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존수영 참여 초등학생의 수상안전사고, 수중불안, 지속의도의 관계

        강하늘아름(Ha Neul A Reum Kang),홍미화(Mi-Hwa Hong)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2024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생존수영 실기교육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수상안전사고, 수중불안, 지속의도의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충청남도 지역의 생존수영 실기교육을 참여한 경험이 있는 초등학생 3~6학년 총 400명을설문조사 하였으며, 35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3.0와 AMOS 23.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얻었다. 첫째, 수상안전사고는 수중불안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상안전사고는 지속의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중불안은 지속의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생존수영 참여 초등학생이 수중불안을 낮추고 생존수영을 지속하는 데 있어 수영장/워터파크, 배(선상), 수상안전 예방교육의 수상안전사고에 대한 예방이 사전에 교육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사전수영경험에따라 생존수영 교육 지속의도도 비교한다면 생존수영교육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water safety incidents, aquatic anxiety, and intention to continuous of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ing in survival swimming. The study participants 358 elementary grades 3 to 6 experience participating in survival swimming.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SPSS, AMOS. The analysis included reliability, correlation, exploratory fact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rst, aquatic safety incidents were found to be partially influenced by aquatic anxiety. Second, aquatic safety incidents were found to partially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Third, aquatic anxiety was found to partially influence the intention to continue. Conclus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urvival swimming should receive pre-education on water safety incidents related to swimming pools/water parks, boats, water safety education, in order to reduce underwater anxiety and sustain survival swimming. Comparing the intention to continuous in survival swimming based on pre-swimming experience, it would greatly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survival swimming.

      • KCI등재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SRT와 낙상관련체력에 미치는 영향

        강하늘아름(Kang, Ha Neul A Reum),이석준(Lee, Suk-Jun)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4

        이 연구는 여성노인의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 참여 여부와 운동프로그램 실시 전, 후에 따라 SRT와 낙상관련체력(평형성, 하지근기능, 유연성, 협응력)이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총 31명으로 SRT와 낙상관련체력 측정을 실시하여 반복 측정 이원변량분석으로 분석 하였으며,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여성노인의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실험군과 통제군의 SRT, 유연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평형성, 하지근기능, 협응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운동프로그램 처치 전, 후에 따른 평형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SRT, 하지근기능, 유연성, 협응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운동프로그램 참여 여부와 처치 전, 후에 따른 상호작용효과에서 SRT, 유연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평형성, 하지근기능, 협응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SRT와 낙상관련체력이 대부분 운동 후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으며,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낙상 예방이나 효율적인 체력 향상 관리 프로그램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 the effect of 12 weeks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 on elderly womens SRT and fall-related physical strength(balance, lower limb muscle, flexibility, coordination). SRT and fall-related physical fitness were measured for a total of 31 elderly women, analyzed by repeated measurement two-way ANOVA. All the significant level for all statistics was set at α=.05.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RT and flexibility between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whether the elderly women participated in the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lance, lower limb muscle, and coordina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alance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rogram, and SRT, lower limb muscle function, flexibility, and coordin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RT and flexibili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interaction effects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participation in the exercise program,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lance, lower limb muscle, and coordination.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 affects the SRT and fall-related physical strength of the elderly women. Later o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s can be used as data for fall prevention or efficient physical strength improvement management programs for the elderly.

      • KCI등재
      •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해안선 변형 모델의 보정

        강하늘(Kang, Haneul),전인식(Chun, Insik),오병철(Oh, Byungcheol) 한국연안방재학회 2018 한국연안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8 No.1

        최근 해안 침식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었으며, 이에 따라 해안선 변형을 모의할 수 있는 수치모델의 정확도 향상이 매우 중요하게 인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용한 34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강릉항 인근 표사계에 대해 전반기 17년의 자료와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여 파라미터를 보정하였으며, 후반기 17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보정된 모델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최적화가 진행됨에 따라 오차가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최적화 알고리즘의 적용으로 인해 파라미터 보정의 정확도가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2 차 사고 예방을 위한 IoT 안전 삼각대

