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장애연구에 관한 최근 경향 분석

        강종구,김라경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1 시각장애연구 Vol.27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recent study trend of visual impairments. We analyzed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an internationally well-known journal, and found that the research on visual impairments focused on 9 themes such as education, O&M, braille, independent living, assistive technology, the effect of visual impairments, health and rehabilitation, family, and the diagnose and assessment of visual impairments. The review of literature shows that there were a lot of studies on the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related persons as well as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Many experimental studies and surveys were also used for the research methods for these studies. In addition, there were many studies on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with additional disabilitie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be conducted in a variety of ways in themes, research object, the types of visual impairmen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udies on visual impairments in South Korea. 본 연구는 시각장애 연구에 관한 최근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국제 저명 학술지인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에 최근 3년간 발표된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시각장애에 관한 연구는 교육, 보행, 점자, 독립생활, 보조공학, 시각장애의 영향, 건강 및 재활, 가족, 시각장애 진단 및 평가와 같은 9개의 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헌분석 결과 연구대상으로는 시각장애아동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성인 및 관련 전문가에 관한 연구들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실험연구와 조사연구 중심으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장애유형에 있어서도 시각중복장애에 대한 관심도 국내에 비해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국내 시각장애 분야의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들뿐 아니라 연구대상 및 장애유형에 있어서도 보다 폭넓은 논의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 KCI등재

        비판이론을 통한 국내 통합교육 개념 및 현실에 대한 고찰

        강종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2

        This study tried to discuss the concept and reality influencing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critical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concept on South Korea’s integrated education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developmental stages and terms of integrated education. This study showed that it needed to figure out the current level of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critical perspectives in order to overcome these phenomena and needed to use appropriate terms based on these understandings.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personal factors influencing integrated education as the reality related to integrated education could be differed according to the degrees influencing integrated education. Based on these classifications, I mentioned that the stakeholders regarding inclusion seemed not to have equal relations and insisted that persons in passive roles needed to have mor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regarding integr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 emphasized the use of terms related to integrated education reflecting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necessity of the equal participation of various persons influencing integrated education. 본 연구는 비판이론의 관점을 통해 국내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통합교육의 개념과 현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통합교육 개념은 통합교육의 발달 단계 및 용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의 개념을 장애학생에게 친화적인 개념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국내 통합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는 개념 및 용어를 비판적 시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본 연구는 통합교육과 관련된 현실로서 통합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 요인은 통합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구분을 통해 현재 통합교육과 관련된 이해당사자들은 동등한 입장에 있지 않은 것 같다고 언급하였으며, 수동적인 입장에 있는 사람들은 통합과 관련하여 더 많은 참여 기회들을 제공받을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의 교육상황을 반영한 통합교육 관련 용어의 사용과 통합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적절한 참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후보

        일반교사와 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와 교육적 시사점

        강종구,김정현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08 시각장애연구 Vol.24 No.2

        Our country does not have many studies on what kinds of attitudes towards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and how attitudes influenc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what kinds of attitudes towards students with disabilities students and teachers have and how these attitudes influence education. In addition, we examined how to improve attitudes towards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higher students get in grade, the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s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y have. In addition, the more experiences or knowledge about students with disabilities teachers have, they more acceptable they have. Teachers' attitudes influe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researchers argued that attitudes towards students with disabilities need to be understood by considering various situations. Researchers also found that there are several studies that discuss the ways to overcome negative attitudes towards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sisted that these methods need to be widely used in schools. 국내에는 일반교사나 학생이 장애학생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태도가 교육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교사와 학생이 장애학생에 대하여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 지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태도가 교육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 보았다. 또한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일반학생이 가지고 있는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부정적으로 바뀌는 경향이 있었으며, 일반교사는 장애에 대한 경험이나 지식이 많으면 많을수록 장애학생에 대하여 보다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가 가지는 태도는 장애학생의 교육에도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는 여러 가지 상황들을 고려해서 이해해야 한다. 또한 장애학생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여러 연구가 시도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을 현장에서 보다 널리 사용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 KCI등재

