shilu but also the reasons why over 70% of the original letter were either omitted or added intentionally by the historiographers of the veritable records. This article also refutes the common understanding among scholars, including Rawski, that one of the reasons why Hong Taiji launched a military campaign against Chosŏn in late 1627 was a chronic food crisis in the Later Jin. No primary source suggests that the Jurchen demanded a large amount of provisions in the course of peace talk with Chosŏn. Focusing on JaHyun Kim Haboush’s articles and monograph, this article also looks at the aftermath of the Chosŏn surrender to the barbaric Manchu in 1637, which played a major role in shaping the post-Ming Chosŏn politics and policies, comparing it with contemporary Korean scholars’ studies. 2,000년이 넘도록 中原 중심으로 돌아간 동아시아 국제질서 프레임에 구조적 도전을 처음으로 가한 사건은 일본이 일으킨 임진왜란(1592~1598)이었다. 당시에는 조선과 명의 총체적 국력이 아직은 일본의 침공을 막을 수 있었지만, 약 300년 후 동북아질서의 전통적 패러다임을 바꾼 청일전쟁(1894~1895)을 예시하기에는 충분하다. 이것이 바로 동아시아에 관심을 둔 영어권 역사가들이 임진왜란을 연구주제로 잡은 이유이다. 그런데 호란(1627, 1637)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극히 미미하다. 왜란과는 달리, 호란은 청의 ‘중원정복전쟁’ 과정에서 한반도를 대상으로 일으킨 국지전이었을 뿐만 아니라, 그런 일방적 침공의 결과가 청의 중원정복이라는 거시적 흐름에 큰 영향을 줄 정도로 심각하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이 비평논문에서는 영어권 학계에서 호란 자체를 다룬 거의 유일한 단독 논문인 로스키의 연구를 우선적으로 검토했다. 청군이 남한산성을 포위한 상황에서 홍타이지와 인조 사이에 오간 서신을 만문 자료와 한문 자료를 대조하고 그 차이를 지적하는 데 그친 로스키에 비해, 이 비평논문에서는 그런 차이를 좀 더 명확히 파악하되 그런 차이가 발생한 이유를 『인조실록』 편찬자의 고의적인 첨삭에 무게를 두어 살폈다. 다음에는, 정묘호란의 동인에 대한 기존 해석을 종합・정리한 로스키의 글을 검토했다. 특히 당시 후금 내부의 식량 부족을 조선침공의 주요 동인으로 본 기존 해석에 이의를 제기하는 방향으로 비평을 가했다. 마지막으로는, 호란의 여파, 더 정확히 말하자면 삼전도항복(1637)과 명의 몰락(1644)이 조선에 남긴 엄청난 후유증을 다룬 일부 연구를 소개했다. 영어권 학계에서 호란 관련으로 갖는 연구 관심은 호란의 여파가 조선후기 조선사회(post-Ming Korea)를 어떻게 좌우했는지에 닿아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호란의 충격에서 벗어나기 위한 자구책으로서 일세를 풍미한 ‘北伐 프로퍼갠더’와 ‘조선중화’ 사상 및 그에 대한 반동으로 한때 등장한 北學論은 국내 학계에서도 주지하는 바이지만, 그런 사조의 전이과정을 호란의 여파를 극복하기 위한 조선 지배엘리트들의 자구노력이었다는 프리즘으로 조망하는 통시적 시각은 아무래도 영어권 학계가 더 강한 것 같다.
계승범 열상고전연구회 2020 열상고전연구 Vol.71 No.-
연구에서는 정묘호란의 발발 이유로 학계에 한때 정설처럼 유행한 조선의 외교 노선 변화 문제를 재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계해정변(인조반정)을 계기로 조선의 외교 노선이 예전의 친명사대로 분명히 변했을지라도, 후금의 조선 침공과는 아무런 인과관계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묘화약의 내용을 통해 침공의 원인이나 목적 등 제반 배경을 추출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1620년대 중반 후금이 겪던 경제 문제와 정묘호란 사이에는 연관성이 별로 없음을 논증하였다. 강화협상 과정에 보이는 최대 현안은 거의 다 정치ㆍ외교ㆍ군사적 사안이었다. 그렇지만 이 역시 침공의 직접 동인으로 보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그런 정치ㆍ외교ㆍ군사적 상황은 이미 누르하치 치세부터 만성화되어 있던 일상이었지, 홍타이지가 즉위할 무렵에 갑자기 나타난 새로운 사정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정묘호란은 왜 누르하치가 죽고 홍타이지가 즉위한 지 불과 석 달 만에 갑자기 전광석화처럼 발발하 였을까? 이 글에서는 누르하치와 홍타이지의 조선 정책이 처음부터 매우 달랐음에 주목하였다. 후금이 요동을 공격하기 시작한 1618년 봄부터 홍타이지가 즉위한 1626년 가을까지 9년 가까이 후금 지도부는 조선 정책을 놓고 양립하였다. 征明戰 에 총력을 기울이기 위해서는 후방의 조선을 먼저 정복해야 한다는 강경론은 홍타이 지가 이끌었다. 이에 비해, 누르하치는 조선 정복의 필요성은 인정하되 두 개의 전선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은 불리하다는 이유로 조선 공격을 주저하였다. 이 논문 의 결론은 그런 누르하치가 죽고 강경파 홍타이지가 즉위한 사건, 곧 후금의 군주 교체가 정묘호란의 직접 동인이라는 것이다. 전략상 조선을 먼저 쳐야 한다고 줄곧 주장한 홍타이지에게는 조선 침공이야말로 이제 후금의 칸이 바뀌었음을 안팎으로 분명히 각인시키는 군사작전이 필요했다. 또한, 명나라의 ‘혈맹’이던 조선을 후금의 맹약체제 안으로 끌어들인 일은 누르하치도 하지 못하던 것을 자신이 즉위하자마자 단번에 성취한 혁혁한 전과였다. 조선에 대한 군사작전과 맹약 체결을 통해 홍타이 지는 자신의 거시적 전략이 옳았음을 만천하에 증명한 것이다. 정묘호란의 동인은 바로 여기서 찾아야 할 것이다. With emphasis on the differences between Nurhaci and Hong Taiji in dealing with Chosǒn Korea, this article reexamines the motives of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in early 1627. It verifies that Chosǒn’s pro-Ming policy employed right after the Palace Coup of 1623 had nothing to do with the outbreak of the Manchu invasion. It also examines the contents of the Peace Pact of 1627 concluded between Later Jin and Chosǒn to better understand the causes, objects, and motives of the sudden invasion, with the result that there was no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ater Jin’s economic distress and the invasion. The largest problems on the negotiation table were mainly political and military affairs. Nevertheless, it is not reasonable to regard them as the key motives of the invasion because political and military situations both Chosǒn and Later Jin encountered had been chronic for about ten years since Nurhaci first launched a military campaign against Ming China in 1618. So then, why did the war broke out suddenly only three months after the death of Nurhaci and Hong Taiji’s accession to the throne?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two Manchu leaders we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dealing with Chosǒn Korea located at the rear of Later Jin. Hong Taiji contended that Later Jin should attack and pacify Chosǒn first so that it could concentrate its military strength on the western front against Ming China. Nurhaci, however, was lukewarm about invading Chosǒn in that it would not be a good strategy to have two enemies in the front and the rear at the same time. It was the very reason why he preferred talks to war with regard to Chosǒn affairs. This article thus draws a conclusion that the direct motive of the Manchu invasion was the replacement of Khan from moderate Nurhaci to hackish Hong Taij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