        강하늘(Ha Neul Kang),안지혜(Ji Hye An),박상혁(Sang Hyeok Park),허선철(Sun Chul Huh) 대한기계학회 2019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Transactions of the KSME. C, 산업기술과 혁신 Vol.7 No.3

        한국도로공사 및 국민안전처 통계에 따르면 2018년 4월 기준, 2차 사고 치사율은 54.1%로 일반 사고 치사율(9.3%)에 비해 약 6배 높다. 또한 최근 5년간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2차 사고 사망자는 연평균 약 37명, 부상자는 약 1,142명으로 이는 교통사고 전체 사망자 수의 약 15%를 차지한다. 발생한 대부분의 2차 사고는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러 가는 도중에 많이 발생한다고 한다. 따라서 설치 시 안전성과 효과적으로 후행 차량에 사고 사실을 알리는 효율성이 높은 새로운 삼각대의 설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IoT 기술을 안전 삼각대에 결합하여 운전자의 직접적인 설치를 요했던 기존 삼각대와는 달리 사고의 정도에 따라 수동 및 자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차별화를 둠으로써 안전성과 편의성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2차 사고 예방을 통해 인명 또는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Korea Highway Corporation and National Safety Agency statistics, as of April 2018, the second-order mortality rate is 54.1%, which is about six times higher than the general accident rate (9.3%). The average number of secondary accident deaths on the highway over the past five years is about 37, and about 1142 are injured, accounting for about 15% of all traffic accident deaths. Most of the secondary accidents that occur are on the way to a safety trip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a new tripod with high efficiency that can safely and effectively inform the following situation of accidents during install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the manual and automatic oper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accident, unlike the existing tripod, which required the direct installation of the driver by combining IoT technology with the safety tripod, to increase safety and convenience. It can be expected to minimize secondary casualties by preventing secondary accidents.

      • 강릉항 인근 표사계에 대한 지역표사관리 체계의 수립

        강하늘(Kang, Hanuel),전인식(Chun, Insik),오병철(Oh, Byungcheol) 한국연안방재학회 2017 한국연안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7 No.-

        최근 침식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연안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개발사업지 중심의 접근방식에서 벗어나 사업지 인근 모래를 총량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지역표사관리 체계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강릉항 표사계에 적용하였다. 강릉항 표사계는 초분 광 자료와 수심 자료, 모래이동한계수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주문진항부터 옥계항까지로 설정하였다. 해안선변형 예측 모델인 GenCade를 이용하여 강릉항 표사계에 대한 표사수 급 분석을 예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관련 정보 일체를 열람할 수 있는 GIS기반 프레임을 구축 하였다.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 학생 및 위험학생을 담당하는 교원의 역량제고에 관한 문헌연구

        강하늘(Kang, Ha Nul),김은실(Kim, Eun Sil)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정서·행동장애 학생 및 위험학생을 담당하는 교원의 역량제고에 관한 국외 논문을 고찰함으로써 관련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교원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나아가야 할 연구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7년에서부터 2017년까지 출판된 정서 행동장애 학생의 교원 교육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였다. 선정기준과 제외 기준에 따라 총 12편의 분석 대상 논문이 선정되었고, 7가지 분석변인에 따라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원 교육의 방법은 크게 개별교육과 집단교육으로 나뉘며, 교육의 내용은 개별적인 증거기반의 실제를 적용한 경우와 종합적인 증거기반의 실제를 적용한 경우로 분류할 수 있다. 결론: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증거기반의 실제와 교육형태가 교원 교육에 활용 되어야 하고, 학생 관련 변인 및 유지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중도의 정서 행동장애 학생을 담당하는 교원들을 위한 교육이 전개되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research on expanding teacher"s capacity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or difficulties, and to provide research directions on how to effectively support teachers. Method: A total of 12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s from 2007-2017 was selected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y publication year, research participants, sites, methods,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fidelity, and maintenance. Result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the type of teacher education was largely divided into individual education and collective education. Also, contents used in teacher education were individual evidence-based practices or comprehensive evidence-based practices. Conclusion: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is that more diverse evidence-based practices and forms of education should be used in teacher education. It is also critical to consider measuring student related variables and maintenance. Finally, programs for teachers interacting with students with severe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should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