        “시각장애연구”에 나타난 국내 시각장애 연구 경향에 대한 고찰

        강종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4 시각장애연구 Vol.30 No.3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research trend on domestic research trend related to visual impairmen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 reviewed 96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during recent 3 years(2011-2013). This study addressed discussions according to theme and variable in research on visual impairment. Research topics were divided as 8 themes. The three themes in high ranks were excessively handled among themes, and in particular, articles on education were discussed a lot. Variables of research were related to research subjects, the types of disability, and research methods. Regarding on research subjects, articles on school age students were more discussed than adults or children before school age. Related to the types of disability, there were only 6 articles about visual impairments with other disabilities. In case of research methods, articles through a study were most often,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generally used. 본 연구는 국내 시각장애에 관한 논문들에 나타난 연구 경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시각장애와 관련된 논문들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학술지인 “시각장애연구”에서 최근 3년(2011년-2013년) 동안 발표된 96편의 논문들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 연구의 주제별·변인별 논의들이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에 대하여 다루었다. 연구 주제들은 8개의 주제들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주제들 가운데 상위 3개 주제들의 비중이 지나치게 높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특히 교육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변인들에 있어서는 연구대상, 장애유형, 연구방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구대상에 있어서는 학령기 학생들에 대한 연구가 성인이나 학령기 이전의 아동과 비교하여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장애유형의 경우에는 시각중복장애만을 다루는 경우는 6편에 불과하였다. 연구방법의 경우에는 조사연구를 통한 연구들이 가장 많았으며, 전체적으로는 양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한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DeepLabV3+ 모델을 이용한 PlanetScope 영상의 해상 유출유 탐지

        강종구,윤유정,김근아,박강현,최소연,양찬수,이종혁,이양원,Kang, Jonggu,Youn, Youjeong,Kim, Geunah,Park, Ganghyun,Choi, Soyeon,Yang, Chan-Su,Yi, Jonghyuk,Lee, Yangwon 대한원격탐사학회 202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8 No.6

        Since oil spills can be a significant threat to the marine ecosystem, it is necessary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current contamination status quickly to minimize the damage. Satellite-based detection of marine oil spills has the advantage of spatiotemporal coverage because it can monitor a wide area compared to aircraft.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computer vision and deep learning, marine oil spill detection can also be facilitated by deep learning. Unlike the existing studies based on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images, we conducted a deep learning modeling using PlanetScope optical satellite images. The blind test of the DeepLabV3+ model for oil spill detection showed the performance statistics with an accuracy of 0.885, a precision of 0.888, a recall of 0.886, an F1-score of 0.883, and a Mean Intersection over Union (mIOU) of 0.793.

      • KCI등재

        Rethinking the U.S. Federal Special Education Policy toward Inclusion through the Lens of Critical Theory and Social Constructionism

        강종구,Kim, Young Han,Fang, Ji Jeng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0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3 No.4

