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직접 디지털 방사선촬영(DR)이 가능하도록 고안 된일반촬영 보조테이블의 편리성 및 신속성 평가

        정지상(Ji-Sang Jung),진덕은(Deuk-Eun Jin),강종규(Jong Kyu Kang),홍완기(Wan-ki Hong),조영석(Young-Suk Cho),한영수(Young-Soo Han),박용성(Yong-Sung Park),강성호(Sung-Ho Kang),임재식(Jea-Sik Lim)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13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13 No.-

        목적: 새로이 고안 된 일반촬영 보조테이블의 편리성 및 신속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가슴 측면 옆으로 누운 자세촬영, 무릎뼈 접선 촬영, 아래턱 마루 촬영, 전체 넙다리뼈와 정강이뼈 촬영을 대상으로 각각 10명의 환자와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종전 CR 을 이용하는 대조군과 새로이 고안 된 일반촬영 보조테이블을 이용한 DR 방식을 실험군으로 나눈 후 가슴 측면 옆으로 누운 자세촬영(n=20, M:F=14:6), 무릎뼈 접선 촬영(n=20, M:F=4:16), 아래턱 마루 촬용(n=10, M:F=2:8), 전체 넙다리뼈와 정강이뼈 촬영(n=20, M:F=11:9) 검사 처방이 있는 7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의 검사의 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단 아래턱 마루 촬영의 실험군 5명, 대조군 5명)으로 검사를 시행한 후 검사의 편리성에 대한 평가 및 일반촬영을 담당하는 10명의 방사선사(M:F=6:4)을 대상으로 일반촬영 보조테이블 사용에 따른 업무의 편리성을 평가 하였다. 평가 방법으로는 환자와 검사자인 방사선사가 느끼는 편리성을 Face Pain Scale(FPS)을 응용하여 10점 척도(No hurt-10점, Hurts worst-0점)로 평가 하였고, 검사 신속성은 알아보기 위해 환자 탈의 후를 시작 시간 으로 정하고 영상이 PACS에 전송 된 시간을 끝 시간으로 정 한 후 검사 신속성을 알아 보았다. 결과: 환자 편리성에서 대조군이 가슴 측면 옆으로 누운 자세촬영 경우 1.9점, 무릎뼈 접선 촬영에서는 1.7점, 아래턱 마루 촬영은 2.6점, 전체 넙다리뼈와 정강이뼈 촬영은 1.3점, 전체 평균은 1.5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검사자인 방사선사 편리성 역시 가슴 측면 옆으로 누운 자세촬영 경우 2.9점, 무릎뼈 접선 촬영에서는 1.8점, 아래턱 마루 촬영은 3.4점, 전체 넙다리뼈와 정강이뼈 촬영은 2점, 전체 평균은 2.5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검사 소요시 간에서도 가슴 측면 옆으로 누운 자세촬영 경우 120초, 무릎뼈 접선 촬영에서는 148초, 아래턱 마루 촬영은 200초, 전체 넙다리뼈와 정강이뼈 촬영은 108초, 전체 평균 소요시간은 144초으로 단축 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일반촬영 검사 중 가슴 측면 옆으로 누운 자세촬영, 무릎뼈 접선 촬영, 아래턱 마루 촬영, 전체 넙다리뼈와 정강이뼈 촬영 등에 있어서 DR이 가능 하도록 고안 된 보조테이블 사용으로 환자가 느끼는 검사 편리성은 23%, 방사선사 느끼는 검사 편리성은 32% 증가 되었으며, 검사의 신속성 역시 33% 증가 되었다. 이를 통해 DR 촬영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보조테이블은 일반촬영 검사 진행에 있어서 유용한 검사 보조기구라 사료된다. Purpose: Purpose is to know convenience and swiftness of the newly devised assistant table for general radi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With those target(chest lateral decubitus projection, patella axial projection, submentovertex projection, entire femur and tibia projection), we checkedboth 10 patients and 10 radiation technologists through dividing them into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used previous CR system and experimental group used DR system with newly devised assistant table ) then we checked seventy patients who have examination of chest lateral decubitus projection(n=20, M:F=14:6), patella axial projection(n=20, M:F=4:16), submentovertex projection(n=10, M:F=2:8), and entire femur and tibia projection(n=20, M:F=11:9); and we separated them into control group (n=10) and experimental group(n=10) (for submentovertex projectioncase, five for control group and five for experimental group) and evaluated the convenience of examination. We also evaluated convenience gained through using newly devised assistant tablefrom ten radiation technologists (n=10, M:F=6:4). For evaluation criterion, convenience felt by patients and radiation technologists were evaluated through applying FPS (Face Pain Scale) using 10point system (10 being the least). To evaluate swiftness of examination, we measured time from when patient put off clothes untilimage was transmitted to PACS. Results: For convenience felt by patients, when we conducted chest lateral decubitus projection, patella axial projection, submentovertexprojection, entire femur and tibia projection, each score was 1.9, 1.7, 2.6, 1.3 points. Average score showed 1.5points which was higher than CR system. For conveniencefelt by radiation technologists, each score was 2.9, 1.8, 3.4, 2.0 points. The average score showed 2.5points which was higher too. Also each examination time was 120, 148, 200, 108sec. The average examination was 144 sec. Thus, average examination time was shorter than previous examination time. Conclusion: When we used the assistant table for DR photographing on chest lateral decubitus projection, patella axial projection, submentovertex projection, and entire femur and tibia projection, conveniencefelt by patients increased 23%. convenience felt by radiation technologists increased32%, also, swiftness of examination increased 33%. Through this, the assistant table can be assumed that it is useful assistive device for exa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