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진도 지역어의 비모음화 재고

        강희숙 국어학회 2019 국어학 Vol.0 No.91

        이 글은 국어 비모음화의 방언지리학적 분포 및 분화 양상의 윤곽이 아직도 뚜렷하지 않다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전남의 서남부 지역어에 해당하는 진도 지역어의 비모음화 양상을 재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해당 방언의 실체를 정확하게 보여주는 자료가 새롭게 확보되고, 그러한 자료에서 비모음화 같은 음운론적 특성이 기존의 것과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인다면,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방향에서의 기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다. 기존 연구, 예컨대 강희숙(1996)에서는 진도 지역어의 경우, 비모음화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ㄴ’에 의한 비모음화만, 그것도 ‘어근+접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단어의 파생 층위를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 형태소 내부에서만 실현된다는 기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기갑(2009)에 반영된 진도 지역어 비모음화의 실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이 지역어에서 실현되는 ‘ㄴ’에 의한 비모음화는 질적인 차원에서 볼 때 경상도 방언과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상당히 활발하게 실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ㅇ’에 의한 비모음화는 형태소 내부에서만 실현되되, ‘ㄴ’에 의한 비모음화와 동일하게 후행모음이 ‘i’나 ‘j’를 조건으로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요컨대 진도 지역어에서는 모음 ‘ㅣ’와 ‘j’계 이중모음 앞이라는 제한된 환경에서이긴 하지만 ‘ㄴ’에 의한 비모음화와 함께 ‘ㅇ’에 의한 비모음화가 둘 다 실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언어적 사실은 국어 비모음화의 개신과 지리적 분포 및 확산 양상에 대해 좀 더 정밀한 관찰과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시도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전남방언 여성호칭어의 유형과 분포-접미사형을 중심으로-

        강희숙,양영희,손춘섭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7 호남학 Vol.0 No.40

        ypes and Distribution of Female Address Terms in Jeonnam Dialect: Focusing on Suffix Kang, Hee-sook·Yang, Young-hee·Son, Choon-seop This study examines types of female address terms in Jeonnam dialect on geographical differentiation and social-cultural factors about female address terms in Jeonnam dialect using suffix such as ‘-ddeock, -ne, -shil’. The outcome is following. Firstly, ‘-daeck~-ddaeck~-ddeock’ type and ‘-ne’ type are general female address terms but ‘-shil’ type is limited female address terms that is used in Gipseongchon(the community that gathered with same family name people) of powerful social conscious. Secondly, both ‘geononymy’ of ‘-daeck~-ddaeck~-ddeock’ type and female address terms of ‘-shil’ type are not used naturally and ‘teknonymy’ of ‘-ne’ type, especially ‘jamyoung+-ne’ type is preferred regardless of Gipseongchon or non-Gipseongchon in the region of Southwest Coast Islands. Thirdly, the distribution of female address terms of ‘-shil’ type is restricted and the terms are also judged to disappear for lowering its frequency in use. The case of calling married women with these terms is rare in recent days. Fourthly, address terms of ‘-daeck~-ddaeck~-ddeock’ do not have traditional meaning any more in these day, it is changed to indicate only house like ‘in the house of the principal’ so that the function as female address terms is reducing. Finally, female address terms of ‘-ne’ type is using frequently these days so its productivity is inferred high. In former times, there were differences of understanding in regions with difference social-cultural background when using ‘-ne’ type undoubtedly but today is almost not different. 본 연구는 전남 방언에 나타나는 여성호칭어의 유형을 ‘떡, 네, 실’과 같은 접미사를 이용한 전남 방언 여성호칭어에 대한 지리적 분화와 사회 문화적 요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댁~땍~떡’형과 ‘네’형은 일반적인 여성 호칭어이지만 ‘실’형은 사회적 신분 의식이 강한 집성촌에서만 사용되는 매우 제한적인 여성호칭어라는 것이다. 둘째로 서남해 도서 지역에서는 집성촌이고 비집성촌을 불문하고 ‘댁~땍~떡’형의 ‘종지명호칭’이나 ‘실’형의 여성 호칭어의 사용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네’형, 특이 ‘자명+네’ 형식의 ‘종자명호칭’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셋째로 ‘실’형의 여성 호칭어는 그 분포도 매우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매우 낮아 사라져 가는 여성 호칭어로 판단된다. 근래에 시집 간 여성을 이런 방식으로 호칭하는 사례는 매우 드문 것으로 보인다. 넷째로 오늘날 젊은 층에세 ‘댁~땍~떡’형의 호칭이 더 이상 전통적인 의미를 갖지 못하고, ‘교장선생님댁’에서처럼 오직 집을 가리키는 말로 변질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 또한 여성 호칭어로서의 기능이 소멸되어 가고 있다고 판단한다. 끝으로 ‘네’형 여성 호칭어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여성을 부르는 말로 빈번히 사용됨으로써 높은 생산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물론 과거에는 ‘네’형의 사용에 대하여 사회 문화적 배경이 다른 지역별로 그 인식에 차이가 있었지만, 오늘날에는 그러한 인식 차이가 거의 없이 쓰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