        As South Korean and Taiwan educators, we support full inclusion. However, we also know the difficulty of the practice of full inclusion. We attempted to examined the U.S. IDEA of 2004. Since IDEA does not use the term "inclusion," U.S. Department of Education also does not define "inclusion." Although IDEA does not use the term "inclusion," the federal special education uses the term "the least restricted environment," which has a similar meaning with inclusion. We examined the history of the federal special education policy toward inclusion. We described how the legislative movement about the special education began in 19th century, how the 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 of 1975 (PL 94-142) was established during Civil Rights Era, and how congress passed the IDEA. This paper examined the federal special education policy toward inclusion through the lens of critical theory and social constructionism. The lens of critical theory helped explore the power relations between the oppressors and the oppressed. We tried to find how inclusion had power relations through the lens of critical theory. The lens of social constructionism also helped approach disability as a construct within the social context. We criticized the federal special education policy which consider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lens of social constructionism. We also pointed out that medical approach could make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difficulties in inclusive education. We also mentioned that the federal special education policy toward inclusion had changed according to U.S. history. We recognized the differences in inclusive education between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and tried to think how South Korea could develop special education policy toward inclusion according to South Korea's context. 한국의 타이완의 교육가로서, 우리는 완전통합의 철학을 지원한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완전통합의 실천이 어렵다는 것도 알고 있다. 본 연구는 2004년에 미국 국회에서 통과된 IDEA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IDEA가 "Inclusion"(통합교육)이란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미 교육부도 이러한 용어를 정의하지 않고 있다. 비록 IDEA가 통합교육이란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통합에 대한 연방 특수교육은 학교들이 최소한의 제한된 환경이란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통합교육과 유사한 의미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먼저 통합교육에 대한 연방정부 정책에 대한 역사적인 고찰을 한다. 특수교육법이 19세기에 어떻게 태동되었는지, 그리고 시민 권리 시대(Civil Rights Era)에 연방 정부가 공법 94-142항인 모든 장애를 가진 아동들을 위한 교육에 대한 법이 어떻게 제정되었는지, 그리고, 비교적 최근인 1990년대에 IDEA를 통과하기까지의 역사적인 과정들을 알아보았다.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에 대한 미국 정부의 특수교육 정책을 살펴보고, 책무성이 따르는 통합교육에 대한 정책들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통합교육의 정책에 대하여, 저자들은 비판이론과 사회구성주의 관점으로 고찰하였다. 비판이론은 인종과 계층 같은 분야에서 억압자와 피억압자 사이에 힘이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며, 비판 이론을 통하여 연방 특수 교육 정책이 통합교육에 대하여 어떻게 작용하여 왔는지를 알아보았다. 또 다른 이론인 사회구성주의 관점은 장애를 사회에서 구성되어진 개념으로 보고 있으며, 사회가 장애란 개념을 어떻게 구성하는지에대하여 생각하게 만들어 준다. 저자들은 사회구성주의 이론을 통하여 미국 정부가 통합교육, 특히 장애에 관해서 의학적인 접근을 가짐으로써 장애학생들이 치료받아야 되는 대상으로 대하고 있음을 비판하였다. 저자들은 또한 의학적인 접근을 통한 통합교육의 실행이 어떻게 장애학생들을 불리한 상황에 처하게 만들며, 이러한 의학적 접근이 완전 통합에 대한 어려움을 유발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저자들은 미국에서 실행되어져 오고 있는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교육정책이 미국의 역사에 따라서 발전되어져 왔음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역사적인 차이점에 따라서, 한국과 미국의 통합교육을 비교하여 생각함으로써, 한국의 현실에 적합한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교육정책을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지를 생각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국제학술지 분석을 통한 시각장애학생 통합교육 현황 고찰

        강종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3 시각장애연구 Vol.29 No.2

        This study is a document study that explore the recent trend of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rough the articles published since 2000.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explored the articles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s,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JVIB) and British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BJVI). Based on the criteria of data collection, I found 22 articles in two journals, and analyzed the articles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articles I reviewed showed som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variables and themes. The characteristic of variables have years, method, type of visual impairments, author’s nationality. Variables show huge differences between journals. The analysis of themes was divided as academic support, social relations, perceptions and support of inclusive education, instruction and production of braille, and differences between general school and special school. This study shows that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happen in various countries and there are many efforts to fulfill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erefore, our country needs to review articles published in various countries and have to seek for providing appropriate education to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general classrooms. 본 연구는 2000년부터 최근까지 발표된 논문들을 통해 시각장애학생들의 통합교육의 최근 경향을 고찰하기 위한 문헌연구이다. 이를 위해 시각장애에 관한 국제학술지들인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JVIB)와 British Journal of Visual Impairment(BJVI)에 발표된 논문들을 검토하였다. 자료 수집의 기준들에 따라 두 개의 학술지들에서 22편의 논문들을 찾을 수 있었으며, 수집된 문헌들은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논문들은 변인 및 주제별 특성들을 나타냈다. 변인별 특성들은 연도,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시각장애유형, 연구자 소속 국가를 통해 논의하였다. 연구변인들 중에는 학술지들 간에 많은 차이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연구 주제에 대한 분석은 학습 지원, 사회적 관계, 통합교육 인식 및 지원, 점자 지도 및 자료 제작, 일반학교와 특수학교 간의 논의로 구분하여 다루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시각장애학생들의 통합교육은 다양한 국가들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각장애학생들에게 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시각장애학생들의 통합교육에 있어 다양한 국가들에서 발표된 논문들의 검토와 일반학급에 있는 시각장애학생들에게 적절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해 나가야 하겠다.

      • 運動選手의 筋肉運動 感覺에 關한 硏究

        姜鐘求 全北大學校附設 스포츠科學硏究所 1983 논문집 Vol.-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inesthesis of athletes. The subjects of 7 track and field players, 8 judo players, 6 basketball players, 7 soccer players, and 9 nonath-letes, who were all Jeonbuk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physical education The me-thod of measurement was Distance Perception Jump.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 1. The kinesthesis of judo players was the lowest among the athletes. 2. There was 5%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ack and field players, 10% among judo players, and 10% among nonathletes.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occer players and basketball players. 4. There was 5% significant differences bctween groups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