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충북 지역 소아 장중첩증 환자의 임상적 특징

        견윤희, 윤영주, 이지혁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5 忠北醫大學術誌 Vol.25 No.1

        목적: 충북 지역 소아 장중첩증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 결과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 지 역 의료진들에게 빠른 진단과 치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충북대학교 병원을 방문하여 복부 초음파나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CT)을 통해 장중첩증으로 진단받은 만18세 미만 소아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총 87명(남 49명, 56.3%)의 환자들이 장중첩증으로 진단받았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25.4개 월이었으며 만 24개월과 만 36개월 이하 환자가 각각 전체 환자의 62.1%, 81.6%였다. 동반된 임상 증상은 주기적 복통(82명, 94.3%), 구토(43명, 49.4%), 혈변(16명, 18.4%), 만져지는 복부 종괴 (13명, 14.9%) 등이 있었다. 또 진단 당시 감염성 질환을 가진 환자는 53명(60.9%)이었고, 호흡기 질환이 41명(47.1%)이었다. 장 중첩의 발생 위치는 회장-막창자형이 78명(89.7%)이었고, 소장-소 장형이 6명(6.9%), 두 가지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가 3명(3.4%)이었다. 치료 방법은 소장-소장형 6 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공기 정복술(81명)을 일차적으로 시행하였고, 77명(95.1%)이 성공, 4명 이 실패하였다. 수술적 정복술을 시행한 환자는 모두 9명이었고, 이들은 공기 정복술이 실패했거나 재 발로 공기 정복술을 하지 못한 환자였고, 이들 모두 재발은 없었다. 소장-소장형의 경우 모든 환자들이 경과 관찰 후 자연 정복되었다. 결론: 소아 장중첩증은 빠른 진단이 성공적인 치료와 예후에 매우 중요하며, 충북 지역 소아 장중첩증 환자들의 임상 양상을 이해하고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에 적용이 되어야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